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인용 동사의 의미론적 분류 방법 = Semantic Classification of Quotative verbs in Kore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273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onceptual domains of quotative verbs in Korean and to suggest classification of them on the semantic basis. Especially I insist that the semantic domains of modality and evidentiality can be conferred in classification of quotative verbs.
      Quotative verbs can be divided into speech verbs, thought verbs, and decoding verbs. Speech verbs can be divided into speech manner verbs and speech act verbs according to what respect of speech is specificated. Thought verbs also have sub-categories of generic thought verbs and modal verbs. Decoding verbs like 'deut-, baeu-' have their own category independent from speech verbs or thought verbs. Their semantic features are related to evidentiality that expresses specification of type of evidence.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onceptual domains of quotative verbs in Korean and to suggest classification of them on the semantic basis. Especially I insist that the semantic domains of modality and evidentiality can be conferred in classification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onceptual domains of quotative verbs in Korean and to suggest classification of them on the semantic basis. Especially I insist that the semantic domains of modality and evidentiality can be conferred in classification of quotative verbs.
      Quotative verbs can be divided into speech verbs, thought verbs, and decoding verbs. Speech verbs can be divided into speech manner verbs and speech act verbs according to what respect of speech is specificated. Thought verbs also have sub-categories of generic thought verbs and modal verbs. Decoding verbs like 'deut-, baeu-' have their own category independent from speech verbs or thought verbs. Their semantic features are related to evidentiality that expresses specification of type of eviden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경희, "현대국어의 양태범주 연구" 탑출판사 1985

      2 윤정원, "현대 한국어 인용구문 연구 : 인용구문의 유형과 범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1

      3 채숙희, "현대 한국어 인용구문 연구 : 구어 자료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4 장석진, "한국어 화행동사의 분석과 분류" 서울대학교 언어연구소 23 : 307-333, 1987

      5 전영철, "한국어 인용동사에 관하여" 서울대학교 언어연구소 1 : 41-54, 1990

      6 방성원, "한국어 인용구문 연구" 慶熙大學校 大學院 1994

      7 안경화, "한국어 인용 구문의 연구 : 유형과 융합도를 중심으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5

      8 박재연, "한국어 양태 어미 연구" 태학사 2006

      9 송재목, "증거성(evidentiality)과 주어제약의 유형론-한국어, 몽골어, 티벳어를 예로 들어-" 형태론 9 (9): 1-23, 2007

      10 정혜선, "종결어미와 통합하는 ‘보다’ 구문에 대하여 - ‘-ㄴ가 보다’, ‘-ㄹ까 보다’를 중심으로" 국어학회 4 (4): 45-66, 2010

      1 장경희, "현대국어의 양태범주 연구" 탑출판사 1985

      2 윤정원, "현대 한국어 인용구문 연구 : 인용구문의 유형과 범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1

      3 채숙희, "현대 한국어 인용구문 연구 : 구어 자료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4 장석진, "한국어 화행동사의 분석과 분류" 서울대학교 언어연구소 23 : 307-333, 1987

      5 전영철, "한국어 인용동사에 관하여" 서울대학교 언어연구소 1 : 41-54, 1990

      6 방성원, "한국어 인용구문 연구" 慶熙大學校 大學院 1994

      7 안경화, "한국어 인용 구문의 연구 : 유형과 융합도를 중심으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5

      8 박재연, "한국어 양태 어미 연구" 태학사 2006

      9 송재목, "증거성(evidentiality)과 주어제약의 유형론-한국어, 몽골어, 티벳어를 예로 들어-" 형태론 9 (9): 1-23, 2007

      10 정혜선, "종결어미와 통합하는 ‘보다’ 구문에 대하여 - ‘-ㄴ가 보다’, ‘-ㄹ까 보다’를 중심으로" 국어학회 4 (4): 45-66, 2010

      11 신선경, "인용문의 구조와 유형분류" 서울大學校 大學院 1986

      12 변정민, "의문형 어미와 통합하는 보조용언 연구 -‘보-’와 ‘싶-’을 중심으로-" 한국어학회 40 : 223-249, 2008

      13 김지은, "우리말 양태 용언 구문에 대한 연구" 한국문화사 1998

      14 송재목, "안맺음씨끝 ‘-더-’의 의미기능에 대하여: 유형론적 관점에서" 국어학회 32 : 135-169, 1998

      15 박진호, "시제, 상, 양태" 국어학회 28 (28): 289-322, 2011

      16 고영근, "서법과 양태의 상관관계, In 국어학신연구" 탑출판사 247-263, 1995

      17 한송화, "발화보문동사에 대한 연구, In 국어문법의 탐구 Ⅲ" 태학사 33-62, 1998

      18 고영근, "단어·문장·텍스트" 한국문화사 1995

      19 이필영, "국어의 인용구문 연구" 탑출판사 1995

      20 남기심, "국어완형보문법연구" 탑출판사 133-254, 1996

      21 장경희, "국어 완형보절의 해석" 국어학회 16 : 487-519, 1987

      22 박재연, "국어 양태의 화·청자 지향성과 주어 지향성" 국어학회 41 : 249-275, 2003

      23 남기심, "국어 문법의 탐구 Ⅰ" 태학사 1996

      24 嚴正浩, "終結語尾와 補助動詞의 統合構文에 대한 연구"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1990

      25 박재연, "‘종결어미와 보조용언의 통합 구문’에 대한 재검토"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24 : 155-182, 1999

      26 김정아, "‘-ㄴ가’ 의문문에 대하여" 국어국문학회 94 : 281-301, 1985

      27 Givỏn, T., "Syntax: A Functional-Typological Introduction Volume Ⅰ"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001

      28 Searle, J. R., "Speech Acts: An Essay in the Philosophy of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9

      29 Sperber, D., "Relevance: Communication and Cognition(2nd edition)" Blackwell 1995

      30 Palmer, F. R., "Mood and Modal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31 Chafe, W., "Evidentiality: the Linguistic Coding of Epistemology" Ablex Publishing Corporation 1986

      32 Aikhenvald, A. Y., "Evidentiality"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33 Halliday, M. A. K., "An Introduction to Functional Grammar" Edward Arnold 199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0.8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96 1.503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