본 연구는 장애인 고용서비스정책의 결과가 왜 애초의 정책 의도나 기대와 다르게 나타나고 있는가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장애인 고용서비스정책은 장애인의 취업을 증진시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706584
서울 : 성균관대학교, 2015
학위논문(박사) --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 행정학과 , 2015. 2
2015
한국어
장애인 고용서비스정책 ; 심리적 결핍 ; 취업의지 ; 성과분석 ; 잠재유형분석(LCA) ; 성향매칭분석(PSM) ; Maslow 욕구단계이론
352 판사항(22)
서울
(The) application of a consolidated policy evaluation model : Focused on the 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ment polic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xviii, 319 p. : 삽화 ; 30 cm
지도교수: 권기헌
부록: 현행 장애인 고용서비스정책의 문제점에 대한 심층 인터뷰 결과
참고문헌: p. 272-29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장애인 고용서비스정책의 결과가 왜 애초의 정책 의도나 기대와 다르게 나타나고 있는가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장애인 고용서비스정책은 장애인의 취업을 증진시키...
본 연구는 장애인 고용서비스정책의 결과가 왜 애초의 정책 의도나 기대와 다르게 나타나고 있는가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장애인 고용서비스정책은 장애인의 취업을 증진시키고 나아가 보다 나은 삶을 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부차원의 적극적 개입노력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장애인 고용서비스정책의 성과에 대한 논의는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장애인 고용서비스정책의 성과분석을 첫 번째 목적으로 하며, 왜 이러한 성과에 대한 연구가 일관되지 못하는가에 답하고자 세 단계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첫 번째 단계로 장애인 고용정책 대상집단의 분류기준에 대하여 기존의 의학적 기준을 보완할 수 있는 추가기준을 탐색하였다. 현재 장애인 고용정책 대상집단은 장애인의 의학적 손상을 기준으로 하여 분류하여 지나치게 행정편의주의적이라는 비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많은 선행연구에서 장애인 고용서비스정책이 실효성을 확보하고 본래 의도했던 정책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장애인의 특성을 반영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는 제언을 제시하지만 구체적으로 어떠한 방법으로 이를 실현할지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정책의 두 당사자인 장애인(수요자)와 담당 직원(공급자) 및 전문가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한 결과, ‘개인의 태도유형’, ‘심리적 결핍으로 유발되는 취업의지’, ‘직업능력’이 중요한 분류기준으로 모색되어야 하며, 이는 장애인의 고용서비스 이용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단계로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탐색한 추가기준을 적용하여 장애인 고용정책 대상집단을 분류하였다. 특히 장애인 고용서비스의 이용과 취업효과 간의 인과관계에서 적극적으로 취업하고자 하는 의지 및 동기, 즉 ‘취업의지’가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제3의 변수로 인하여 그 동안의 장애인 고용서비스정책의 성과에 대한 연구기 비일관적으로 도출되었음을 유추할 수 있다.
이러한 취업의지를 측정하기 위한 간접변수로서 Maslow의 욕구단계이론에 기반을 두어 ‘심리적 결핍수준’을 선정하였다. 이는 개인의 행동에 동기를 부여하는 것은 결핍에서 비롯된다는 것이다. 즉, 장애인의 일상생활 속에서 다양하게 경험하는 불만족에서, 이러한 불만족(결핍)을 해결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의 일환으로 취업하고자 하는 의지를 가진다.
일상생활 영역에 대한 장애인의 주관적 만족수준을 기준으로 장애인 고용정책 대상집단을 구분한 결과, 심리적 충족집단과 심리적 결핍집단 등 2개의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심리적 충족집단은 모든 영역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만족하는 장애인들로 구성된 집단으로, 상대적으로 학력수준이 높고 경증장애인의 비중이 높으며 월평균 소득이 높은 집단을 의미한다. 또한 심리적 결핍집단에 비하여 직접적인 구직활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취업의지가 높으며), 실제 장애인 고용서비스도 더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세분화된 정책대상집단은 한번 결정되면 변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였다. 특히 주목할 점은 심리적 결핍이 증대되거나 혹은 심리적 결핍이 해소되는 데에는 취업을 통한 경제활동상태의 변화가 영향을 미치며, 특히 취업으로 인한 심리적 결핍의 해소에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장애인의 심리적 결핍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취업상태로의 변화가 중요하며, 장애인의 취업을 지원하는 장애인 고용정책에 대한 정당성이 다시 한번 확인되었다.
