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프리드리히 슐레겔에서 예술(문학)과철학의 관계 = The relation of Art(Literature) and Phiosophy in Friedrich von Schlege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026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explores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art(literature) and philosophy is understood by Friedrich von Schlegel, a representative theorist of early German romanticism, through his first philosophical lecture, "Transcendental Philosophy". Schlegel wanted to combine art and philosophy. He found the grounds in the combination of 'Infinite and Consciousness' which means the synthesis of nature and mind.
      According to him, nature (the infinite), mind (consciousness), art and philosophy all relate to 'formation(Bildung)'. Therefore, 'Symbol and Allegory', two forms of formation, are important concepts. This article attempts to explain the art(literature)-theoretical philosophy or the philosophical art(literature)-theory in early German Romanticism by synthesizing the discussions of the relation between art and philosophy focusing on the concept of 'symbol and allegory'.
      번역하기

      This article explores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art(literature) and philosophy is understood by Friedrich von Schlegel, a representative theorist of early German romanticism, through his first philosophical lecture, "Transcendental Philosophy". Sch...

      This article explores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art(literature) and philosophy is understood by Friedrich von Schlegel, a representative theorist of early German romanticism, through his first philosophical lecture, "Transcendental Philosophy". Schlegel wanted to combine art and philosophy. He found the grounds in the combination of 'Infinite and Consciousness' which means the synthesis of nature and mind.
      According to him, nature (the infinite), mind (consciousness), art and philosophy all relate to 'formation(Bildung)'. Therefore, 'Symbol and Allegory', two forms of formation, are important concepts. This article attempts to explain the art(literature)-theoretical philosophy or the philosophical art(literature)-theory in early German Romanticism by synthesizing the discussions of the relation between art and philosophy focusing on the concept of 'symbol and allego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독일 초기 낭만주의의 대표적 이론가인 슐레겔(Friedrich von Schlegel)에서 예술(문학)과 철학의 관계가 어떻게 이해되고 있는지를그의 최초의 철학 강의록인『초월철학(TranszendentalPhiosophie)』을 통해서 살펴본다. 슐레겔은 예술과 철학을 결합시키고자 했다. 그는 그 근거를 자연과 정신의 종합을 의미하는 ʻ무한자와 의식의 결합ʼ에서 찾았다. 그에 의하면 자연(무한자)과 정신(의식), 예술과 철학은 모두 ʻ형성(Bilung)ʼ 과 관계한다. 따라서 형성의 두 방식인 ʻ상징과 알레고리ʼ가 중요한 개념으로 대두된다. 이 글은 ʻ상징과 알레고리ʼ 개념을 중심으로 예술과 철학의관계에 대한 논의를 종합함으로써, 독일 초기 낭만주의의 예술(문학)이론적 철학, 철학적 예술(문학)이론을 해명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이 글은 독일 초기 낭만주의의 대표적 이론가인 슐레겔(Friedrich von Schlegel)에서 예술(문학)과 철학의 관계가 어떻게 이해되고 있는지를그의 최초의 철학 강의록인『초월철학(TranszendentalPhiosoph...

      이 글은 독일 초기 낭만주의의 대표적 이론가인 슐레겔(Friedrich von Schlegel)에서 예술(문학)과 철학의 관계가 어떻게 이해되고 있는지를그의 최초의 철학 강의록인『초월철학(TranszendentalPhiosophie)』을 통해서 살펴본다. 슐레겔은 예술과 철학을 결합시키고자 했다. 그는 그 근거를 자연과 정신의 종합을 의미하는 ʻ무한자와 의식의 결합ʼ에서 찾았다. 그에 의하면 자연(무한자)과 정신(의식), 예술과 철학은 모두 ʻ형성(Bilung)ʼ 과 관계한다. 따라서 형성의 두 방식인 ʻ상징과 알레고리ʼ가 중요한 개념으로 대두된다. 이 글은 ʻ상징과 알레고리ʼ 개념을 중심으로 예술과 철학의관계에 대한 논의를 종합함으로써, 독일 초기 낭만주의의 예술(문학)이론적 철학, 철학적 예술(문학)이론을 해명하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Kant, I, "판단력비판" 아카넷 2009

      2 한자경, "자아의 연구" 서광사 1997

      3 강돈구, "슐라이어마허의 해석학" 이학사 2000

      4 Kant, I, "순수이성비판1, 2" 아카넷 2006

      5 Tatarkiewicz, W, "미학의 기본개념사" 미술문화 2001

      6 Lacoue-Labarthe, P, "문학적절대" 그린비 2015

      7 Benjamin, W, "독일 비애극의 원천" 새물결 2008

      8 Benjamin, W, "독일 낭만주의의 예술비평 개념" 도서출판 2013

      9 Beiser, F, "낭만주의의 명령, 세계를 낭만화하라" 그린비 2011

      10 임홍배, "괴테의 상징과 알레고리 개념에 대하여- 총체성과 감각적 구체성의 변증법" 한국비교문학회 (45) : 95-114, 2008

      1 Kant, I, "판단력비판" 아카넷 2009

      2 한자경, "자아의 연구" 서광사 1997

      3 강돈구, "슐라이어마허의 해석학" 이학사 2000

      4 Kant, I, "순수이성비판1, 2" 아카넷 2006

      5 Tatarkiewicz, W, "미학의 기본개념사" 미술문화 2001

      6 Lacoue-Labarthe, P, "문학적절대" 그린비 2015

      7 Benjamin, W, "독일 비애극의 원천" 새물결 2008

      8 Benjamin, W, "독일 낭만주의의 예술비평 개념" 도서출판 2013

      9 Beiser, F, "낭만주의의 명령, 세계를 낭만화하라" 그린비 2011

      10 임홍배, "괴테의 상징과 알레고리 개념에 대하여- 총체성과 감각적 구체성의 변증법" 한국비교문학회 (45) : 95-114, 2008

      11 Hegel, G.W.F, "Werke in zwanzig Bänden, Theorie Werkausgabe(TW) 13" Suhrkamp Verlag 1986

      12 "Paderborn KA XIII. Phiosophische Vorlesungen II (1800-1807)"

      13 Ernst Behler, "Mit Einleitung und Kommentar"

      14 Jean-Jacques Anstett, "Mit Einleitung und Kommentar"

      15 Ernst Behler, "Kritische Friedrich-Schlegel-Ausgebe (약어 ‘KA’)" Ferdinad Schöningh Verlag

      16 "KA XVIII. Philosophische Lehrjahre(1796-1806)"

      17 "Friedrich Schlegel: TranscendeltalPhiosophie (약어 ‘TP’)Eingeleitet und mit Erläuterungen versehen von Michael Elsässer" Felix Meiner Verlag 199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10-0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A semiannually Journal of Philosophical Thought in Korea -> EPOCH AND PHILOSOPHY -A Journal of Philosophical Thought in Korea-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1 0.61 0.6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2 1.3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