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옥외광고 산업의 건전한 성장을 위한 탐색적 연구 = Exploratory research for healthy growth Korean Out of Home media indust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473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one of the oldest existing media, Out of Home media has been developed, from ancient papyrus to neon sign and digital media. Because people today tend to spend more time outside than at home, Out of Home media affects the quality of their life. From the moment when people go out of home, they can find out the way to the destination from sign boards. Also, it is so closely related to people’s lives that people get tons of information when they use transportation or even when they shop. Furthermore, outdoor advertising makes living environment more pleasant providing sceneries. In South Korea, Out of Home comes to be part of urban landscape even though there were some problems of disorder and uniformity of signs. And,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new media and its measurement of effect, it leaded to growth of the industry. However, despite of these progressions, institutional support is inadequate for establishment of legal system and its development. This research would reinterpret “Statutes of administering and promoting Outdoor Advertisement” which takes charge of managing the Out of Home media in South Korea as extending the legal concept from living advertisement to commerce advertisement and from Outdoor media to Out of Home Media.
      Furthermore, even though Korea Out of Home Advertising center has achieved many positive results, there are still shortcomings. Through this research, the center could turn over into the institution which helps secure the finances and make good use of them for robust growth of the industry. In conclusion, rearrangement of legal system and range could be a foundation of industrial growth and review of the role of Korea Out of Home Advertising center would be the main task in this research.
      번역하기

      As one of the oldest existing media, Out of Home media has been developed, from ancient papyrus to neon sign and digital media. Because people today tend to spend more time outside than at home, Out of Home media affects the quality of their life. Fro...

      As one of the oldest existing media, Out of Home media has been developed, from ancient papyrus to neon sign and digital media. Because people today tend to spend more time outside than at home, Out of Home media affects the quality of their life. From the moment when people go out of home, they can find out the way to the destination from sign boards. Also, it is so closely related to people’s lives that people get tons of information when they use transportation or even when they shop. Furthermore, outdoor advertising makes living environment more pleasant providing sceneries. In South Korea, Out of Home comes to be part of urban landscape even though there were some problems of disorder and uniformity of signs. And,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new media and its measurement of effect, it leaded to growth of the industry. However, despite of these progressions, institutional support is inadequate for establishment of legal system and its development. This research would reinterpret “Statutes of administering and promoting Outdoor Advertisement” which takes charge of managing the Out of Home media in South Korea as extending the legal concept from living advertisement to commerce advertisement and from Outdoor media to Out of Home Media.
      Furthermore, even though Korea Out of Home Advertising center has achieved many positive results, there are still shortcomings. Through this research, the center could turn over into the institution which helps secure the finances and make good use of them for robust growth of the industry. In conclusion, rearrangement of legal system and range could be a foundation of industrial growth and review of the role of Korea Out of Home Advertising center would be the main task in this research.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현존하는 광고 매체 가운데 가장 오래된 형태의 하나인 옥외광고는 고대의 파피루스에서 시작되어 오늘날 네온이나 디지털 매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발전되어 왔다. 집 밖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길어진 현대인들에게 있어 옥외광고는 삶의 질에 대해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집 밖으로 나서는 순간부터 간판을 통해 목적지를 알 수 있고, 버스나 지하철 등과 같은 교통시설을 이용 할 때도 수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여가생활이나 쇼핑의 장소에서도 만날 수 있는 등 생활에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또한 경관으로서 보기 좋은 옥외광고는 쾌적한 생활을 제공해주는 환경으로 자리 잡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옥외광고는 간판의 난립이나 표현의 획일화 등과 같은 문제도 있지만, 도시의 배경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한때 성장이 주춤했지만 디지털 매체와 같은 신매체의 개발과 효과측정 방법의 개발 등으로 하나의 산업으로도 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도 불구하고 현재 옥외광고는 법체계나 범위 그리고 발전을 위한 뚜렷한 제도적 지원이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옥외광고의 건전한 성장을 위해 현재 우리나라 옥외광고의 관리를 관장하고 있는 “옥외광고물 등 관리 및 진흥법”이 가지고 있는 생활형 간판 중심의 해석을 발전하는 일반 상업광고물을 포함하는 법적 개념으로 재해석 할 수 있게 제안할 것이며 또한 Outdoor Media에서 Out of Home Media로 확장되어 나가는 옥외광고의 범위에 대한 명확한 개념적 해석을 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옥외광고 진흥을 위해 설립된 한국 옥외광고센터는 많은 긍정적 효과도 생산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미흡한 실정이다. 설립 취지에 맞는 역할을 하기 위해 필요한 재원의 확보와 효율적 이용에 대해 제안을 함으로서 실질적인 성장을 돕는 기관으로 정착될 것이다. 옥외광고의 기본적인 법적 체계의 정리 그리고 분류체계나 범위의 정리가 건전한 성장의 기본이 될 것이며, 이를 지원할 한국옥외광고센터의 역할을 재조명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번역하기

      현존하는 광고 매체 가운데 가장 오래된 형태의 하나인 옥외광고는 고대의 파피루스에서 시작되어 오늘날 네온이나 디지털 매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발전되어 왔다. 집 밖에서 생...