세 번째 단계는 그렇다면 이렇게 세분화된 정책대상집단에 대하여 장애인 고용서비스정책은 과연 애초에 목표로 하였던 성과를 달성하고 있는가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한 과정이다. 본 연구는 이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자기선택편의를 제거하기 위하여 성향점수매칭(PSM)을 통하여 심리적 결핍수준에 따른 차이를 제외한 다른 차이는 모두 통제하였다.
분석 결과, 장애인 전체를 대상으로 성과를 측정하였을 때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지 않았다. 하지만 장애인의 심리적 요인을 추가하여 정책대상집단을 세분화하여 재분석하면 이와는 상이한 결과가 도출된다.
먼저 심리적 충족집단에서는 일관되게 장애인 고용서비스정책이 취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원인을 Maslow의 욕구단계이론에 기반하여 고찰하면, 심리적 충족집단에 속해 있는 장애인은 이미 내·외적 및 관계적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만족수준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기초적인 생활수준에 대한 보장과 같은 저차원적 욕구보다는 보다 높은 삶의 질을 추구하고, 일하는 과정에서 자아를 실현하고자 하는 고차원적 욕구가 발현된다. 하지만 현행 장애인 고용서비스를 통해 창출되는 일자리의 열악한 수준 및 단순 업무에 초점이 맞추어진 훈련 프로그램 등은 심리적 충족집단에 속한 장애인의 고차원적인 욕구를 충족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이로 인한 장애인 고용서비스정책에 대한 불만족과 불신 등은 결국 부정적인 성과로 이어질 수 있다.
반면 심리적 결핍집단에서 장애인 고용서비스정책은 긍정적인 성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심리적 결핍집단과 그동안 상대적으로 노동시장에서 소외되어 있다고 논의되어 오던 중증장애인 및 신체외부장애 외의 장애(감각 장애, 정신적 장애, 신체내부장애)를 가진 장애인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장애인 고용서비스가 장애인 집단 중에서 상대적으로 더 열악한 환경에 처해 있는, 그래서 보다 정책의 개입을 시급하게 필요로 하는 정책대상집단에게는 분명히 목표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요약컨대, 현행 장애인 고용서비스정책은 특정 집단에 대해서만 성과가 나타났으며, 오히려 반대의 효과를 미치기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목할 점은, 이러한 정책대상집단의 세분화에도 불구하고 어떠한 경우에도 고용서비스정책의 성과가 나타나지 않는 집단이 존재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집단은 장애인 고용서비스정책을 제공하는 과정에서 일종의 사각지대에 처해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그동안 많은 선행연구에서 정책의 제언으로 제시하였던 ‘차등적 서비스의 제공’이 실제로 필요하다는 점을 지지하는 실증적 분석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장애인 고용서비스정책의 양적 성과뿐만 아니라 질적인 성과를 분석한 결과, 대체적으로 고용서비스를 이용한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하여 모든 영역에서 더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양하게 세분화된 장애인 집단에서도 일관되게 나타나고 있어 우리나라 장애인 고용서비스가 일정 수준 이상의 질적 성과를 달성하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하지만 고용서비스의 이용 여부가 일자리에 대한 만족도 개선을 이끌어 내기는 하였지만, 그 수준은 여전히 3.0(보통)대에 머무르고 있다는 것은 향후 장애인 고용서비스의 질적 수준 향상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러한 서비스의 질적 수준 향상은 결국 이용자의 만족도를 높이고, 이에 따라 장애인 고용서비스정책에 대한 신뢰 향상으로 이어져 현재의 낮은 서비스 이용률을 증진시키는 데에도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책학, 권기헌, 서울: 박영사, , 2008
2. 재활의학, 김진호, 한태륜, 서울: 군자출판사, , 2002
3. 「산업심리학」, 장병주, 문창사, , 1994
4. 「소득분배론」, 이정우, 비봉출판사, , 1997
5. 행정조사방법론, 남궁근, 법문사, , 2013
6. 「장애인복지론」, 권선진, 청목, 학현사, , 2005
7. 장애인복지의 이해, 강영실, 신정, 신정, , 2008
8. 「장애인복지개론」, 정무성, 학현사, 학현사, , 2006
9. 「장애인복지개론」, 남상만 , 홍익재, 홍익제, , 2002
10. 「취업과 경력개발」, 김재원, 법문사, 서울: 법문사, , 1997
1. 정책학, 권기헌, 서울: 박영사, , 2008
2. 재활의학, 김진호, 한태륜, 서울: 군자출판사, , 2002
3. 「산업심리학」, 장병주, 문창사, , 1994
4. 「소득분배론」, 이정우, 비봉출판사, , 1997
5. 행정조사방법론, 남궁근, 법문사, , 2013
6. 「장애인복지론」, 권선진, 청목, 학현사, , 2005
7. 장애인복지의 이해, 강영실, 신정, 신정, , 2008
8. 「장애인복지개론」, 정무성, 학현사, 학현사, , 2006
