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러 전략적 동반자 관계의 조건과 과제 = The Conditions and Tasks of Korean-Russian Strategic Partnership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1486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anks to Korean-Russian cooperation, profit-sharing gets diversified and expanded not only on the regional dimens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 but also on the global level. For this reason, in September 2008, Seoul and Moscow have agreed to upgrade their relations to the strategic cooperation partnership. However, given the depth of geopolitical cooperation and the level of geoeconomic interaction, it could be accurate to diagnose that Korean-Russian strategic cooperation partnership still remains on the level of diplomatic rhetoric. To take an appropriate example, Korea and Russia held a different view of the wreckage of the Cheonan in March 2010 and the shelling of Yeongpyeong Island in November 2010. In this regard, Korean-Russian strategic partnership contains a tactic opportunism and actually the concept of the current relations of the two countries is not descriptive one, but future-oriented practical one. On the occasion of the 25th anniversary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Russia, this article attempts to explain logically in geopolitical, geoeconomic and geostrategic contexts what hinders the developmental leap of their relations and why the construction of the strategic partnership between two countries is needed. At the same time it proposes policy agendas that are necessary to both countries in order to enrich their strategic partnership remaing on the level of declaratory rhetoric.
      번역하기

      Thanks to Korean-Russian cooperation, profit-sharing gets diversified and expanded not only on the regional dimens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 but also on the global level. For this reason, in September 2008, Seoul and Moscow have a...

      Thanks to Korean-Russian cooperation, profit-sharing gets diversified and expanded not only on the regional dimens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 but also on the global level. For this reason, in September 2008, Seoul and Moscow have agreed to upgrade their relations to the strategic cooperation partnership. However, given the depth of geopolitical cooperation and the level of geoeconomic interaction, it could be accurate to diagnose that Korean-Russian strategic cooperation partnership still remains on the level of diplomatic rhetoric. To take an appropriate example, Korea and Russia held a different view of the wreckage of the Cheonan in March 2010 and the shelling of Yeongpyeong Island in November 2010. In this regard, Korean-Russian strategic partnership contains a tactic opportunism and actually the concept of the current relations of the two countries is not descriptive one, but future-oriented practical one. On the occasion of the 25th anniversary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Russia, this article attempts to explain logically in geopolitical, geoeconomic and geostrategic contexts what hinders the developmental leap of their relations and why the construction of the strategic partnership between two countries is needed. At the same time it proposes policy agendas that are necessary to both countries in order to enrich their strategic partnership remaing on the level of declaratory rhetoric.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차창훈, "한미 동맹과 한중 전략적 협력 관계:G2시대 한국의 전략적 선택을 중심으로" 국가안보전략연구원 12 (12): 1-36, 2012

      2 엄구호, "한국의 대러 통일외교: 방향과 몇 가지 제언" KRD 2015

      3 이인호, "한․러관계의 현황과 전망" 한국외교협회 (51) : 1999

      4 성원용, "한․러관계 재조명" 한국슬라브학회 1999

      5 신범식, "한-러 '전략적 (협력)동반자관계'에 대한 비판적 검토: 공유이익과 실현전략의 관점에서" 극동문제연구소 26 (26): 235-278, 2010

      6 오영일, "한 · 러 극동 경협, 정부정책 지원 있어야 대형 프로젝트 성사" 포스코 경영연구소 86 : 2013

      7 박병인, "푸틴정부의 대북정책: 균형에서 개입으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21) : 2015

      8 서정호, "푸틴의 러시아, 신 동방정책은?"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60) : 2013

      9 홍완석, "푸틴시대 러시아의 신 한반도전략 : 분석과 대응" 한국정치학회 35 (35): 2001

      10 강봉구, "푸틴 집권2기 러시아의 대외정책과 한반도" 국가안보전략연구소 5 (5): 2004

      1 차창훈, "한미 동맹과 한중 전략적 협력 관계:G2시대 한국의 전략적 선택을 중심으로" 국가안보전략연구원 12 (12): 1-36, 2012

      2 엄구호, "한국의 대러 통일외교: 방향과 몇 가지 제언" KRD 2015

      3 이인호, "한․러관계의 현황과 전망" 한국외교협회 (51) : 1999

      4 성원용, "한․러관계 재조명" 한국슬라브학회 1999

      5 신범식, "한-러 '전략적 (협력)동반자관계'에 대한 비판적 검토: 공유이익과 실현전략의 관점에서" 극동문제연구소 26 (26): 235-278, 2010

      6 오영일, "한 · 러 극동 경협, 정부정책 지원 있어야 대형 프로젝트 성사" 포스코 경영연구소 86 : 2013

      7 박병인, "푸틴정부의 대북정책: 균형에서 개입으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21) : 2015

      8 서정호, "푸틴의 러시아, 신 동방정책은?"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60) : 2013

      9 홍완석, "푸틴시대 러시아의 신 한반도전략 : 분석과 대응" 한국정치학회 35 (35): 2001

      10 강봉구, "푸틴 집권2기 러시아의 대외정책과 한반도" 국가안보전략연구소 5 (5): 2004

      11 박건영, "평화통일을 위한 한국의 통일외교전략" 세종연구소 6 (6): 2000

      12 "평화통일기반 구축"

      13 조한범,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구현을 위한 한 · 러 협력방안" 통일연구원 2014

      14 "유라시아 1만4400km 질주하는 ‘한국夢’"

      15 고재남, "우크라이나 사태의 주요 쟁점과 국제적 함의" 국립외교원 2014

      16 고재남, "역대 정부의 대러정책 성과 및 평가와 박근혜정부의 대러정책 과제" 국립외교원 2013

      17 강원식, "러시아는 우리에게 무엇인가" 일신사 1999

      18 "러시아, 朴대통령 곳곳 배려…G20 회의장 26번째 입장"

      19 형혁규, "러시아 한반도정책의 이중성과 대응 방향" 입법조사처 (173) : 2011

      20 위성락, "러시아 리포트" 청년사 1998

      21 홍완석, "동북아 다자안보: 러시아의 정책과 한 ․ 러 협력" 러시아연구소 27 (27): 31-62, 2011

      22 "남북관계 개선 없이 한 · 러경협 어려워"

      23 이근, "국제질서 안에 북 들어와야 동북아 새 시대 열수 있어"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2015

      24 Титаренко, М.Л., "Российско-китайские отношения: современное состояние иперспективы"

      25 Брутенц, К, "О внешнеполитической концепции России в Азиатско-Тихоокеанском регионе" 85 : 1995

      26 "[특집기획·긴급 인터뷰] 알렉산드르 티모닌 주한 러시아 대사 - 사드 배치로는 북핵문제 해결 난망, 6자회담 진전이 유일한 정답" 2015

      27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Global Cooperation in the Era of Eurasia" KIEP 2013

      28 Keohane, Robert O., "After Hegemony : Cooperation and Discord in the World Political Economy" Prinston University Press 1988

      29 강봉구, "ABM 사건과 한미관계" 한국국제정치학회 41 (41): 2001

      30 제성훈, "3기 푸틴정부의 ‘대외정책개념’과 정책적 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31 "2015년 1월 한-러 교역 동향"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9-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Slavic Studies -> The Korean Journal of Slavic Studies KCI등재
      2009-09-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Journal of Slavic Studies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슬라브연구 -> 슬라브硏究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8 0.58 0.5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1 0.844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