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수능직후 실시한 전공탐색 프로그램의 회기평가, 전공 선택 유형 변화, 진로태도 성숙 효과 = The effects of major exploring program on session evaluation, major selection type,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475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academic major exploring career program performed right after the national scholastic aptitude test on session evaluation, major selection type,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For theses purposes, academic major exploring career program was developed. The main factors of the program were exploring the preferred academic majors and occupations by one's own or significant others, performing and interpreting the standardized test, monitoring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preferred academic majors and occupations, and tentative decision making about one's own academic major.
      The number of session was 6, 2 sessions were operated a week, each session took the about 100 minutes. The program was preformed between the time right after performing the national scholastic aptitude test and announcing the record. All the subjects took pre-post tests such as major selection questionnaire and CAMI(Career attitude maturity inventory). But only experimental group took SEQ(session evaluation questionnaire). The final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33 in experimental group and 50 in control group.
      The results showed that the 4th session was most preferred by the participants. Smoothness was related with improving the total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the comprehensive consideration before choosing academic major positively. Depth was related with improving total career attitude and decisiveness. Arousal was related with the comprehensive consideration before choosing academic major and purposiveness. The participants improved in rational major selection type, the total career attitude maturity, decisiveness, conviction, and preparedness.
      번역하기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academic major exploring career program performed right after the national scholastic aptitude test on session evaluation, major selection type,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For theses purposes, acad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academic major exploring career program performed right after the national scholastic aptitude test on session evaluation, major selection type,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For theses purposes, academic major exploring career program was developed. The main factors of the program were exploring the preferred academic majors and occupations by one's own or significant others, performing and interpreting the standardized test, monitoring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preferred academic majors and occupations, and tentative decision making about one's own academic major.
      The number of session was 6, 2 sessions were operated a week, each session took the about 100 minutes. The program was preformed between the time right after performing the national scholastic aptitude test and announcing the record. All the subjects took pre-post tests such as major selection questionnaire and CAMI(Career attitude maturity inventory). But only experimental group took SEQ(session evaluation questionnaire). The final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33 in experimental group and 50 in control group.
      The results showed that the 4th session was most preferred by the participants. Smoothness was related with improving the total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the comprehensive consideration before choosing academic major positively. Depth was related with improving total career attitude and decisiveness. Arousal was related with the comprehensive consideration before choosing academic major and purposiveness. The participants improved in rational major selection type, the total career attitude maturity, decisiveness, conviction, and preparednes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수능 직후에서 발표일 전까지 한 달을 활용하여 고 3 수험생들에게 전공탐색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6회기짜리 전공탐색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주요 내용은 자기이해, 전공이해, 전공 관련 직업이해, 그리고 의사결정으로 이루어졌다. 프로그램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회기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전공 선택 유형과 진로성숙도의 변화를 사전-사후검사를 통해 측정하였다. 프로그램 운영은 3개의 고등학교에서 진행되었으며, 최종 분석 연구 대상은 실험집단 33명, 통제집단 50명이었다.
      연구결과 프로그램 전체 6 회기 중 깊이, 순조로움, 긍정적 정서, 각성도 모두에서 가장 높은 회기 평가를 받은 회기는 취직과 자격증의 관계를 이해하고 전공탐색검사를 해석하는 활동으로 구성된 4회기였다. 자신의 꿈의 변천과정과 자신에게 바라는 직업을 꼴라쥬로 표시하는 활동을 하는 2회기를 깊이 있고 순조로우며 긍정적인 정서를 느낀 회기로 평가하였다. 회기평가의 순조로움은 인기도와 취업전망을 고려하는 경향, 진로태도성숙도 전체의 상승, 깊이는 진로태도성숙도 전체 및 결정성의 긍정적인 변화, 각성도는 적성과 흥미를 고려하는 경향, 적성ㆍ흥미도ㆍ인기도ㆍ취업전망을 고려하는 것, 그리고 목적성을 증진시키는 것과 의미 있는 정적관계가 있었다. 프로그램 참가자들은 적성․흥미ㆍ인기도와 취업전망을 모두 고려하는 합리적인 전공 선택 경향이 강해졌고, 진로태도 성숙도의 결정성과 확신성, 준비성 뿐 아니라 진로태도 성숙도 전체에서도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이 외에도 수능 직후의 고 3 수험생을 위한 교육적 처치의 대안으로서 본 프로그램의 가치와 프로그램 내용과 운영상의 특성을 비롯한 연구의 의의와 연구의 한계점 및 제언이 논의되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수능 직후에서 발표일 전까지 한 달을 활용하여 고 3 수험생들에게 전공탐색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6회기짜리 전공탐색 프로그램...

