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CGAC, LGAC, WGAC, BGAC 입상 활성탄을 사용하여 교반 온도, 농도, 교반 시간, 입상 활성탄 주입량, pH 변화에 따른 디클로로메탄의 흡착 제거 효율 분석에 대한 연구이다. 최대 흡착량은 p...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2190641
서울 :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2010
한국어
서울
Adsorption studies of dichloromethane on some commercially available GACs : effect of kinetics, thermodynamics and competitive ions
vii, 73장 : 삽화 ; 26 cm
지도교수: 전병훈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CGAC, LGAC, WGAC, BGAC 입상 활성탄을 사용하여 교반 온도, 농도, 교반 시간, 입상 활성탄 주입량, pH 변화에 따른 디클로로메탄의 흡착 제거 효율 분석에 대한 연구이다. 최대 흡착량은 p...
본 연구는 CGAC, LGAC, WGAC, BGAC 입상 활성탄을 사용하여 교반 온도, 농도, 교반 시간, 입상 활성탄 주입량, pH 변화에 따른 디클로로메탄의 흡착 제거 효율 분석에 대한 연구이다. 최대 흡착량은 pH 6.0-8.0 의 범위에서 CGAC가 45.4 mg/g으로 최대 흡착량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교반 시간과 교반 온도가 증가하면 할수록 흡착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반대로 초기 디클로로메탄 100 mg/L의 조건에서는 온도가 증가 하면 할수록 흡착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자연에서 흡착과정이 진행될 때 발열반응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LGAC의 경우 Langmuir model에 가장 적합 하였으며, CGAC, WGAC, BGAC의 경우에는 Freundlich model에 적합 하였다. 교반 온도 10℃의 경우 CGAC와 BGAC는 pseudo-first order model을 따르고 있으며, 교반 온도 25℃, 35℃의 경우에는 pseudo-second order model을 따르고 있었다. 본 실험의 흡착 메커니즘은 주로 물리적 흡착의 특성을 보였다. 그리고 초기 디클로로메탄의 농도가 낮은 경우, 용액 속에 경쟁 음이온이 존재 하고 있는 경우에도, 입상 활성탄에 의한 디클로로메탄의 흡착 제거 효율은 크게 변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용액내에 고농도의 디클로로메탄이 용해되어 있을 경우, CGAC와 LGAC를 이용했을 경우 가장 처리 효율이 높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디클로로메탄이 수중에 존재 할 때 입상 활성탄을 이용하여 실제 처리 공정에 적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