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앙행정기관의 소셜미디어 홍보에 관한 비판적 연구 = Critical research on social media public relations of government ministr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473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democratic government places importance on the relationship of the public, which is the consumer and detainee of the policy. In this environment, social media is perceived as the main way to maintain a stable and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public. As a result, our central government agencies are also using various social media channels to promote their policies and strengthen their relationship with the public. However, most government departments focus on distributing the same message simply through various channels, and the utilization of video contents is also low. In this regard, we can draw some improvement directions of social media PR channels. Firs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ays of expanding communication channels and creating interesting contents, away from the form of information transmission through blog operation. Second, government ministries should increase their use of video contents. Third, it is necessary to operate individual channels for each core sector of government departments. Fourth, close unused PR channels and concentrate on core channel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partment.
      번역하기

      The democratic government places importance on the relationship of the public, which is the consumer and detainee of the policy. In this environment, social media is perceived as the main way to maintain a stable and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pub...

      The democratic government places importance on the relationship of the public, which is the consumer and detainee of the policy. In this environment, social media is perceived as the main way to maintain a stable and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public. As a result, our central government agencies are also using various social media channels to promote their policies and strengthen their relationship with the public. However, most government departments focus on distributing the same message simply through various channels, and the utilization of video contents is also low. In this regard, we can draw some improvement directions of social media PR channels. Firs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ays of expanding communication channels and creating interesting contents, away from the form of information transmission through blog operation. Second, government ministries should increase their use of video contents. Third, it is necessary to operate individual channels for each core sector of government departments. Fourth, close unused PR channels and concentrate on core channel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part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민주적 정부는 정책의 소비자이자 수용자인 공중의 관계성을 중시할 수밖에 없고, 이러한 환경에서 소셜미디어는 공중과의 관계성을 안정적이고 긍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주요 방법으로 인식된다. 이에 따라 우리 중앙행정기관들 역시 다양한 소셜미디어 채널을 이용해 정책을 홍보하고, 공중과의 관계성을 강화하고 있다. 다만 소셜미디어에 대한 사회적 기대와 달리 정부 부처의 소셜미디어 채널 이용 방식은 차별화되어 있지 않다. 대부분의 정부 부처가 동일한 메시지를 단순하게 다양한 채널을 통해서 배포하는 것에 주력하고 있고, 또한 동영상 콘텐츠처럼 젊은 세대들로부터 호응도가 높은 콘텐츠에 대한 활용도도 낮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서 소셜미디어 PR 채널의 몇 가지 개선 방향을 도출할 수 있는데, 그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블로그 운영을 통한 정보 전달 형태에서 벗어나 소셜미디어로 소통 채널을 확대하고 흥미성 있는 콘텐츠를 제작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 둘째,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활용 비중을 더욱 높여야 한다. 셋째, 부처의 핵심 분야별로 개별적인 채널을 운영해야 한다. 넷째, 사용하지 않는 PR 채널을 폐쇄하고 부처의 특성에 따라 핵심적인 채널에 집중해야 한다. 소셜미디어를 이용한 PR에서 가장 핵심적인 요소는 알리고 전달하는 공보의 성격이 아니라, 정책 소비자·수용자와 소통을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번역하기

      민주적 정부는 정책의 소비자이자 수용자인 공중의 관계성을 중시할 수밖에 없고, 이러한 환경에서 소셜미디어는 공중과의 관계성을 안정적이고 긍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주요 방법으로 ...

      민주적 정부는 정책의 소비자이자 수용자인 공중의 관계성을 중시할 수밖에 없고, 이러한 환경에서 소셜미디어는 공중과의 관계성을 안정적이고 긍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주요 방법으로 인식된다. 이에 따라 우리 중앙행정기관들 역시 다양한 소셜미디어 채널을 이용해 정책을 홍보하고, 공중과의 관계성을 강화하고 있다. 다만 소셜미디어에 대한 사회적 기대와 달리 정부 부처의 소셜미디어 채널 이용 방식은 차별화되어 있지 않다. 대부분의 정부 부처가 동일한 메시지를 단순하게 다양한 채널을 통해서 배포하는 것에 주력하고 있고, 또한 동영상 콘텐츠처럼 젊은 세대들로부터 호응도가 높은 콘텐츠에 대한 활용도도 낮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서 소셜미디어 PR 채널의 몇 가지 개선 방향을 도출할 수 있는데, 그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블로그 운영을 통한 정보 전달 형태에서 벗어나 소셜미디어로 소통 채널을 확대하고 흥미성 있는 콘텐츠를 제작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 둘째,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활용 비중을 더욱 높여야 한다. 셋째, 부처의 핵심 분야별로 개별적인 채널을 운영해야 한다. 넷째, 사용하지 않는 PR 채널을 폐쇄하고 부처의 특성에 따라 핵심적인 채널에 집중해야 한다. 소셜미디어를 이용한 PR에서 가장 핵심적인 요소는 알리고 전달하는 공보의 성격이 아니라, 정책 소비자·수용자와 소통을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해균, "현대행정학" 다산출판사 1992

