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아동학대 피해경험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부산지역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을 중심으로 = The Moderating Role of Ego-Resilience on the Effects of Child Abuse Damage Experience on Academic Achievement: Focusing on Children Using Community Children Centers in Bus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604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hild abuse damage experience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children using community children centers and whether the moderating role of ego-resilience on the effects of child abuse damage experience on academic achievement. For the study, 216 community children centers located in the Busan were selected from 1~3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children in the district, and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a total of 33 community children center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on 219 copies of the questionnaire collected using SPSS 23.0.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child abuse damage experience had a negativ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moderating role of ego-resilience on the effect of child abuse damage experience on academic achievement was not significa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vent abuse through the provision of services such as parent education, counseling, and home visits of children who use community children centers, and support children who have experienced child abuse to link with child abuse related service providers in the community. And in order to raise awareness that child abuse is a serious social problem, it was proposed to prepare a means of publicity to make it easier for all people to com into contact with images and media related to child abuse in everyday lif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hild abuse damage experience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children using community children centers and whether the moderating role of ego-resilience on the effects of child abuse damage exp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hild abuse damage experience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children using community children centers and whether the moderating role of ego-resilience on the effects of child abuse damage experience on academic achievement. For the study, 216 community children centers located in the Busan were selected from 1~3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children in the district, and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a total of 33 community children center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on 219 copies of the questionnaire collected using SPSS 23.0.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child abuse damage experience had a negativ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moderating role of ego-resilience on the effect of child abuse damage experience on academic achievement was not significa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vent abuse through the provision of services such as parent education, counseling, and home visits of children who use community children centers, and support children who have experienced child abuse to link with child abuse related service providers in the community. And in order to raise awareness that child abuse is a serious social problem, it was proposed to prepare a means of publicity to make it easier for all people to com into contact with images and media related to child abuse in everyday lif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학업성취도에 아동학대 경험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와 아동학대 피해경험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자아탄력성이 조절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부산지역 지역아동센터 216개소를 각 지역구 아동의 인구수와 대비하여 1~3개소씩 선정해 총 33개소의 지역아동센터에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최종 회수된 219부의 설문지를 SPSS 23.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다중회귀분석, 위계적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아동학대 피해경험은 학업성취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아동학대 피해경험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대의 경우 R²이 .04%, 방임의 경우 R²이 .04% 증가하였고, 학대와 방임 모두 회귀모형 적합도도 p<.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지만 상호작용변수가 p<.05에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의 부모교육 및 상담, 가정방문 등의 서비스 제공을 통해 학대를 예방하여야 하며, 아동학대를 경험한 아동에게 지역사회 내의 아동학대 관련 서비스 제공기관들과의 연계를 지원해야한다. 그리고 아동학대가 심각한 사회문제라는 인식을 높이기 위해 모든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쉽게 아동학대 관련 영상과 매체를 접하도록 하는 홍보수단의 마련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학업성취도에 아동학대 경험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와 아동학대 피해경험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자아탄력성이 조절...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학업성취도에 아동학대 경험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와 아동학대 피해경험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자아탄력성이 조절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부산지역 지역아동센터 216개소를 각 지역구 아동의 인구수와 대비하여 1~3개소씩 선정해 총 33개소의 지역아동센터에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최종 회수된 219부의 설문지를 SPSS 23.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다중회귀분석, 위계적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아동학대 피해경험은 학업성취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아동학대 피해경험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대의 경우 R²이 .04%, 방임의 경우 R²이 .04% 증가하였고, 학대와 방임 모두 회귀모형 적합도도 p<.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지만 상호작용변수가 p<.05에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의 부모교육 및 상담, 가정방문 등의 서비스 제공을 통해 학대를 예방하여야 하며, 아동학대를 경험한 아동에게 지역사회 내의 아동학대 관련 서비스 제공기관들과의 연계를 지원해야한다. 그리고 아동학대가 심각한 사회문제라는 인식을 높이기 위해 모든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쉽게 아동학대 관련 영상과 매체를 접하도록 하는 홍보수단의 마련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해리, "한국 청소년 탄력성 척도의 개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6 (16): 161-206, 2005

      2 김희삼, "학업성취도 분석을 통한 초중등교육의 개선방향 연구" 한국개발연구원 2012

      3 이영애, "학령기 후기 아동의 학대경험, 우울, 공격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자아탄력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6 (26): 277-297, 2018

      4 최지경, "학대받은 아동과 일반아동의 정서지능과 정서조절의 비교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7