      이 연구는 수능 직후에서 발표일 전까지 한 달을 활용하여 고 3 수험생들에게 전공탐색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6회기짜리 전공탐색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주요 내용은 자기이해, 전공이해, 전공 관련 직업이해, 그리고 의사결정으로 이루어졌다. 프로그램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회기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전공 선택 유형과 진로성숙도의 변화를 사전-사후검사를 통해 측정하였다. 프로그램 운영은 3개의 고등학교에서 진행되었으며, 최종 분석 연구 대상은 실험집단 33명, 통제집단 50명이었다.
      연구결과 프로그램 전체 6 회기 중 깊이, 순조로움, 긍정적 정서, 각성도 모두에서 가장 높은 회기 평가를 받은 회기는 취직과 자격증의 관계를 이해하고 전공탐색검사를 해석하는 활동으로 구성된 4회기였다. 자신의 꿈의 변천과정과 자신에게 바라는 직업을 꼴라쥬로 표시하는 활동을 하는 2회기를 깊이 있고 순조로우며 긍정적인 정서를 느낀 회기로 평가하였다. 회기평가의 순조로움은 인기도와 취업전망을 고려하는 경향, 진로태도성숙도 전체의 상승, 깊이는 진로태도성숙도 전체 및 결정성의 긍정적인 변화, 각성도는 적성과 흥미를 고려하는 경향, 적성ㆍ흥미도ㆍ인기도ㆍ취업전망을 고려하는 것, 그리고 목적성을 증진시키는 것과 의미 있는 정적관계가 있었다. 프로그램 참가자들은 적성․흥미ㆍ인기도와 취업전망을 모두 고려하는 합리적인 전공 선택 경향이 강해졌고, 진로태도 성숙도의 결정성과 확신성, 준비성 뿐 아니라 진로태도 성숙도 전체에서도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이 외에도 수능 직후의 고 3 수험생을 위한 교육적 처치의 대안으로서 본 프로그램의 가치와 프로그램 내용과 운영상의 특성을 비롯한 연구의 의의와 연구의 한계점 및 제언이 논의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기철, "현실요법을 적용한 진로프로그램이 일반계 남자 고등학생의 진로의식 성숙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 김봉환, "학교진로상담" 학지사 2006

      3 안창규, "학과선택의 길잡이: 홀랜드 전공탐색검사" 한국가이던스 2003

      4 김현옥, "청소년의 진로성숙과 관련변인과의 상관관계" 건국대학교 1989

      5 이기학, "진로태도 측정도구의 타당화를 위한 도구" 8 : 219-255, 1997

      6 김덕희, "진로탐색검사 결과해석 방법에 대한 교육이 인문계 고등학생의 진로성숙태도에 미치는 효과"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7 류은영,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인문계 고등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7

      8 황혜자,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대학원 53-73, 2005

      9 황매향, "진로의사결정에서 나타나는 타협과정-대학 및 학과선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10 김희수, "진로성숙의 변인연구" 20 (20): 57-68, 2007

      1 권기철, "현실요법을 적용한 진로프로그램이 일반계 남자 고등학생의 진로의식 성숙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 김봉환, "학교진로상담" 학지사 2006

      3 안창규, "학과선택의 길잡이: 홀랜드 전공탐색검사" 한국가이던스 2003

      4 김현옥, "청소년의 진로성숙과 관련변인과의 상관관계" 건국대학교 1989

      5 이기학, "진로태도 측정도구의 타당화를 위한 도구" 8 : 219-255, 1997

      6 김덕희, "진로탐색검사 결과해석 방법에 대한 교육이 인문계 고등학생의 진로성숙태도에 미치는 효과"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7 류은영,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인문계 고등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7

