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한문 고전서사의 문화적 전환과 번역 = 국문본 『태평광긔』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513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인류 역사가 발명한 수많은 유산 가운데 문자의 영향력과 파급력은 실로 지대한 것이었다. 예를 들어 동아시아를 한자문화권으로 일컬음도 문명의 기반에 문자의 역할이 그만큼 중대함을 대변한다고 하겠다. 하지만 언어가 다른 상황에서 문자를 차용하여 문명을 공유해야 했던 전근대 시기의 한국으로서는 번역이라는 과정이 필수적이었다. 그 과정에서 이두, 구결, 향찰 등의 차선책이 마련되었고, 훈민정음의 탄생을 통해 본격적인 번역의 시대를 맞을 수 있었다. 이후 불교 경전과유가 경서를 중심으로 중화의 문명을 수용하기 위한 지속적인 번역서의 출현이 이어졌다. 하지만 번역은 단순히 한문에서 국문으로 문자만을 전환하는데 그치지 않았다.
      본고의 관심인 『太平廣記』는 北宋 太宗의 太平興國 연간에 野史와 雜錄을 500권의 거질로 집대성한 총서로 고려조에 이미 수입되어 식자층의 환영을 받았다. 이후 조선조에 들어와 成任에 의해 『太平廣記詳節』로 집약되고, 다시 우리측 자료가 더해진 『太平通載』라는 독자성을 갖는 저술이 더해지는 등 『태평광기』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확인된다. 그리고 이러한 관심은 국문본 『태평광긔』의 출현으로 이어질 수 있었다. 이는 조선후기 서사문학에 대한 독서 일반, 특히 여성들의 독서열이 반영된 것이다. 이때 서사문학의 번역에는 양국의 사회적 차이를 고려한 문화적 전환 과정이 더해질 필요가 있었다. 서사문학의 경우 일상의 사회문화적 생활 관습이 서술되고 있어 독자의 인식차를 줄이기 위한 세심한 주의가 요구되었다. 뿐만 아니라 고전서사의 번역에는 중국의 역사와 한시문의 해석 등을 통해 여성들에게 교양적 측면도 제공하고 있었던 것이다. 지금 『태평광기』에 노정된 고전서사의 번역 양상을 통해 한?중 양국의 문화 교류와 그 문화적 전환의 면모에 유의해 본 것이다.
      번역하기

      인류 역사가 발명한 수많은 유산 가운데 문자의 영향력과 파급력은 실로 지대한 것이었다. 예를 들어 동아시아를 한자문화권으로 일컬음도 문명의 기반에 문자의 역할이 그만큼 중대함을 ...