      5 김신일, "평생교육개론" 교육과학사 2006

      6 이혜연, "취약계층 아동․청소년 종단조사Ⅲ"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2

      7 정순자, "초등학교 학생의 학업성취수준별 학업성취 결정요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1

      8 이기정, "초등학교 고학년의 진로발달과 학업성취도, 자기 효능감 및 창의적인 인성 간의구조적 관계분석" 한국교원대학교 2018

      9 권지은, "청소년이 지각한 방임과 학대가 학업 성적에 미치는 영향-교사관계 및 교우관계 매개효과 분석-" 한국아동복지학회 (42) : 29-54, 2013

      10 정은주, "청소년 회복탄력성 관련 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초당대학교 2017

      1 이해리, "한국 청소년 탄력성 척도의 개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6 (16): 161-206, 2005

      2 김희삼, "학업성취도 분석을 통한 초중등교육의 개선방향 연구" 한국개발연구원 2012

      3 이영애, "학령기 후기 아동의 학대경험, 우울, 공격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자아탄력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6 (26): 277-297, 2018

      4 최지경, "학대받은 아동과 일반아동의 정서지능과 정서조절의 비교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7

      5 김신일, "평생교육개론" 교육과학사 2006

      6 이혜연, "취약계층 아동․청소년 종단조사Ⅲ"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2

      7 정순자, "초등학교 학생의 학업성취수준별 학업성취 결정요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1

      8 이기정, "초등학교 고학년의 진로발달과 학업성취도, 자기 효능감 및 창의적인 인성 간의구조적 관계분석" 한국교원대학교 2018

      9 권지은, "청소년이 지각한 방임과 학대가 학업 성적에 미치는 영향-교사관계 및 교우관계 매개효과 분석-" 한국아동복지학회 (42) : 29-54, 2013

      10 정은주, "청소년 회복탄력성 관련 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초당대학교 2017

      11 김민정, "청소년 우울증상과 학교적응의 상호관계: 학대방임적 양육에 따른 다집단 분석"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46) : 53-86, 2019

      12 김선숙, "지역아동센터의 사례관리가 아동방임 감소에 미치는 효과"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4 : 181-195, 2013

      13 이보람, "지역아동센터 종사자가 인식하는 이용아동의 발달특성과 운영현황 및 개선방안에 관한 고찰" 한국아동복지학회 (62) : 165-205, 2018

      14 박봉환,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정서행동문제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6 (6): 75-88, 2019

      15 이숙정, "중고생의 교사신뢰와 자아존중감, 학습동기, 학업성취 및 학급풍토간의 관계모형 검증" 한국교육심리학회 20 (20): 197-218, 2006

      16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17 보건복지부, "전국 지역아동센터 실태조사 보고서" 43-44, 2016

      18 유성경, "적응 유연한 청소년들의 심리적 보호요소 탐색" 한국교육심리학회 16 (16): 189-206, 2002

      19 이정숙, "자기조절학습과 성취목표, 학습의지통제가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20 김유진, "일상생활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이 아동의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 14 (14): 123-142, 2009

      21 주소영, "아동학대와 탄력성의 관계에서 인지기능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8

      22 김수정, "아동학대가 초등학생의 정서 문제에 미치는 영향 -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아동복지학회 (51) : 47-76, 2015

      23 박헌근, "아동학대가 청소년의 정서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교우 관계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36) : 23-46, 2016

      24 나은숙, "아동학대 유형별 우울성향, 자기효능감, 학업성취간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28 (28): 35-49, 2007

      25 여진주, "아동학대 보호요인의 효과 : 부모 및 아동의 사회적 지지망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0

      26 선우진희, "아동학대 및 방임이 아동의 주의집중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아동의 심리적, 사회적 보호요인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2016

      27 김광혁, "아동학대 및 방임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 24 (24): 27-46, 2009

      28 이영진, "아동의 학습습관, 또래애착, 삶의 만족도 및 자아탄력성의 관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695-714, 2019

      29 배화옥, "아동의 학대경험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탄력성의 매개" 한국아동권리학회 14 (14): 193-217, 2010

      30 조은정, "아동기의 정서적 학대 경험이 대인관계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과 통제소재를 매개변인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4

      31 오시온, "아동기 학대 및 방임 피해경험과 청소년 진로정체감의 관계: 자아탄력성과 또래애착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2017

      32 오승환, "아동 학대와 아동의 생태학적 환경과의 관계" 5 (5): 47-60, 2001

      33 서영석, "상담심리 연구에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검증: 개념적 구분 및 자료 분석 시 고려 사항" 한국상담심리학회 22 (22): 1147-1168, 2010