9. 「장애인복지개론」, 남상만 , 홍익재, 홍익제, , 2002
10. 「취업과 경력개발」, 김재원, 법문사, 서울: 법문사, , 1997
11. 장애인 취업실태조사, 강필수,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 1994
12. 「사회복지서비스법」, 박석돈, 삼영사, , 2005
13. 장애인고용과 정책집행, 이곤수, 한국학술정보, 한국학술정보(주), , 2007
14. 장애인취업의 결정요인, 전리상, 한국학술정보, 서울: 한국학술정보, , 2006
15. 중고령자 취업 결정요인, 성지미(Jaimie Sung), 안주엽(Jo-yup Ahn), 한국노동연구원, 「노동정책연구」, 6(1): 39-74, , 2006
16. “STATA 패널데이터 분석”, 최필선, 민익식, 지필미디어, 서울: 지필미디어, , 2012
17. 한국 장애인노동시장분석, 어수봉, 「한국노동경제연구」, 19(1): 66-100, , 1996
18. IMF 시대의 장애인 고용전략, 백은령,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장애인고용」, 3: 33-42, , 1998
19. 취업장애인의임금결정요인, 조정화, 김지나, 조상미,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장애와 고용」, 20(3): 75-96, , 2010
20. 사회통합과 장애인 복지정치, 이성규, 나남, 나남, , 2000
21. 시각장애인의 고용 결정요인, 임종호,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제3회 장애인 고용패널 학술대회 논문집」, 11: 507-527, , 2011
22. 장애등급제 폐지에 대한 토론, 김동범, 「장애인계 장애등급제 대토론회 토론문(서울, 2013. 3. 15)」. pp. 7-16, , 2013
23. 「일상생활동작과 기능훈련」, 정진우, 대학서림, 서울: 대학서림, , 1991
24. 대졸자의 실업경험의 낙인효과, 강순희, 안준기, 한국경제연구학회, 「2010 경제학 공동학술대회」발표논문, , 2010
25. 민간고용지원활동 활성화 방안, 최영미, 「경남고용포럼」, p.13, , 2011
26. 정신장애인 직업재활 사례연구, 박헌수, 채인석, 강지은,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37: 443-457, , 2011
27. 지적장애 근로자 직업성공요인, 구인순, 정민예, 유은영, 이재신, 「직업재활연구」, 17(2): 55-75, , 2007
28. 「장애인 맞춤훈련 성과 분석」, 박자경, 장창엽, 이한선, 최경림,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 2010
29. 정신장애인의 취업의지 예측 요인, 한상숙, 한정혜, 윤은경, 한국간호과학회, 「대한간호학회지」, 38(4): 541-549, , 2008
30. 장애의 집단체계 분류에 관한 연구, 오혜경, 한국장애인복지학회, 「한국장애인복지학」, 5: 67-109, , 2006
31. 장애인 취업예측 요인에 관한 연구, 류정진, 대구대학교,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5
32. 장애인 취업예측 요인에 관한 연구, 류정진(柳正珍), 나운환(羅雲煥), 한국행정학회, 「한국행정학보」, 40(2): 167-193, , 2006
33. 장애인고용부문의 성과와 추진방향, 李善雨,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포럼」, 65: 29-40, , 2002
34. 「노동시장의 변화와 장애인 고용」, 박우성,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 1998
35. 구직형태의 동태적 분석과 고용대책, 박성준, 한국경제연구원, , 1998
36.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임금격차 분석, 임수정, 유완식, 「재활복지」, 17(1): 77-105, , 2013
37. 장애인의 취업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오세란, 「사회복지정책」, 34: 255-275, , 2008
38. 노령 장애인의 취업욕구에 관한 연구, 박혜전, 이승욱,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0(2): 83-110, , 2007
39. 장애인 고용서비스의 취업 효과 분석, 전영환, 「장애와 고용」, 24(1): 5-58, , 2014
40. 장애인 고용이론과 요인에 대한 고찰, 임두택, 전리상, 「현대과학연구」, 11(1): 35-68, , 2001
41. 장애인 노동시장 내부의 분단성 연구, 강동욱,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사회복지정책」, 21: 111.128, , 2005
42. 장애인 취업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전이상,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2
43. 장애인의 실업특성 요인에 관한 연구, 나운환, 정명현, 한국행정학회, 「한국행정학보」, 38(6): 267-193, , 2004
44. 장애인의 취업 및 임금결정요인 연구, 김성희, 김성희, 숭실대학교 대학원,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2010
45. 노동시장의 여성장애인 이중차별구조, 강동욱,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사회복지정책」, 15(1): 7-32, , 2002
46. 장애인 직업 재활 정책의 현황과 과제, 최원영 ( Won Young Choi ),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연세사회복지연구」, 10: 65-92, , 2004
