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농촌지역 학부모 및 교사의 도농간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교육혁신 요구분석 = Needs Assessment of Rural Parents and Teachers on the Education Innovation for Releasing Education Gap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193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were to identify the needs of rural parents and teachers on education innovation for releasing education gap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Based on the survey of 708 parents of students and 371 teachers in rural areas that are divided according to 4 types, the needs of education innovation were identified. That includes improving education condition for parents and teachers, supporting education of children for parents, supporting rural school teacher, and improving opportunities of community education for parent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The needs of improving education condition for parents is supporting education activities after school, and traffic services. (2)The needs of supporting education of children for parents is increasing opportunities of arts and sports learning, and offering helpers who are facilitating learning. (3)The needs of supporting rural school teacher is increasing allowances for rural school duty and private residences. (4)The needs of improving opportunities of community education is operating village studyrooms and increasing education programs for rural residents. (5)And there is much room for consideration of varying approach in different localities because of different needs.
      번역하기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were to identify the needs of rural parents and teachers on education innovation for releasing education gap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Based on the survey of 708 parents of students and 371 teachers in rural areas t...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were to identify the needs of rural parents and teachers on education innovation for releasing education gap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Based on the survey of 708 parents of students and 371 teachers in rural areas that are divided according to 4 types, the needs of education innovation were identified. That includes improving education condition for parents and teachers, supporting education of children for parents, supporting rural school teacher, and improving opportunities of community education for parent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The needs of improving education condition for parents is supporting education activities after school, and traffic services. (2)The needs of supporting education of children for parents is increasing opportunities of arts and sports learning, and offering helpers who are facilitating learning. (3)The needs of supporting rural school teacher is increasing allowances for rural school duty and private residences. (4)The needs of improving opportunities of community education is operating village studyrooms and increasing education programs for rural residents. (5)And there is much room for consideration of varying approach in different localities because of different need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농촌지역 유형별로 도농간 교육격차 해소를 위해 농촌지역 주민(학부모) 및 교사의 교육혁신 요구를 파악하는데 있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농촌지역을 4개 유형으로 구분하고 학부모 708명, 교사 371명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학부모 및 교사의 농촌학교 교육여건 개선요구, 학부모의 자녀교육 지원요구, 농촌학교 교사의 지원요구 및 학부모의 지역사회 교육기회 개선요구를 지역유형별로 구명하였다. 농촌지역 교육혁신에 대해 밝혀진 주요 요구는 ①농촌지역 학부모 및 교사는 농촌학교 교육여건 개선을 위해서는 방과후 교육활동 기회와 통학편의 및 교통편 제공 등을 우선적으로 원하였다. ②농촌지역 학부모는 자녀교육 지원에서 예체능 교육기회를 제공하고 학습도우미를 지원해 주길 요구하였다. ③농촌학교 교사들은 농촌학교 근무수당을 지급하고 사택을 제공해 주기를 우선적으로 요구하였다. ④학부모의 지역사회 교육기회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마을공부방 운영, 평생학습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⑤한편, 이러한 요구는 구체적인 운영방안이나 우선순위에서 농촌지역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지역별로 다른 접근을 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농촌지역 유형별로 도농간 교육격차 해소를 위해 농촌지역 주민(학부모) 및 교사의 교육혁신 요구를 파악하는데 있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농촌지역...

      이 연구의 목적은 농촌지역 유형별로 도농간 교육격차 해소를 위해 농촌지역 주민(학부모) 및 교사의 교육혁신 요구를 파악하는데 있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농촌지역을 4개 유형으로 구분하고 학부모 708명, 교사 371명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학부모 및 교사의 농촌학교 교육여건 개선요구, 학부모의 자녀교육 지원요구, 농촌학교 교사의 지원요구 및 학부모의 지역사회 교육기회 개선요구를 지역유형별로 구명하였다. 농촌지역 교육혁신에 대해 밝혀진 주요 요구는 ①농촌지역 학부모 및 교사는 농촌학교 교육여건 개선을 위해서는 방과후 교육활동 기회와 통학편의 및 교통편 제공 등을 우선적으로 원하였다. ②농촌지역 학부모는 자녀교육 지원에서 예체능 교육기회를 제공하고 학습도우미를 지원해 주길 요구하였다. ③농촌학교 교사들은 농촌학교 근무수당을 지급하고 사택을 제공해 주기를 우선적으로 요구하였다. ④학부모의 지역사회 교육기회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마을공부방 운영, 평생학습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⑤한편, 이러한 요구는 구체적인 운영방안이나 우선순위에서 농촌지역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지역별로 다른 접근을 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의 사회지표" 통계청 2004

