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혈액투석 환자의 투석 직후 피로요인 분석 = Postdialysis Fatigue and Related Factors in Patients on Hemodialy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7766432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연세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 2000. 2

      • 발행연도

        2000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512.8361 판사항(4)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ii, 66p. : 삽도 ; 26 cm.

      • 소장기관
        • 경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연세대학교 원주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 연세대학교 학술문화처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혈액투석 환자의 투석 직후 피로와 피로요인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상관 관계 연구이다. 자료 수집기간은 1999년 10월 1일에서 18일까지였고, 서울 및 경기지역(분당)에 소재하는 3...

      본 연구는 혈액투석 환자의 투석 직후 피로와 피로요인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상관 관계 연구이다. 자료 수집기간은 1999년 10월 1일에서 18일까지였고, 서울 및 경기지역(분당)에 소재하는 3개 대학병원 인공신장실과 1개 투석전문 내과의원에서 편의 표출하여 본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9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투석 직후 피로요인을 크게 심리적 요인, 환경적 요인, 생리적 요인, 투석 과정 요인으로 보았다. 심리적 요인은 스트레스와 적응이며 환경적 요인은 사회적 지지와 생활사건이다. 생리적 요인은 피로 부작용 항고혈압제제 복용 여부, 당뇨 합병 여부, 수면 불만족 정도, nPCR과 혈청 알부민등의 영양상태, Bun, Cr, Na, K, P등의 전해질 불균형, 혈색소와 적혈구 용적등의 산화지표, 주당 주입되는 조혈호르몬 용량이다. 투석 과정 요인은 투석간 체중 증가량과 투석 치료 동안의 여과량, 투석 적절도, 생체적합성 투석막의 사용, 혈압변화, 투석 전후 증상, 투석 중 활동과 자세, 음식물 섭취, 투석 치료 동안 느끼는 지루함이다.
      본 연구의 도구는 100mm 선상의 피로시각상사척도와 스트레스 측정도구(전시자, 1986), 적응 측정도구(김영경, 1990), 사회적 지지 측정도구(김옥수, 1993), 수면 불만족 도구(김신미, 1997)이며 혈액검사 결과와 의무기록, 연구자가 작성한 임상 기록지이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투석 직후 피로 및 각 피로요인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평균, 표준편차, 빈도, 범위를 사용하였고, 각각의 요인들과 투석 직후 피로와의 관계는 t-검정, 일원 분산분석, chi-square, 단순상관관계, 공분산분석을 하였다. 관련성이 확인되는 요인의 설명력을 보기 위해서 투석 직후 피로도를 종속변수로 하여 단계적 중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들의 평균 투석 전 피로점수는 37.29이고 투석 직후에는 50.73으로 혈액투석 직후에 대상자가 지각하는 피로 정도는 증가하였다(t=4.7, p<.01).
      2) 심리적 요인인 스트레스와 적응은 투석 직후 피로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대상자가 지각하는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투석 직후 피로를 많이 느끼는 반면(r=.224, p=.029) 적응 정도가 낮을수록 투석 직후 피로가 높을 것으로 나타났다(r=-.231, p=.023).
      3) 환경적 요인 중 사회적 지지는 투석 직후 피로 정도와 유의한 역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대상자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 정도가 높을수록 투석 직후 피로를 적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r=-.211, p=.039).
      4) 투석 과정 요인 중에서는 생체적합성 막의 사용과 대상자가 투석 치료 시에 느끼는 지루함, 기도를 하는 투석 중 활동이 투석 후 피로와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생체적합성 투석막을 사용한 대상자의 투석 직후 피로가 높았다(t=-2.211, p=<.05). 투석 치료를 지루하게 느낄수록 투석 직후 피로가 높았으며(r.=.292, p=.004) 투석 중에 기도를 한다고 응답한 대상자의 투석 직후 피로가 낮았다.(t=2.341, p=<.05). 설
      5) 투석 직후 피로를 명할 수 있는 변수로는 투석치료에 대해 느끼는 지루함(R^(2)=.085)과 스트레스(R^(2)=.123)로 이 두 가지 변수들이 투석 직후 피로의 12.3%를 설명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dialysis fatigue and related factors in patients on hemodialysis. This study used a cross-sectional design survey.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96 patients who were receiv...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dialysis fatigue and related factors in patients on hemodialysis. This study used a cross-sectional design survey.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96 patients who were receiving chronic hemodialysis in four outpatient dialysis clinics. The period of data collection was October from 1 to 18, 1999.