47. 장애인고용서비스 전달체계 개선방안, 황수정,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 2006
48. 「일자리 창출을 위한 고용전략 연구」, 임동순, 이규복, 김승택, 이규용, 김주섭, 신용상, 조준모, 황성수, 한국노동연구원, , 2007
49. 경제위기, 사회정책 그리고 장애인고용, 이성규, 「장애인 고용」, 27: 12-24, , 2004
50. 「직업적 장애 개념 도입을 위한 연구」, 노동부, 노동부, 노동부 위탁연구, , 2003
51. 경제위기, 사회정책 그리고 장애인 고용, 이성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장애인고용」, 3: 12-24, , 1998
52. 장애등급제 폐지는 권리보장의 시작이다, 박경석, 「장애인계 장애등급제 대토론회 토론문」(서울, 2013. 3. 15). pp. 29-56, , 2013
53. 잠재집단분석을 이용한 고객 세분화 연구, 서광규, 대한안전경영과학회,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14(2): 237-243, , 2012
54. 장애인 고용촉진을 위한 행정전략의 평가, 전영평, 한국행정학회, 「한국행정학보」, 29(1): 279-300, , 1995
56. 「장애인고용정책 20년 평가와 미래전략」, 류정진, 전영환, 남용현, 박창수,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 2010
57. 한국사회 도시노인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형수,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사회복지정책」, 19: 113-142, , 2004
58. 산재장애인의 재취업실태와 영향요인 분석, 박수경, 「한국사회복지학」, 37: 67-88, , 1999
59. 장애인 취업·임금차별에 관한 계량적 분석, 강동욱, 「한국사회복지학」, 56(2): 121-144, , 2004
60. 「장애인 장기실업 특성요인에 관한 연구」, 정명현,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3
61. 「장애인 취업실태와 고용의 경제적 효과」, 정기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1996
62. 「제1회 장애인 고용패널학술대회 논문집」, 남연희, 김영삼, 시각장애 취업자와 미취업자의 특성 및 관련 변인 분석, , 2010
63. 「제4회 장애인 고용패널학술대회 논문집」, 임경원, 백종남, 지적장애인의 취업 예측 변인 및 자폐성 장애인의 경제활동 관련 정보 탐색, , 2012
64. 비수급 근로빈곤층의 생활 실태와 근로의욕, 류정순, 한국빈곤문제연구소, 「한국빈곤문제연구소 기념논문집」, 42-63, , 2004
65. 중·고령자의 재취업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김학주, 우경숙, 「한국노년학」, 24(2): 97-110, , 2004
66. 한국형 직업재활체계와 프로그램 개발 절실, 변경희, 참여연대사회복지위원회, 「복지동향」, 46: 15-19, , 2002
67. 「장애인 직업능력 분류 및 판정체계 연구」, 김언아,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 2006
68. 중장년기 종사상 지위와 은퇴 과정의 다양성, 박경숙, 「노동경제론집」, 24: 177-205, , 2001
69. 「건설기능인력의 근로동기 평가모델 개발」, 오치돈,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4
70. 장애대학생과 비장애대학생의 취업욕구 분석, 오세철,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44: 21-44, , 2004
71. 「장애인 고용과 복지정책의 연계방안 연구」, 김규한, 이준우, 임수정,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 2012
72. 「장애인 복지정책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장다일, 조선대학교 정책대학원,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7
73. 「제1회 장애인고용패널 학술대회 발표논문」, 조민수, 장애인의 취업 및 취업형태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2009
74. 시각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 실태와 관련 요인, 곽지영, 이익섭, 박수경, 한국사회복지학회, 「한국사회복지학」, 54: 149-176, , 2003
75. 장애인-비장애인의 취업확률 격차와 장애효과, 황수경, 「노동정책연구」,3(1): 141-169, , 2003
76. 중증장애인 고용이슈와 개선방향에 관한 제언, 이달엽, 이성일, 한국직업재활학회, 「직업재활연구」, 11(1): 45-60, , 2001
77. 취업전후 직업훈련 이수와 성별임금격차 완화, 신영수, 한국노동경제학회, 「노동경제논집」. 19(1): 53-68, , 1996
78. 「직업능력개발센터 재활프로그램 운영방안」, 박자경, 장우종, 이국주,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 2007
79. 장애여성의 취업 및 취업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곽지영, 「제1회 장애인고용패널 학술대회 논문집」, 209-236, , 2009
80. 장애인 직업재활 서비스 전달체계에 관한 연구, 나운환, 한국장애인재활협회, 「재활복지」, 5(2): 65-86, , 2001
