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학교 교육에서의 디지털 전환은 교사들의 디지털 역량을 강조하고 있다. 이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들의 디지털 역량에 대한 요구를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321345
202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91-406(1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학교 교육에서의 디지털 전환은 교사들의 디지털 역량을 강조하고 있다. 이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들의 디지털 역량에 대한 요구를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
최근 학교 교육에서의 디지털 전환은 교사들의 디지털 역량을 강조하고 있다. 이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들의 디지털 역량에 대한 요구를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A대학교 1학년 학생 98명을 대상으로 디지털 역량의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설문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중요도-실행도 차이 분석, Borich 요구도 분석, 초점의 소재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18개의 하위역량 모두에서 중요도-실행도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우선순위가 높은 역량으로는 디지털의 교육적 활용 역량 중 디지털 기반 교육과정 재구성, 디지털 기반 개별화 학습 설계, 디지털 기술, 데이터, 서비스, 콘텐츠 평가, 선정 또는 개발, 디지털 기반 실제적 학습 설계 역량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예비교사들의 요구 우선순위가 높은 역량이 예비교사 교육에 반영될 수 있도록 개선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ecent digital transformation in school education, including advancements in generative AI and digital technologies, highlights the need for digital competence among teacher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gital competence needs of pre-service el...
The recent digital transformation in school education, including advancements in generative AI and digital technologies, highlights the need for digital competence among teacher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gital competence needs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us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Borich's Needs Assessment Model,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The study participants were 98 first-year pre-service teachers from University A. The results showed that pre-service teachers perceived all four sub-competencies of digital competence as highly important. Among these, the sub-competency with the highest priority was the capability to utilize digital technology in education, specifically in areas such as digital-based curriculum reconstruction, design of personalized learning using digital technology, evaluation, selection, and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ies, data, services, and content, and design of practical learning experiences based on digital technology. The findings suggest that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should be improved to reflect the high-priority competencies identified by pre-service teachers. Based on the results,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for research are proposed.
엑셀 매크로를 이용한 고교학점제 과목 선택 연습 프로그램 개발 및 진로교육 적용 방안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이주배경 구성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연구동향 분석
예비유아교사의 그릿과 메타인지가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교육지원활동이 학교생활적응, 학업참여, 과학학습만족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