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럽공통매매법(안)상 흠결있는 합의의 구제 = Remedies of Defects in consent bei CESL(P)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1146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rticle 52 of the CESL(P) provides the effects of a flawed agreement. Accordingly, if there is a breach of agreement under Article 48 Mistake, Article 49 Fraud, Article 50 Threats and Unfair exploitation in Article 51, the agreement may be revoked. However, if the parties want the contract to remain in place, they can be confirmed. And may demand damages if the other party knows or can find out.
      Avoidance requires a notice of avoidance and provides for certain time limits. There is no automatic invalidity of the contract. A notice of avoidance is effective only if it is given within the six months in case of mistake; and one year in case of fraud, threats and unfair exploitation.
      But where the party who has the right to avoid a contract under this Chapter confirms it, expressly or impliedly, after becoming aware of the relevant circumstances, or becoming capable of acting freely, that party may no longer avoid the contract.
      If it is state the legal effects of a valid exercise of a party’s avoidance right. Firstly, it states the effect on the contract as such (retroactive voidness). Secondly, it delineates cases where the contract as such is void from cases where only certain terms are void. Thirdly, it is restituted a goods transferred by reference to Chapter 17 on restitution.
      번역하기

      Article 52 of the CESL(P) provides the effects of a flawed agreement. Accordingly, if there is a breach of agreement under Article 48 Mistake, Article 49 Fraud, Article 50 Threats and Unfair exploitation in Article 51, the agreement may be revoked. Ho...

      Article 52 of the CESL(P) provides the effects of a flawed agreement. Accordingly, if there is a breach of agreement under Article 48 Mistake, Article 49 Fraud, Article 50 Threats and Unfair exploitation in Article 51, the agreement may be revoked. However, if the parties want the contract to remain in place, they can be confirmed. And may demand damages if the other party knows or can find out.
      Avoidance requires a notice of avoidance and provides for certain time limits. There is no automatic invalidity of the contract. A notice of avoidance is effective only if it is given within the six months in case of mistake; and one year in case of fraud, threats and unfair exploitation.
      But where the party who has the right to avoid a contract under this Chapter confirms it, expressly or impliedly, after becoming aware of the relevant circumstances, or becoming capable of acting freely, that party may no longer avoid the contract.
      If it is state the legal effects of a valid exercise of a party’s avoidance right. Firstly, it states the effect on the contract as such (retroactive voidness). Secondly, it delineates cases where the contract as such is void from cases where only certain terms are void. Thirdly, it is restituted a goods transferred by reference to Chapter 17 on restitu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CESL(P)은 제5장에 흠결있는 합의라고 하는 제목 하에 제48조 착오, 제49조 사기, 제50조 강박 그리고 제51조에 불공정한 이용을 규정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흠결있는 합의를 취소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규정을 제52조 이하에 규정하고 있다. 제52조 취소의 통지, 제53조는 추인, 제54조 취소의 효력, 제55조 손해배상, 제56조 구제의 배제 또는 금지 그리고 제57조 구제의 선택을 규정하고 있다.
      흠결있는 합의의 내용에 따라 취소기간을 달리 하고 있는데, 가령 사기, 강박 또는 불공정한 이용의 경우 1년의 취소기간을 그리고 착오의 경우 6개월의 취소기간을 규정한 것이 그것이다. 이러한 이유는 상대방당사자로부터 일방당사자의 계약자유가 용인할 수 없는 침해를 받았기 때문에, 이러한 취소기간의 연장은 적합하다고 한다.
      CESL(P) 제54조는 당사자들의 취소권의 유효한 실행에 대한 법적효력을 규정한다. 첫 번째, 계약과 관련하여 소급적 무효를 규정한다. 취소의 주된 성질은 단지 장래효만을 가지는 해제와 반대로 그것의 소급적 효력을 가지는 것이다. 제54조는 취소를 구분하여 보여준다. 두 번째, 특정조항이 무효가 되는 경우에 그러한 계약전체가 무효가 되는 가의 문제에 대해 규정한다. 세 번째, 원상회복에 관한 제17장 규정을 참조하여 양도된 목적물의 원상회복에 관한 문제를 설명한다.
      착오가 있고, 기망되었고, 강박을 받고 이용된 당사자의 손상된 상황을 상대방당사자가 알았거나 알 수 있었던 상대방 당사자에 대해서는 당해계약의 취소여부에 관계없이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번역하기

      CESL(P)은 제5장에 흠결있는 합의라고 하는 제목 하에 제48조 착오, 제49조 사기, 제50조 강박 그리고 제51조에 불공정한 이용을 규정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흠결있는 합의를 취소할 수 있...