      34 강지영, "사회적 지지의 양과 질이 삶의 만족도를 매개로 아동학대 및 방임에 미치는 영향 : 정서적 지지와 물질적 지지를 중심으로" 8 : 191-205, 2015

      35 김세원, "사회적 지지가 학대경험 아동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36 장화정, "빈곤과 가족소득이 아동 신체학대에 미치는 영향: 부와 모의 학대를 중심으로" 한국아동권리학회 10 (10): 237-258, 2006

      37 김재엽, "부부폭력가해자의 성장기아동학대경험이 자녀학대에 미치는 영향 - 부모역할만족도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35) : 291-312, 2007

      38 안지연, "부모의 학대 및 방임이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공격성의 매개효과 검증"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4

      39 김재량, "부모의 아동학대가 아동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1 (1): 151-169, 2014

      40 김원경, "부모양육행동, 아동의 우울 및 자기효능감과 아동의 문제해결력 간의 구조모델" 한국아동학회 27 (27): 67-79, 2006

      41 권지은, "부모 및 또래 애착, 문제해결방식과 자아탄력성(Ego-Resiliency)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42 김순규, "보호요인이 피학대 아동의 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회 59 (59): 251-276, 2007

      43 이하늘, "방임과 학대가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지역아동센터서비스 이용경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2019

      44 손병덕, "방임·학대 경험아동의 성취가치와 자기관리 형성이 학업성취 수준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23 (23): 305-323, 2016

      45 반재천, "다수준 맥락변인이 학업성취도에 영향에 미치는 효과 추이 분석: 2003-2009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평가학회 24 (24): 685-712, 2011

      46 박지현, "국내․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계를 통한 학교급별 수학 성취 특성 분석" 한국교육평가학회 26 (26): 1015-1036, 2013

      47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교육학용어사전" 하우 2011

      48 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학용어사전" 학지사 2001

      49 임현정, "교사 및 교수·학습활동 요인이 학업성취수준 도달에 미치는 차별적 효과" 한국교육평가학회 25 (25): 1-21, 2012

      50 김광혁, "가족빈곤이 아동학대 및 방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 부모의 우울 및 가족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 17 (17): 847-860, 2008

      51 염연옥, "가족구조가 고등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성취동기,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비관성의 조절효과"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5 (15): 67-79, 2007

      52 이호택, "가정폭력 노출 경험이 청소년의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 - 부모애착의 매개효과 -"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11 (11): 25-52, 2012

      53 Gil, D. G., "Unraveling Child Abuse" 45 : 346-, 1979

      54 Kempe, H. C., "The Battered child syndrome" 181 (181): 17-24, 1962

      55 Garmezy, N., "Studying Lives Through Time: Approaches to Personality and Development"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377-398, 1993

      56 Eckenrode, J., "School performance and disciplinary problems among abused and neglected children" 29 (29): 53-62, 1993

      57 Rutter, M., "Resilience in the face of adversity: Protective factors and resistance to psychiatric disorder" 147 : 598-611, 1985

      58 Smokowski, P. R., "Resilience and protective factors in adolescence: An autobiographical perspective from disadvantaged youth" 37 (37): 425-448, 2000

      59 Garmezy, N., "Research approaches to the study of stress-resistant children" 1980

      60 Luthar, S., "Perspectives in interactional Psychology" Plenum Press 1991

      61 Kinard, E., "Perceived and actual academic competence in maltreated children" 25 : 33-45, 2001

      62 Bonanno, G. A., "Loss, trauma and human resilience: Have we underestimated the human capacity to thrive after extremely aversive events?" 59 (59): 20-28, 2004

      63 Block, J,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 and separateness" 70 (70): 349-361, 1996

      64 Block, J. H., "Development of cognition, affect, and social relation" Erlbaum 39-101, 1980

      65 Klohnen, E. C., "Conceptual Analysis and measurement of the Construct of Ego-resiliency" 70 : 1067-1079, 1996

      66 Garmezy, N., "Children in poverty: Resilience despite risk" 56 (56): 127-136, 1993

      67 Perez, R. P., "Childhood victimization and long-term intellectual and academic outcomes" 18 : 617-633, 1994

      68 보건복지부, "2018 아동학대 주요통계"

      69 보건복지부, "2017 전국 아동 학대 현황 보고서"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학교사회사업 -> 학교사회복지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9 1.89 2.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19 2.1 2.712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