81. 활동보조서비스 성과 및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이익섭, 김동기, 김경미, 한국사회복지학회, 「한국사회복지학」, 59(1): 117-143, , 2007
82. 「노인의 장기요양서비스 이용행태 결정요인」, 이동현,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6
83. 기능적 장애 개념과 중증 장애인 기준의 타당성, 이석원, 정희정, 「정책분석평가학회보」, 18(4): 355-373, , 2009
84. 행정계량분석에서의 표본선택편의 최소화 방안, 김덕준, 「공공행정연구」,6(2): 1-16, , 2005
86. 중증장애인직업재활 지원사업 성과와 발전 방안, 나운환, 한국장애인개발원, , 2013
87. 「직업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오수정,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1999
88. 임금근로장애인의 ‘고용의 질’ 개념 및 결정요인, 변경희, 「장애와 고용」, 20(2): 189-212, , 2010
89. 취약계층 고용서비스 이용실태 및 서비스 강화방안, 박찬임, 한국노동연구원, 한국노동연구원, , 2007
90. 「장애인복지 서비스 세분화와 수요결정요인 연구」, 박공임, 한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2
92. 제외국의 직업능력을 고려한 장애기준 적용사례연구, 채기화, 김형식, 최국환, 이달엽,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위탁과제보고서, , 2004
93. 장애인 직업훈련사업의 효과성과 활성화에 관한 연구, 이성규, 「한국사회복지학」, 56(1): 155-179, , 2004
94. 장애인서비스 전달체계 개편방안에 대한 비판적 고찰, 이선우, 「사회복지연구」, 39: 221-252, , 2008
95. 「노인의 직업만족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분석」, 김연균,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8
96. 장애등급의 문제를 넘어서 -장애의 정의․분류․측정-, 조한진, 「재활복지」, 15(4): 1-26, , 2011
97. 지적장애인의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홍직, 임효순, 「장애와 고용」, 19(3): 27-50, , 2010
98. 「한국 장애인의 피고용여부와 월임금수준 결정요인」, 권유경,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1998
99. 우리나라 고령자들의 근로 동기에 따른 유형 분류 연구, 이종은 , 장재윤,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2(4) 487-514, , 2009
100. 장애인에 대한 직업훈련이 취업 및 소득에 미치는 영향, 유동철, 韓國社會福祉學會, 「한국사회복지학」, 42: 290-313, , 2000
101. 사회복지서비스 교환권제도(voucher)도입의 가능성과 과제, 최재성, 「한국사회복지행정학」, 2: 153-172, , 2000
102. 「장애인 직업재활시설의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최훈서, 성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3
103.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가 노동 공급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박상현, 김태일, 한국정책학회, 「한국정책학회보」, 20(4): 277-307, , 2011
104.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세미나․토론회 자료」, 허수정, 장애인의 장애특성 및 고용서비스가 장애인 취업 및 근로활동 유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2011
105. 도시지역 미취업 노인들의 취업의사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허준수, 「한국사회복지학」, 58(1): 291-318, , 2006
106. 여성장애인의 고용현황 및 직업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구인순, 김세연, 박자경,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지」, 12(8): 318-329, , 2012
107. 장애인 직업재활서비스의 이용 결정과정 및 사업성과 분석, 이석원, 「한국정책학회보」, 17(4): 89-112, , 2008
109. 정신적 장애인의 경제수준, 직업능력 및 취업욕구관련 분석, 이현경, 박효은, 최만규,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7): 265-277, , 2013
110. 취업장애인의 직업유지에 영향을 주는 제 특성에 관한 연구, 이채식, 김명식,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장애와 고용」, 23(1): 327-356, , 2013
111. 재활복지 전문 인력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 및 관련변인 연구, 최국환, 「재활복지」, 16(4): 119-136, , 2012
112. 정신장애인 직업재활모델과 직업평가: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김상희, 이성규, 「한국사회복지학」, 33: 287-313, , 2003
