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한강 이남 지역은 1970년대 정부가 지역발전의 주요 축으로 교통에 관한 기반시설(테헤란로, 영동대로, 강남대로, 올림픽대로, 지하철 2호선 등)을 확충하고 대규모 아파트 단지 공급, 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6944052
포천 : 대진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24
학위논문(석사) -- 대진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 공공건설정책학과 공공건설정책학전공 , 2024. 2
2024
한국어
경기도
126 ; 26 cm
지도교수: 최주영
I804:41014-20000074643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서울 한강 이남 지역은 1970년대 정부가 지역발전의 주요 축으로 교통에 관한 기반시설(테헤란로, 영동대로, 강남대로, 올림픽대로, 지하철 2호선 등)을 확충하고 대규모 아파트 단지 공급, 상...
서울 한강 이남 지역은 1970년대 정부가 지역발전의 주요 축으로 교통에 관한 기반시설(테헤란로, 영동대로, 강남대로, 올림픽대로, 지하철 2호선 등)을 확충하고 대규모 아파트 단지 공급, 상업지역 신규 지정, 교육시설 및 공공긴관 이전 등 도시계획 지원으로 중심지로 성장하였다. 반면, 서울의 한강 이북 지역은 개발사업의 제한, 상업지역 신규지정 불허 등 개발이 억제되었다.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서울의 기존 도심 및 한강 이북 지역과 한강 이남지역간 주거환경과 교육, 산업경제, 문화 기반시설 등 전반에 걸쳐 지역 불균형이 심화되었다.
2018년 08월 서울시는 지역균형발전정책의 일환으로 ‘서울시 산하 공공기관의 강북 이전을 통한 지역균형발전 정책구상’을 발표하였다. 서울시는 행정·공공기관이 강남권에 쏠려있는 것도 강북의 발전을 더디게 한 원인 중의 하나로 보았다. 강남지역에 위치한 공공기관을 강북지역으로 옮겨 지역발전의 촉매제가 될 수 있게 한다는 취지로 강남권에 위치하지만 주변 지역과 연계성이 높지 않은 서울시 산하 공공기관의 이전을 본격 추진하였다.
강남지역의 공공기관 중 특히 강남구, 서초구에 위치하고, 기존 청사공간이 부족하거나 기능이 분화되어 신증축이 필요한 기관이 우선 이전대상으로 검토되었다. 그 중 서울특별시 인재개발원, 서울연구원, 서울주택도시공사가 이전 대상 기관으로 선정되었다. 따라서 인재개발원 일대에 대규모 이전적지가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인재개발원 일대와 인접한 소방학교 부지는 2018년 소방학교가 이전하며 거의 방치된 상태였기 때문에 이 일대 10만㎡이상의 대규모 가용지에 대한 활용계획이 필요하므로 단지 전체의 마스터플랜을 수립하고자 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