      인류 역사가 발명한 수많은 유산 가운데 문자의 영향력과 파급력은 실로 지대한 것이었다. 예를 들어 동아시아를 한자문화권으로 일컬음도 문명의 기반에 문자의 역할이 그만큼 중대함을 대변한다고 하겠다. 하지만 언어가 다른 상황에서 문자를 차용하여 문명을 공유해야 했던 전근대 시기의 한국으로서는 번역이라는 과정이 필수적이었다. 그 과정에서 이두, 구결, 향찰 등의 차선책이 마련되었고, 훈민정음의 탄생을 통해 본격적인 번역의 시대를 맞을 수 있었다. 이후 불교 경전과유가 경서를 중심으로 중화의 문명을 수용하기 위한 지속적인 번역서의 출현이 이어졌다. 하지만 번역은 단순히 한문에서 국문으로 문자만을 전환하는데 그치지 않았다.
      본고의 관심인 『太平廣記』는 北宋 太宗의 太平興國 연간에 野史와 雜錄을 500권의 거질로 집대성한 총서로 고려조에 이미 수입되어 식자층의 환영을 받았다. 이후 조선조에 들어와 成任에 의해 『太平廣記詳節』로 집약되고, 다시 우리측 자료가 더해진 『太平通載』라는 독자성을 갖는 저술이 더해지는 등 『태평광기』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확인된다. 그리고 이러한 관심은 국문본 『태평광긔』의 출현으로 이어질 수 있었다. 이는 조선후기 서사문학에 대한 독서 일반, 특히 여성들의 독서열이 반영된 것이다. 이때 서사문학의 번역에는 양국의 사회적 차이를 고려한 문화적 전환 과정이 더해질 필요가 있었다. 서사문학의 경우 일상의 사회문화적 생활 관습이 서술되고 있어 독자의 인식차를 줄이기 위한 세심한 주의가 요구되었다. 뿐만 아니라 고전서사의 번역에는 중국의 역사와 한시문의 해석 등을 통해 여성들에게 교양적 측면도 제공하고 있었던 것이다. 지금 『태평광기』에 노정된 고전서사의 번역 양상을 통해 한?중 양국의 문화 교류와 그 문화적 전환의 면모에 유의해 본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fluence and spillover effects of letters must be really immense among many heritages of human’s historical inventions. For example, calling East Asia as Chinese cultural region may eloquently explain the critical role and impacts of letters on cultural foundation of each East Asian country. During the middle ages of Korea when culture should have been shared with China by borrowing letters, the process of translation was essential to the country. In that process, Idu, Gugyeol and Hyangchal were used as alternatives, until birth of Hunminjeongeum - Korean script -, which gave rise to active translations of Chinese. Since then, continuous translations flourished in Korea to accommodate Chinese cultures, centered on Buddhist scriptures and Confucian classics. Along the way, translation went further than mere translation of Chinese to Korean.
      “Taiping Guangji”, subject of this paper, which is a comprehensive collection of unofficial historical biographies and miscellaneous works with 500 volumes edited during Taiping Xingguo Period of the Northern Song Dynasty, had been already introduced during the Goryeo Dynasty and received good response among intellectuals at the time. Entering the Joseon Dynasty thereafter, it was condensed by “Taiping Guangji Xiang Jie” and also became richer through “Taiping Tongzai” which absorbed Korean stories. This reflected continuous interest in “Taiping Guangji”, leading to birth of “Taepyung-Gwangki” - Korean translation of “Taiping Guangji”. This reflected ordinary people’s interest in narratives, particularly women’s aspiration for reading. Translation of narrative literature at the time required process of cultural conversion, given social difference between both countries. As ordinary social and cultural practices were described in narrative literature, meticulous care was needed during translation to minimize difference of readers’ understanding. It implies that translation of classic narratives provided women with cultural knowledge by dint of interpretation of China’s history and poems. This study on translation of classic narratives as shown on “Taiping Guangji” would like to illuminate bilateral cultur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China as well as cultural conversion.
      번역하기

      Influence and spillover effects of letters must be really immense among many heritages of human’s historical inventions. For example, calling East Asia as Chinese cultural region may eloquently explain the critical role and impacts of letters on cul...

      Influence and spillover effects of letters must be really immense among many heritages of human’s historical inventions. For example, calling East Asia as Chinese cultural region may eloquently explain the critical role and impacts of letters on cultural foundation of each East Asian country. During the middle ages of Korea when culture should have been shared with China by borrowing letters, the process of translation was essential to the country. In that process, Idu, Gugyeol and Hyangchal were used as alternatives, until birth of Hunminjeongeum - Korean script -, which gave rise to active translations of Chinese. Since then, continuous translations flourished in Korea to accommodate Chinese cultures, centered on Buddhist scriptures and Confucian classics. Along the way, translation went further than mere translation of Chinese to Korean.
      “Taiping Guangji”, subject of this paper, which is a comprehensive collection of unofficial historical biographies and miscellaneous works with 500 volumes edited during Taiping Xingguo Period of the Northern Song Dynasty, had been already introduced during the Goryeo Dynasty and received good response among intellectuals at the time. Entering the Joseon Dynasty thereafter, it was condensed by “Taiping Guangji Xiang Jie” and also became richer through “Taiping Tongzai” which absorbed Korean stories. This reflected continuous interest in “Taiping Guangji”, leading to birth of “Taepyung-Gwangki” - Korean translation of “Taiping Guangji”. This reflected ordinary people’s interest in narratives, particularly women’s aspiration for reading. Translation of narrative literature at the time required process of cultural conversion, given social difference between both countries. As ordinary social and cultural practices were described in narrative literature, meticulous care was needed during translation to minimize difference of readers’ understanding. It implies that translation of classic narratives provided women with cultural knowledge by dint of interpretation of China’s history and poems. This study on translation of classic narratives as shown on “Taiping Guangji” would like to illuminate bilateral cultur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China as well as cultural convers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문명의 수용에 따른 번역의 문제
      • 2. 『태평광기』 전래의 문화적 배경
      • 3. 『태평광기』수용의 조선적 양상과 성격
      • 4. 문화 번역서로서의 국문본 『태평광긔』의 성립
      • 국문초록
      • 1. 문명의 수용에 따른 번역의 문제
      • 2. 『태평광기』 전래의 문화적 배경
      • 3. 『태평광기』수용의 조선적 양상과 성격
      • 4. 문화 번역서로서의 국문본 『태평광긔』의 성립
      • 5. 국문본 『태평광긔』의 성격-결론을 대신하여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무악고소설자료연구회, "한국고소설관련자료집" 태학사 2001