      CESL(P)은 제5장에 흠결있는 합의라고 하는 제목 하에 제48조 착오, 제49조 사기, 제50조 강박 그리고 제51조에 불공정한 이용을 규정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흠결있는 합의를 취소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규정을 제52조 이하에 규정하고 있다. 제52조 취소의 통지, 제53조는 추인, 제54조 취소의 효력, 제55조 손해배상, 제56조 구제의 배제 또는 금지 그리고 제57조 구제의 선택을 규정하고 있다.
      흠결있는 합의의 내용에 따라 취소기간을 달리 하고 있는데, 가령 사기, 강박 또는 불공정한 이용의 경우 1년의 취소기간을 그리고 착오의 경우 6개월의 취소기간을 규정한 것이 그것이다. 이러한 이유는 상대방당사자로부터 일방당사자의 계약자유가 용인할 수 없는 침해를 받았기 때문에, 이러한 취소기간의 연장은 적합하다고 한다.
      CESL(P) 제54조는 당사자들의 취소권의 유효한 실행에 대한 법적효력을 규정한다. 첫 번째, 계약과 관련하여 소급적 무효를 규정한다. 취소의 주된 성질은 단지 장래효만을 가지는 해제와 반대로 그것의 소급적 효력을 가지는 것이다. 제54조는 취소를 구분하여 보여준다. 두 번째, 특정조항이 무효가 되는 경우에 그러한 계약전체가 무효가 되는 가의 문제에 대해 규정한다. 세 번째, 원상회복에 관한 제17장 규정을 참조하여 양도된 목적물의 원상회복에 관한 문제를 설명한다.
      착오가 있고, 기망되었고, 강박을 받고 이용된 당사자의 손상된 상황을 상대방당사자가 알았거나 알 수 있었던 상대방 당사자에 대해서는 당해계약의 취소여부에 관계없이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재형, "유럽계약법원칙" 박영사 2013

      2 백경일, "보통유럽매매법(CESL)에서의 의사표시 하자규정에 관한 비교법적 검토" 한국비교사법학회 21 (21): 1-36, 2014

      3 하경효, "보통 유럽 매매법" 세창출판사 2014

      4 von Bar, Christian, "Principles, Definitions and Model Rules of European Private Law : Draft Common Frame of Reference" Full Edition 2009

      5 Lando, Ole, "Principles of European Contract Law" Kluwer law international 2000

      6 Schulze, Reiner, "Common European Sales Law(CESL)-Commentary-" C.H.Beck.Hart.Nomos 2012

      7 Huber, "Commentary on UNIDROIT Kramer"

      1 김재형, "유럽계약법원칙" 박영사 2013

      2 백경일, "보통유럽매매법(CESL)에서의 의사표시 하자규정에 관한 비교법적 검토" 한국비교사법학회 21 (21): 1-36, 2014

      3 하경효, "보통 유럽 매매법" 세창출판사 2014

      4 von Bar, Christian, "Principles, Definitions and Model Rules of European Private Law : Draft Common Frame of Reference" Full Edition 2009

      5 Lando, Ole, "Principles of European Contract Law" Kluwer law international 2000

      6 Schulze, Reiner, "Common European Sales Law(CESL)-Commentary-" C.H.Beck.Hart.Nomos 2012

      7 Huber, "Commentary on UNIDROIT Kramer"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4-27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Institute for Condominium Law -> Korean Association of Aggregate Building Law KCI등재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5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55 0.676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