      The related factors included psychological, environmental, physiological and hemodialysis process factors. Psychological factors were stress and adaptation. Environmental factors were social support and life events. Physiological factors were DM, antihypertensive medications known to have fatigue as a side effect, sleep dissatisfaction, nPCR, Albumin, Bun, Cr, Na, K, P, Hgb, Hct and erythropoietin dosage. Hemodialysis process factors were interdialytic weight gain, ultrafiltration amount, Kt/V, biocompatible membrane, blood pressure changes, symptoms before and after hemodialysis, intradialytic activity and position, food ingestion and boredom during dialysis.
      The study tools were the fatigue 100mm Visual Analogue Scale, the stress scale by Chun(1986), the adaptation scale by Kim(1990), the social support scale by Kim(1993), sleep dissatisfaction scale by Kim(1997), laboratory results, medical records and questionnaire by researcher.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7.5 for Windows statistical software. Analysis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mean, standard deviation, frequency, range), t-test, ANOVA, chi-squar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COVA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Fatigue score changes ; The mean of predialysis fatigue score was 37.29 and postdialysis fatigue score 50.73.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t=-4.7, p<.01).
      2. Psychological factors ;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dialysis fatigue and stres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r=.224, p=.029). Postdialysis fatigue and adaptation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r=-.231, p=.023).
      3. Environmental factors ;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dialysis fatigue and social support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r=-.211, p=.039).
      4. Hemodialysis process factors ; The participants who used biocompatible membrane experienced statistically higher postdialysis fatigue than others(t=-2.221, p<.05).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dialysis fatigue and intradialytic boredom scor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r=.292, p=004). The participants who stated they prayed during hemodialysis experienced statistically lower postdialysis fatigue than others(t=2.341, p<.05).
      5.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 12.3% of postdialysis fatigue were explained by intradialytic boredom(R^(2)=.085) and stress(R^(2)=.123).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감사의 글 = i
      • 차례 = ii
      • 표 차례 = iv
      • 그림 차례 = v
      • 부록 차례 = v
      • 감사의 글 = i
      • 차례 = ii
      • 표 차례 = iv
      • 그림 차례 = v
      • 부록 차례 = v
      • 국문요약 = vi
      • I. 서론 = 1
      • A. 연구의 필요성 = 1
      • B. 연구 목적 = 3
      • C. 연구 문제 = 3
      • D. 용어 정의 = 3
      • II. 문헌 고찰 = 7
      • A. 개념적 기틀 = 7
      • B. 투석 직후 피로 = 8
      • C. 투석 직후 피로요인 = 10
      • III. 연구 방법 = 19
      • A. 연구 설계 = 19
      • B. 연구 대상자 = 19
      • C. 연구 도구 = 19
      • D. 자료 수집 기간 및 절차 = 23
      • E. 분석 방법 = 24
      • F. 연구의 제한점 = 24
      • IV. 연구 결과 = 25
      •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5
      • B. 투석 직후 피로 = 26
      • C. 투석 직후 피로요인의 특성 = 28
      • D. 투석 직후 피로와 피로요인간의 관계 = 32
      • E.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투석 직후 피로 및 피로요인간의 관계 = 36
      • F. 투석 직후 피로 예측 변수 = 39
      • V. 논의 = 40
      • A. 투석 전후의 피로 변화 = 40
      • B. 투석 직후 피로요인들의 특성 = 40
      • C. 투석 직후 피로와 피로요인간의 관계 = 42
      • D.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투석 직후 피로 및 피로요인간의 관계 = 44
      • VI. 결론 및 제언 = 45
      • A. 결론 = 45
      • B. 제언 = 47
      • 참고문헌 = 48
      • 부록 = 56
      • 영문초록 = 6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