113. 「여성에 대한 공공 고용서비스 전달체계 평가 및 개선방안」, 한국고용정보원, 한국고용정보원, 한국고용정보원, , 2009
114. 장애인의 주관적 삶의 질 : 삶의 만족도 구조모형의 성별 비교, 이지수, 「한국사회복지학」, 59(2): 89-114, , 2007
115. 조직부문 피고용자의 임금결정모형 연구. 「노동과 불평 등」, 남춘호, 서울:나남, , 1998
116. 중 고령자의 실직 재취업에 대한 동태분석. 「한국사회학회」, 이성용, 2007 후기 사회학대회논집: 645-660, , 2007
117. 한국장애인 노동시장의 단층구조분석 : 학력과 성을 중심으로, 강동욱, 「한국사회복지학」, 50: 157-172, , 2002
118. 「장애인직업재활에 있어서의 의료평가 매뉴얼 개발 보고서」, 강미화,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부, , 2002
119. 여성장애인의 취업 및 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김정아, 대구대학교,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3
120. 「국회 예산안 심사과정에서 지원조직의 영향력에 관한 연구」, 김태진,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3
121. 「고령자 재취업 및 직종선택의 결정요인과 정책에 관한 연구」, 라진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9
122. 「노동시장의 장애인 차별 영향 분석: 지체장애인을 중심으로」, 유동철,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2
123. 「장애인의 취업으로 인한 가구소득 변화에 관한 종단적 연구」, 한경성,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3
124. 심리적 요인과 근로사업 만족도 요인이 근로의욕에 미치는 영향, 원상숙, 최용민, 한국복지행정학회, 「복지행정논총」, 20(2): 195-220, , 2010
125. 「한국 주식공개상장기업의 성과추정: 성향점수매칭 방법 적용」, 하재연, 고려대학교 대학원,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2013
126. 「뇌성마비인의 고용과 임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임종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5
127. 「한국과 중국 기혼취업여성의 주관적 삶의 질에 관한 비교연구」, 안화선, 전남대학교 대학원,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8
128. 성장혼합모형을 활용한 청소년활동 참여 수준의 유형과 특성 분석, 조아미, 신택수,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청소년연구」, 23(2): 161-184, , 2012
129. 패널데이터를 활용한 장애인 고용서비스의 취업 및 임금효과 분석, 김경선, 김영식, 「장애와 고용」, 22(3): 157-187, , 2013
130. 패널데이터를 활용한 장애인 고용서비스의 취업 및 임금효과 분석, 김동일, 김경선, 김수정, 「장애와 고용」, 23(1): 157-187, , 2012
131. 빈곤층의 근로에 대한 태도: 근로가치와 근로동기에 대한 질적 분석, 이현주,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학술발표논문집」, 1-33, , 2012
132. 직업재활의 연구동행을 통해서 본 직업재활정책의 새로운 패러다임, 나운환, 「직업재활연구」, 9: 135-147, , 1999
133. 「장애인 자립을 위한 장애인 복지정책의 현황과 중장기 발전방안」, 변용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2002
134. 21세기를 향한 장애인 고용. 「1995년 장애인고용촉진 세미나 자료집」, 이익섭,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 1995
135. 「장애인 복지지표를 통해 살펴 본 OECD 국가의 장애인정책 비교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 2011
136. 사회적 배제 집단의 잠재적 유형 분류 및 성별과 학력에 따른 차이분석, 이정은, 조미형, 「사회복지정책」, 36(3): 79-103, , 2009
137. WHO의 새로운 국제장애분류(ICF)에 대한 이해와 기능적 장애 개념의 필요성, 황수경, 「노동정책연구」, 4(2): 127-148, , 2004
138. 「국내외 공공서비스 민간위탁추진실태 분석을 통한 효율화 방안 모색」, 강금봉, 최석규, 유길상, 김동현, 고용노동부, , 2010
139. 「장애인의 취업과 임금에 관한 연구: 노동시장 진입 전후 차별의 영향」, 김정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3
140. 실업자 직업훈련의 취업효과 분석 : 고용가능성과 고용안정성을 중심으로, 이종구,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2
141. 가족부양자의 재가복지서비스 이용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송다영, 「한국사회복지학」, 53: 105-128, , 2003
142. 잠재계층분석(LCA)을 이용한 학업중단 청소년의 유형과 심리사회적 특성 연구, 김범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3
