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Kant, I, "판단력비판" 아카넷 2009
2 한자경, "자아의 연구" 서광사 1997
3 강돈구, "슐라이어마허의 해석학" 이학사 2000
4 Kant, I, "순수이성비판1, 2" 아카넷 2006
5 Tatarkiewicz, W, "미학의 기본개념사" 미술문화 2001
6 Lacoue-Labarthe, P, "문학적절대" 그린비 2015
7 Benjamin, W, "독일 비애극의 원천" 새물결 2008
8 Benjamin, W, "독일 낭만주의의 예술비평 개념" 도서출판 2013
9 Beiser, F, "낭만주의의 명령, 세계를 낭만화하라" 그린비 2011
10 임홍배, "괴테의 상징과 알레고리 개념에 대하여- 총체성과 감각적 구체성의 변증법" 한국비교문학회 (45) : 95-114, 2008
1 Kant, I, "판단력비판" 아카넷 2009
2 한자경, "자아의 연구" 서광사 1997
3 강돈구, "슐라이어마허의 해석학" 이학사 2000
4 Kant, I, "순수이성비판1, 2" 아카넷 2006
5 Tatarkiewicz, W, "미학의 기본개념사" 미술문화 2001
6 Lacoue-Labarthe, P, "문학적절대" 그린비 2015
7 Benjamin, W, "독일 비애극의 원천" 새물결 2008
8 Benjamin, W, "독일 낭만주의의 예술비평 개념" 도서출판 2013
9 Beiser, F, "낭만주의의 명령, 세계를 낭만화하라" 그린비 2011
10 임홍배, "괴테의 상징과 알레고리 개념에 대하여- 총체성과 감각적 구체성의 변증법" 한국비교문학회 (45) : 95-114, 2008
11 Hegel, G.W.F, "Werke in zwanzig Bänden, Theorie Werkausgabe(TW) 13" Suhrkamp Verlag 1986
12 "Paderborn KA XIII. Phiosophische Vorlesungen II (1800-1807)"
13 Ernst Behler, "Mit Einleitung und Kommentar"
14 Jean-Jacques Anstett, "Mit Einleitung und Kommentar"
15 Ernst Behler, "Kritische Friedrich-Schlegel-Ausgebe (약어 ‘KA’)" Ferdinad Schöningh Verlag
16 "KA XVIII. Philosophische Lehrjahre(1796-1806)"
17 "Friedrich Schlegel: TranscendeltalPhiosophie (약어 ‘TP’)Eingeleitet und mit Erläuterungen versehen von Michael Elsässer" Felix Meiner Verlag 1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