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말라카에서 서울까지, 『쟝원량우샹론』의 전래, 번역 그리고 한국교회사적 의의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324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813년 LMS 소속 선교사 윌리엄 밀른(William Milne, 米燐)이 중국에 도착했지만, 상황이 여의치 않아 말라카에서 선교부를 개설하여 선교활동 을 했다. 그는 이곳에서 1818년 영화서원(英華書院)을 설립하였으며, 1819 년 『쟝원량우샹론(張遠兩友相論)』의 저술을 마치고 출판하였다. 『쟝원 량우샹론』은 기독교인 장(張)씨와 기독교에 호기심이 많은 원(遠)씨와의 대화체로 구성된 전도문서 및 교리문서이다. 이 전도문서는 중국과 동아 시아에 인기가 많았던 책자이다. 따라서 일본과 한국에서도 번역판이 출 판되어서 복음화에 기여했다. 1893년경에 마포삼열(S. A. Moffett) 선교사에 의해서 국내 한글번역본 이 출판되었다. 『쟝원량우샹론』은 민족복음화의 귀중한 결실을 가져오 는데 공헌을 했다. 또한 문서선교의 지평을 넓혀주었으며, 순 한글로 번 역되어 한글보급을 통한 민족문화 창달 및 한국 근대화 발전에도 큰 기 여를 했다. 그리고 한글번역판 『쟝원량우샹론』은 오늘날의 한국교회에 복음전파에 대한 열정을 갖도록 촉구하고 있다. 아울러 『쟝원량우샹론』의 국내도입과 전파는 동서양 문화교류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번역하기

      1813년 LMS 소속 선교사 윌리엄 밀른(William Milne, 米燐)이 중국에 도착했지만, 상황이 여의치 않아 말라카에서 선교부를 개설하여 선교활동 을 했다. 그는 이곳에서 1818년 영화서원(英華書院)을 ...

      1813년 LMS 소속 선교사 윌리엄 밀른(William Milne, 米燐)이 중국에 도착했지만, 상황이 여의치 않아 말라카에서 선교부를 개설하여 선교활동 을 했다. 그는 이곳에서 1818년 영화서원(英華書院)을 설립하였으며, 1819 년 『쟝원량우샹론(張遠兩友相論)』의 저술을 마치고 출판하였다. 『쟝원 량우샹론』은 기독교인 장(張)씨와 기독교에 호기심이 많은 원(遠)씨와의 대화체로 구성된 전도문서 및 교리문서이다. 이 전도문서는 중국과 동아 시아에 인기가 많았던 책자이다. 따라서 일본과 한국에서도 번역판이 출 판되어서 복음화에 기여했다. 1893년경에 마포삼열(S. A. Moffett) 선교사에 의해서 국내 한글번역본 이 출판되었다. 『쟝원량우샹론』은 민족복음화의 귀중한 결실을 가져오 는데 공헌을 했다. 또한 문서선교의 지평을 넓혀주었으며, 순 한글로 번 역되어 한글보급을 통한 민족문화 창달 및 한국 근대화 발전에도 큰 기 여를 했다. 그리고 한글번역판 『쟝원량우샹론』은 오늘날의 한국교회에 복음전파에 대한 열정을 갖도록 촉구하고 있다. 아울러 『쟝원량우샹론』의 국내도입과 전파는 동서양 문화교류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1813, William Milne, a missionary from LMS, arrived in China, but due to circumstances, he opened a missionary station in Malacca to conduct missionary work. He established The Anglo-Chinese College(英 華書院) here in 1818 and he finished writing and published The Two Friends(張遠兩友相論) in 1819. The Two Friends was a missionary and doctrinal tract consisting of dialogues between two friends, Christian Chang and non-Christian Yuen. This evangelistic document was popular in China and East Asia. Therefore, translations were also published in Japan and Korea and contributed to evangelization in their nations. Around 1893, a Korean translation of The Two Friends was published by missionary S. A. Moffett. This tract contributed to bringing the precious fruits of national evangelization. In addition, it broadened the horizon of documentary missionary work and was translated into pure Korean and contributed greatly to the promotion of national culture and the development of Korean modernization through the distribution of Hangeul by being translated into pure Korean. And the Korean translation version of The Two Friends urges today’s Korean church to have a passion for evangelical propagation again. Moreover, the introduction and dissemination of The Two Friends in Korea has the meaning of cultural exchange between East and West.
      번역하기

      In 1813, William Milne, a missionary from LMS, arrived in China, but due to circumstances, he opened a missionary station in Malacca to conduct missionary work. He established The Anglo-Chinese College(英 華書院) here in 1818 and he finished writi...

      In 1813, William Milne, a missionary from LMS, arrived in China, but due to circumstances, he opened a missionary station in Malacca to conduct missionary work. He established The Anglo-Chinese College(英 華書院) here in 1818 and he finished writing and published The Two Friends(張遠兩友相論) in 1819. The Two Friends was a missionary and doctrinal tract consisting of dialogues between two friends, Christian Chang and non-Christian Yuen. This evangelistic document was popular in China and East Asia. Therefore, translations were also published in Japan and Korea and contributed to evangelization in their nations. Around 1893, a Korean translation of The Two Friends was published by missionary S. A. Moffett. This tract contributed to bringing the precious fruits of national evangelization. In addition, it broadened the horizon of documentary missionary work and was translated into pure Korean and contributed greatly to the promotion of national culture and the development of Korean modernization through the distribution of Hangeul by being translated into pure Korean. And the Korean translation version of The Two Friends urges today’s Korean church to have a passion for evangelical propagation again. Moreover, the introduction and dissemination of The Two Friends in Korea has the meaning of cultural exchange between East and Wes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I. 시작하는 말
      • II. 윌리엄 밀른의 말라카 선교 활동
      • 1. 중국입국과 동아시아 선교여행
      • 2. 말라카 정착과 선교활동
      • 초록
      • I. 시작하는 말
      • II. 윌리엄 밀른의 말라카 선교 활동
      • 1. 중국입국과 동아시아 선교여행
      • 2. 말라카 정착과 선교활동
      • Ⅲ. 윌리엄 밀른의 『쟝원량우샹론』 출판
      • 1. 밀른의 저작활동과 『쟝원량우샹론』
      • 2. 『쟝원량우샹론』내용
      • 3. 『쟝원량우샹론』의 장르 및 특징
      • 4. 『쟝원량우샹론』의 개정 및 증보
      • Ⅳ. 『쟝원량우샹론』 동아시아 전파와 칼 귀츨라프
      • 1. 『쟝원량우샹론』동아시아 전파
      • 2. 칼 귀츨라프(Karl F. A. Gützlaff)의 『쟝원량우샹론』전파
      • Ⅴ. 마포삼열 선교사의 『쟝원량우샹론』 번역과 그 전파
      • 1. 마포삼열 선교사의 초기 활동
      • 2. 『쟝원량우샹론』의 번역 출판
      • 3. 한글번역본 『쟝원량우샹론』의 주요 본문 내용
      • 4. 『쟝원량우샹론』의 국내 전파와 그 영향
      • Ⅵ. 『쟝원량우샹론』의 번역·전파, 그 한국교회사적 의의
      • Ⅶ. 맺는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