144. 여성 청각, 언어장애인의 취업욕구에 관한 조사 연구: 부산,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김기태, 「사회복지연구」, 9: 39-60, , 1999
146. 중증장애인 고용정책설계에 관한 연구: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을 중심으로, 유은주, 중앙대학교 대학원,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4
147. 만성질환 및 기능손상노인 가족수발자의 재가복지서비스 이용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이인정, 「한국사회복지학」, 56(3): 183-205, , 2004
148. 장애인의 경제활동유형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Multinomial logit(다항로짓)을 이용한분석, 이선우, 「사회복지연구」, 18: 113-135, , 2001
149. 장애인 취업 및 재취업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분석: 프로빗을 이용한 분석, 이선우, 「한국사회복지학」, 33: 287-313, , 1997
150. 근거 중심 고령화 정책에 관한 연구: 중・고령자 삶의 질에 관한 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강소랑,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3
151. 종단프로파일분석과 군집분석을 이용한 잠재집단연구: 성장혼합모형과 비교를 통하여, 신택수, 「교육평가연구」, 23(3): 641-664, , 2010
152. 「노인의 취업 욕구와 취업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은평구와 동대문구를 중심으로」, 박해자,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7
154. 서경도. 심리적 계약위반이 근로의욕 및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상사지원의 조절효과, 정영미, 「인적자원관리연구」, 18(1): 111-128, , 2011
157. 공공조직의 학습조직 수준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동기부 여와 직무만족을 매개변인으로, 김은영,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0
158. 기업의 창조적 경영혁신을 위한 디자이너의 동기부여 요인: 매슬로우의 욕구단계설 중심으로, 정정호, 「한국디자인포럼」, 29: 125-134, , 2010
159. 「시니어클럽 참여자의 특성 분석: 관악구와 종로구 노인참여자의 근로의욕 비교를 중심으로」, 진윤아,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1
161. 「호텔기업 여성종사원이 인식하는 성차별이 근로의욕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 서철현, 20(3): 14-59, , 2006
163. 「장애인 직업재활프로그램 및 서비스에 대한 욕구조사: 장애인 직업재활기관의 실무자를 대상으로」, 황령희,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상담평가부,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 2002
164. 중증장애인 일상생활동작기능 평가척도 개발 필요성에 관한 연구: Barthel Index의 구성타당도를 중심으로, 김봉선, 김종우, 이승욱, 「직업재활연구」, 20(1): 215-236, , 2010
165. 교욱복지 실천현장에서 서비스 이용 행동을 결정하는 요인 연구: Andersen and Newman의 행동모델을 중심으로, 정연정, 「한국아동복지학」, 31: 7-37, , 2010
166. 특수학교의 인적자원개발방향: 정신지체인 등 발달장애를 중심으로. 「제2차 특수학교장 워크샵 자료집」, 오길승, 국립특수교육원, , 2001
168. 「직업적 장애기준과 고용서비스 연계방안: 장애인의 근로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평가도구 개발을 중심으로」, 유완식,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한국장애인고용공단, , 2012
169. 「국민기초생활보장 조건부수급자의 자활근로의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구로지역을 중심으로」, 조성호, 한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2
171. 자활사업참여자의 근로의욕증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시 자활후견기관사업 참여자를 중심으로, 노희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4
172.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유형재편 추진상황과 문제점.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유형개편 현황과 문제점 개선을 위한 정책토론회」, 나운환, 한국장애인직업재활시설협회, pp. 6-30, , 2010
173. 지원고용프로그램에 참여한 정신장애인의 취업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개인적 훈련능력 및 훈련사업체 특성을 중심으로, 이화진, 이형렬, 「장애와 고용」, 15(1): 105-130, ,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