      8 황혜자,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대학원 53-73, 2005

      9 황매향, "진로의사결정에서 나타나는 타협과정-대학 및 학과선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10 김희수, "진로성숙의 변인연구" 20 (20): 57-68, 2007

      11 한국교육개발원, "진로성숙도 검사 표준화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1

      12 박지연, "직업카드를 활용한 진로상담 프로그램이 일반계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의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효과.석사학위 논문" 성균관대학교 2007

      13 진미석?손유미, "중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지도체제 구축방안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0

      14 대구광역시교육과학연구원, "재량 활동 시간을 위한 진로 교육 프로그램 Ⅲ" 대구광역시교육과학연구원 2002

      15 충청북도교육청, "자아실현을 돕는 진로상담과 대안교육" 충청북도교육청 2006

      16 최성락, "일반계 고등학교 진로교육의 실태와 개선 방안에 관한 조사 연구"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7 서정희, "인터넷을 활용한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학생의 진로의식 성숙에 미치는 영향"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8 이상희, "상담회기평가질문지(Session Evaluation Questionnaire)의 타당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3

      19 진미석, "멀티미디어 진로지도 프로그램 아로 II가 여자 고등학생의 진로의식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3

      20 하혜숙, "대학생의 학과(학부)만족과 학교만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9

      21 이상희, "대학생의 진로장애와 진로태도성숙의 관계-진로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22 이기학, "대학생의 진로선택유형에 따른 진로태도성숙과 진로미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청소년상담원 11 (11): 13-21, 2003

      23 구윤희, "대학생의 전공선택유형과 학업적 적응과의 관계"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7

      24 허철수, "대학 및 학과선택 결정과정과 학업적응과의 관계" 제주대 학생생활연구소 129-150, 1989

      25 임은미, "국내 집단 진로지도 및 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청소년상담원 11 (11): 3-11, 2003

      26 송인섭, "교과통합형 진로지도 모형개발과 적용"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6

      27 이기학, "고등학생의 진로태도 성숙과 심리적 변인들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7

      28 정철영,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지도 프로그램 개발"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8 (38): 251-277, 2006

      29 경기도교육정보연구원, "고등학교 진로와 직업" 중앙교육진흥연구소 2000

      30 한국진로교육학회, "고등학교 진로와 직업" 대한교과서 2003

      31 서울특별시교육과학연구원, "고등학교 진로교육 가이드북,디지털 시대에 미래를 여는 길" 서울특별시교육과학연구원 2000

      32 Super, D. E, "Vocational development theory: Persons, positions, and processes, Perspectives on vocational development" American Personnel and Guidance Association 1972

      33 Stiles, W. B, "Use of the session evaluation questionnaire" Miami University 1989

      34 Crites, J. O., "The career maturity inventory-Revised form" Careerware:ISM 1996

      35 Stiles,W.B., "Participants' perceptions of self- analytic group sessions" Small Group Behavior 1982

      36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National career development guidelines competencies and indicators, A guide to planning and implementing K-12 career development programs" School of Education?Center on Education and Work 2001

      37 Stiles, W. B, "Measurement of the impact of psychotherapy sessions" 48 : 176-185, 1980

      38 Gottfredson, L. S, "Gottfredson's theory of circumscription and compromise,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Jossey-Bass 179-232, 1996

      39 Hill, C. E., "Effects of therapist response modes in brief psychotherapy" 35 : 222-233, 1988

      40 Gottfredson, L. S, "Circumscription and compromise: A developmental theory of occupational aspirations" 28 (28): 545-579, 1981

      41 Blocher, D. H., "Career planning for the 21st century" Love Publish Company 2001

      42 Crites, J. O, "Career maturity inventory" McGraw-Hill 1978

      43 Gysbers, N. C, "Career counseling: Process, Issues, and techniques" Allyn & Bacon 1998

      44 Zunker, V. G, "Career counseling: Applied concepts of life planning" Brooks/Cole 2002

      45 Herring, R. D, "Career counseling in schools: Multi-cultural and developmental perspectives" ACA 1998

      46 Super, D. E, "A life-span, life-space approach to career development, Applying comtemporary theories to practice" Jossey-Bass 197-261, 199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1차)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86 2.86 2.8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61 2.47 3.62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