      2 "한국의 사회지표" 통계청 2000

      3 "학교혁신을 위한 학부모와 지역 사회의 역할" 150 : 35-41, 2005

      4 "학교교육 혁신에서 교장의 역할과 리더십" 150 : 24-28, 2005

      5 "지역사회학교 운영실태 분석" 교육인적자원부 1999

      6 "지역사회 중심으로서의 학교운영을 위한 지방교육청의 역할" 2005b

      7 "지역단위 인적자원개발 추진체제 구축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001

      8 "지역 및 학교간 교육격차 요인분석 인적투입과 과정요인을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1991198-223

      9 "지식정보화사회 기반 초등학교 모형 개발 연구" 2004b

      10 "지방교육혁신 역량 강화를 위한 시도교육청 혁신 실천 사례집" 교육인적자원부 2005

      1 "한국의 사회지표" 통계청 2004

      2 "한국의 사회지표" 통계청 2000

      3 "학교혁신을 위한 학부모와 지역 사회의 역할" 150 : 35-41, 2005

      4 "학교교육 혁신에서 교장의 역할과 리더십" 150 : 24-28, 2005

      5 "지역사회학교 운영실태 분석" 교육인적자원부 1999

      6 "지역사회 중심으로서의 학교운영을 위한 지방교육청의 역할" 2005b

      7 "지역단위 인적자원개발 추진체제 구축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001

      8 "지역 및 학교간 교육격차 요인분석 인적투입과 과정요인을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1991198-223

      9 "지식정보화사회 기반 초등학교 모형 개발 연구" 2004b

      10 "지방교육혁신 역량 강화를 위한 시도교육청 혁신 실천 사례집" 교육인적자원부 2005

      11 "서울시 지역간 교육격차 해소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003

      12 "도시와 농촌의 삶의 질 지수 측정방안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5

      13 "도농간 소득 및 발전 격차의 실태와 원인분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4

      14 "도농간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농촌지역 교육혁신모형 개발" 농림부 농업기반공사 2005

      15 "농촌학교의 소규모화에 따른 대응전략" 27 (27): 13-30, 1995

      16 "농촌정주생활 여건의 지역간 실태비교와 개선방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4

      17 "농촌복지 증진을 위한 제도개선 방안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1

      18 "농촌교육여건과 개선과제" 2002

      19 "농촌 학교교육의 문제점과 대책" 농정연구센터 (가을) : 81-106, 2003b

      20 "농촌 작은 학교 살리기 운동의 현황과 과제 초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농정연구센터 2003

      21 "농어촌학교 교육과정 운영방안" 충청남도 교육청 2003

      22 "농어촌지역 교육진흥을 위한 체계적 접근 방안 연구Ⅰ 초중등통합운영학교를 중심으로" 교육인적자원부 2001

      23 "농어촌 학교 우수교사 확보 방안" 2003c

      24 "농어촌 소규모학교의 육성 및 운영 모형 탐색" 35 (35): 47-62, 2003a

      25 "농어촌 교육서비스 개선방향" 2005a

      26 "농어촌 교육 진흥을 위한 중점 대책" 전라남도교육청 2002

      27 "농어촌 교육 진흥 방안 연구" 사단법인 전남교육연구소 2002

      28 "농어촌 교육 발전방안 연구" 농어촌교육발전위원회 2002

      29 "농림어업인 등에 대한 복지실태 등 조사" 농림부 2004

      30 "교육현장 혁신포럼 실천사례집" 교육인적자원부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2004a

      31 "교육격차의 실태 및 해소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4

      32 "곡성교육 발전방안 연구" 여수대학교 지역사회발전연구소 2005

      33 "The condition of education in rural schools Department of Education" 1994

      34 "Sustainable small school: a handbook for rural communities." Clearinghouse on Rural Education and Small School Charleston. 1997

      35 "Rural school and communities: getting better together." The State Education Standard. 2003

      36 "Improving Rural School Facilities: Design, Construction" Finance, and public Support. 2000

      37 "Finding their own place: youth three small rural communities tane prat in instructive school-to-work experiences" Appalachia Educational Laboratory. 1997

      38 "Effects of state policies on facilities planning and construction in rural districts" 01-8. : 2001

      39 "Education & development on poor rural communities: A interdisciplinary research agenda." 99-9. : 1999

      40 "Charter Schools: An Approach for Rural Education?" 98-3. : 1999

      41 "Building on excellence regional priorities for the improvement of rural" 1987

      42 "A needs assessment model for conducting follow up studies The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9-42, 1980

      43 "2005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교육지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5

      44 "2004 농촌생활지표 조사보고서"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농촌자원개발연구소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8-0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농업교육학회 -> 한국농·산업교육학회
      영문명 : 미등록 ->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2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농업교육학회지 ->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Agricultural Education -> Journal of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KCI등재
      2005-03-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농업교육학회지 ->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Agricultural Education ->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8 1.08 1.2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2 1.35 1.587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