      2 김현양, "한국고소설관련자료집" 이회문화사 2005

      3 이경하, "중세의 여성 지성과 문자의 관계" 한국여성문학학회 24 (24): 31-55, 2010

      4 김남이, "조선전기 두시(杜詩) 이해의 지평과 『두시언해(杜詩諺解)』간행의 문학사적 의미" 한국어문학연구학회 (58) : 123-164, 2012

      5 김장환, "연세대 소장본 『태평광긔』 권지이에 대하여, In 연세대 소장 태평광기언해본" 학고방 2003

      6 김장환, "연세대 소장 태평광기언해본" 학고방 2003

      7 신익철, "어우야담" 돌베개 2006

      8 이복규, "설공찬전-주석과 관련자료" 시인사 1997

      9 金鉉龍, "韓國說話小說에 끼친 「太平廣記」의 影響 연구. : 주로 그 素材的關聯性에서 副論文 : ① 許生傳의 所謂 「時事三難」 연구. ② 「壅固執傳」의 根源說話 연구. ③ 謝氏南征記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1976

      10 신상필, "異本을 통해 본 「剪燈新話句解」의 전파 양상과 그 함의" 한국고소설학회 (29) : 511-536, 2010

      1 무악고소설자료연구회, "한국고소설관련자료집" 태학사 2001

      2 김현양, "한국고소설관련자료집" 이회문화사 2005

      3 이경하, "중세의 여성 지성과 문자의 관계" 한국여성문학학회 24 (24): 31-55, 2010

      4 김남이, "조선전기 두시(杜詩) 이해의 지평과 『두시언해(杜詩諺解)』간행의 문학사적 의미" 한국어문학연구학회 (58) : 123-164, 2012

      5 김장환, "연세대 소장본 『태평광긔』 권지이에 대하여, In 연세대 소장 태평광기언해본" 학고방 2003

      6 김장환, "연세대 소장 태평광기언해본" 학고방 2003

      7 신익철, "어우야담" 돌베개 2006

      8 이복규, "설공찬전-주석과 관련자료" 시인사 1997

      9 金鉉龍, "韓國說話小說에 끼친 「太平廣記」의 影響 연구. : 주로 그 素材的關聯性에서 副論文 : ① 許生傳의 所謂 「時事三難」 연구. ② 「壅固執傳」의 根源說話 연구. ③ 謝氏南征記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1976

      10 신상필, "異本을 통해 본 「剪燈新話句解」의 전파 양상과 그 함의" 한국고소설학회 (29) : 511-536, 2010

      11 김일근, "影印 太平廣記諺解" 통문관 1957

      12 이래종, "太平廣記詳節目錄攷" 12 : 1994

      13 정선모, "北宋使行을 통해서 본 朴寅亮의 문학사적 위상" 한국한문학회 (46) : 5-57, 2010

      14 심경호, "<五倫全傳>에 대한 고찰" 8 : 1989

      15 임형택, "17世紀 閨房小說의 成立과 <倡善感義錄>" 57 : 198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Cogito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2 0.72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52 1.183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