      2 박동서, "한국행정론" 법문사 1997

      3 손상영, "컨버전스 미디어 서비스 시장의 안정적 발전을 위한 정책과제" 11 (11): 1-76, 2011

      4 차영란, "정부정책의 신뢰도 제고를 위한 SNS활용 PR 전략" 한국콘텐츠학회 13 (13): 103-116, 2013

      5 공병훈, "정부부처 소셜 미디어 활동과 관계의 평가 프레임워크 개발 연구 -정부 부처 20개 집행기관의 페이스북 페이지 사례를 중심으로-"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35) : 19-42, 2018

      6 김민경, "정부기관의 SNS 활용 및 수용자 반응 분석: 청와대와 17부 페이스북을 중심으로" 한국PR학회 19 (19): 1-37, 2015

      7 박성호, "인터넷 소셜미디어의 매체적 특성과 PR 영역에서 활용방안" 121-125, 2011

      8 황성수, "스마트 정부 시대에 맞는 참여적 거버넌스 모색:Social Media를 활용한 정책홍보와 시민참여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 15 (15): 29-46, 2012

      9 유호종, "소셜미디어를 이용한 웹 홍보전략에 관한 연구 - 충청관광 사례를 중심으로 -" 국제e-비즈니스학회 11 (11): 97-116, 2010

      10 조영신, "소셜미디어를 이용한 사회공헌 활동 PR에서 활동 주체와 전달 정보원에 따른 설득효과 연구 설득지식모형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15 (15): 38-72, 2013

      1 안해균, "현대행정학" 다산출판사 1992

      2 박동서, "한국행정론" 법문사 1997

      3 손상영, "컨버전스 미디어 서비스 시장의 안정적 발전을 위한 정책과제" 11 (11): 1-76, 2011

      4 차영란, "정부정책의 신뢰도 제고를 위한 SNS활용 PR 전략" 한국콘텐츠학회 13 (13): 103-116, 2013

      5 공병훈, "정부부처 소셜 미디어 활동과 관계의 평가 프레임워크 개발 연구 -정부 부처 20개 집행기관의 페이스북 페이지 사례를 중심으로-"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35) : 19-42, 2018

      6 김민경, "정부기관의 SNS 활용 및 수용자 반응 분석: 청와대와 17부 페이스북을 중심으로" 한국PR학회 19 (19): 1-37, 2015

      7 박성호, "인터넷 소셜미디어의 매체적 특성과 PR 영역에서 활용방안" 121-125, 2011

      8 황성수, "스마트 정부 시대에 맞는 참여적 거버넌스 모색:Social Media를 활용한 정책홍보와 시민참여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 15 (15): 29-46, 2012

      9 유호종, "소셜미디어를 이용한 웹 홍보전략에 관한 연구 - 충청관광 사례를 중심으로 -" 국제e-비즈니스학회 11 (11): 97-116, 2010

      10 조영신, "소셜미디어를 이용한 사회공헌 활동 PR에서 활동 주체와 전달 정보원에 따른 설득효과 연구 설득지식모형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15 (15): 38-72, 2013

      11 김희연, "국내외 SNS의 현황과 사회적 의미" 24 (24): 19-42, 2012

      12 Lynn, L. E., "Studying governance and public management : Challenges and prospects" 10 (10): 233-262, 2000

      13 김현정, "SNS를 활용한 정책 PR 콘텐츠 내용분석: 페이스북과 블로그를 중심으로" 한국OOH광고학회 14 (14): 42-68, 2017

      14 Solis, B., "Putting the Public Back in Public Relations: How Social Media Is Reinventing the Aging Business of PR" FTPress 2009

      15 Broom, G., "Public relations as relationship management: A relational approach to public relation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000

      16 Ketchum Perspectives, "Media Myth & Realities. 2009 Annual Report" Ketchum 2009

      17 Grunig, J. E., "Managing public relations(Vol. 343)" Holt, Rinehart and Winston 1984

      18 Landsbergen, D., "Government as Part of the Revolution: Using Social Media to Achieve Public Goals" 8 (8): 135-147, 2010

      19 Ledingham, J., "Explicating relationship management as a general theory of publicrelations" 15 (15): 181-198, 2003

      20 Edelman, "2009 Edelman Trust Barometer" Edelman Public Relations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7-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Outdoor Advertising Research -> Journal of OOH Advertising Research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7-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옥외광고학연구 -> OOH광고학연구 KCI등재후보
      2014-05-2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옥외광고학회 -> 한국OOH광고학회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Outdoor Advertising Studies -> KOREAN ACADEMY OF OOH ADVERTISING
      KCI등재후보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