      현존하는 광고 매체 가운데 가장 오래된 형태의 하나인 옥외광고는 고대의 파피루스에서 시작되어 오늘날 네온이나 디지털 매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발전되어 왔다. 집 밖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길어진 현대인들에게 있어 옥외광고는 삶의 질에 대해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집 밖으로 나서는 순간부터 간판을 통해 목적지를 알 수 있고, 버스나 지하철 등과 같은 교통시설을 이용 할 때도 수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여가생활이나 쇼핑의 장소에서도 만날 수 있는 등 생활에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또한 경관으로서 보기 좋은 옥외광고는 쾌적한 생활을 제공해주는 환경으로 자리 잡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옥외광고는 간판의 난립이나 표현의 획일화 등과 같은 문제도 있지만, 도시의 배경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한때 성장이 주춤했지만 디지털 매체와 같은 신매체의 개발과 효과측정 방법의 개발 등으로 하나의 산업으로도 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도 불구하고 현재 옥외광고는 법체계나 범위 그리고 발전을 위한 뚜렷한 제도적 지원이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옥외광고의 건전한 성장을 위해 현재 우리나라 옥외광고의 관리를 관장하고 있는 “옥외광고물 등 관리 및 진흥법”이 가지고 있는 생활형 간판 중심의 해석을 발전하는 일반 상업광고물을 포함하는 법적 개념으로 재해석 할 수 있게 제안할 것이며 또한 Outdoor Media에서 Out of Home Media로 확장되어 나가는 옥외광고의 범위에 대한 명확한 개념적 해석을 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옥외광고 진흥을 위해 설립된 한국 옥외광고센터는 많은 긍정적 효과도 생산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미흡한 실정이다. 설립 취지에 맞는 역할을 하기 위해 필요한 재원의 확보와 효율적 이용에 대해 제안을 함으로서 실질적인 성장을 돕는 기관으로 정착될 것이다. 옥외광고의 기본적인 법적 체계의 정리 그리고 분류체계나 범위의 정리가 건전한 성장의 기본이 될 것이며, 이를 지원할 한국옥외광고센터의 역할을 재조명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광식, "효율적 옥외광고 사업의 활성화룰 위한 탐색적 연구" 9 (9): 119-148, 2012

      2 손봉숙, "특별법 옥외광고 어떻게 할 것인가" 2006

      3 이정교, "옥외광고물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OOH광고학회 1 (1): 93-116, 2004

      4 김영배, "옥외광고물 법규의 제한범위와 수용범위에 관한 연구" 한국옥외광고학회 61-97, 2013

      5 서범석, "옥외광고론" 나남 2001

      6 진홍근, "옥외광고 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연구 - 광고주, 대행사의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14 (14): 33-65, 2012

      7 박진표, "미디어의 역할과 위상 재정립을 위한 탐색전 연구" 10 (10): 19-38, 2013

      8 유승철,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옥외 광고의 새로운 정의와 범위에 대한 연구: 광고학과 법학적 관점의 종합" 한국광고홍보학회 (112) : 199-237, 2017

      9 박영윤, "도시문화와 옥외광고디자인 정책" 예학사 2010

      10 김영민, "도시경관의 구성요소로서 간판디자인에 관한 연구 : 문정동 의류상점 밀집지역을 대상으로"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1999

      1 한광식, "효율적 옥외광고 사업의 활성화룰 위한 탐색적 연구" 9 (9): 119-148, 2012

      2 손봉숙, "특별법 옥외광고 어떻게 할 것인가" 2006

      3 이정교, "옥외광고물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OOH광고학회 1 (1): 93-116, 2004

      4 김영배, "옥외광고물 법규의 제한범위와 수용범위에 관한 연구" 한국옥외광고학회 61-97, 2013

      5 서범석, "옥외광고론" 나남 2001

      6 진홍근, "옥외광고 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연구 - 광고주, 대행사의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14 (14): 33-65, 2012

      7 박진표, "미디어의 역할과 위상 재정립을 위한 탐색전 연구" 10 (10): 19-38, 2013

      8 유승철,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옥외 광고의 새로운 정의와 범위에 대한 연구: 광고학과 법학적 관점의 종합" 한국광고홍보학회 (112) : 199-237, 2017

      9 박영윤, "도시문화와 옥외광고디자인 정책" 예학사 2010

      10 김영민, "도시경관의 구성요소로서 간판디자인에 관한 연구 : 문정동 의류상점 밀집지역을 대상으로"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1999

      11 박진표, "기금조성용 옥외광고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OOH광고학회 11 (11): 101-125, 2014

      12 한광석, "국내 옥외광고 진흥을 위한 한국옥외광고센터의 역할" 한국OOH광고학회 11 (11): 31-61, 2014

      13 제일기획, "광고연감" 제일기획 2016

      14 김성훈, "간판과 도시미관 간의 관련성 및 책임소재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OOH광고학회 8 (8): 157-172, 2011

      15 박민, "「옥외광고물 등 관리법」의 옥외광고산업진흥법으로의 전환 가능성 -「옥외광고물 등 관리법」의 개정 연혁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26 (26): 9-38, 2013

      16 Kothari, C, R, "Research methodology:methds and techniques" newage international 200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7-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Outdoor Advertising Research -> Journal of OOH Advertising Research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7-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옥외광고학연구 -> OOH광고학연구 KCI등재후보
      2014-05-2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옥외광고학회 -> 한국OOH광고학회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Outdoor Advertising Studies -> KOREAN ACADEMY OF OOH ADVERTISING
      KCI등재후보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