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주요 정신질환의 약물치료에 대한 한국형 알고리듬 개발 (1) - 알고리듬과 임상지침서의 장·단점 및 개발과 관련된 일반사항 - = Korean Medication Algorithm Projects for Major Psychiatric Disorders (I)- The benefit and risk of algorithm and the general considerations of developing medication algorith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994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apid development of psychotropic drugs and great advancement in psychopharmacology during the past recent years has altered the strategy of pharmacotherapy for major psychiatric disorders, and in turn, an active development of various clinical pr...

      The rapid development of psychotropic drugs and great advancement in psychopharmacology during the past recent years has altered the strategy of pharmacotherapy for major psychiatric disorders, and in turn, an active development of various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or algorithm has taken place. However, there could be problems with applying the foreign guidelines directly to our clinical situation, due to the differences in racial characteristics, socioeconomic conditions, government policy, and clinical practices. In addition, the changes of circumstances outside of clinical situation in Korea may distort clinical practices and may go even against the trend of recent psychopharmacology. As a solution to such problems, Korean Medication Algorithm Project for Major Psychiatric Disorders (KMAP) was launched with the support from the Korean Society of Psychopharmacology and Korean Society of Schizophrenia.
      However, since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and algorithms contain not only the advantages, but also disadvantages and risks, sufficient consideration must precede the development of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and algorithms for the correct and appropriate use. Hence, this review provides a discussion on the definition of clinical guideline and its limitation, its advantages and the disadvantages, and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clinical guideline in psychiatric field. Also, developing source, dissemination and implementation of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were also discussed. We hope that this review can make the purpose of KMAP clear and elicit the productive criticism on the newly developed Korean algorith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많은 정신과 약물들의 개발과 정신약물학의 비약적인 발전은 주요 정신질환에 대한 약물치료 전략을 변화시켰고, 약물치료에 대한 각종 임상지침서나 알고리듬들이 활발히 개발되고 ...

      최근 많은 정신과 약물들의 개발과 정신약물학의 비약적인 발전은 주요 정신질환에 대한 약물치료 전략을 변화시켰고, 약물치료에 대한 각종 임상지침서나 알고리듬들이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인종간의 특성, 사회경제적인 여건, 정책 및 의료행위 등의 차이로 인하여 외국의 지침서들을 국내에 바로 도입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또한 최근에 급격히 변화하는 국내의 진료외적 환경은 자칫 의료행위를 왜곡시키며 시대적인 흐름과도 역행될 가능성 마저 있다. 이를 타개하기 위한 방안 중의 하나로 주요 정신질환의 약물치료에 대한 국내용 알고리듬 개발사업이 ‘대한정신약물학회’와 ‘대한정신분열병학회’의 후원으로 시작되었다. 그러나 임상지침서나 알고리듬은 장점뿐만 아니라 많은 단점과 위험성도 동시에 지니고 있기 때문에 이를 올바르고 적절히 사용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고찰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종설에서는 알고리듬을 포함하는 임상지침서의 정확한 정의와 그 한계점, 장단점 그리고 정신과 영역에서 임상지침서 개발의 필요성을 정리해 보았다. 동시에 개발의 주체와 방법, 보급 및 적용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저자들은 본 개발 사업의 취지를 바로 알리고, 개발된 한국형 알고리듬에 대한 생산적인 비판의 의견을 듣고자 한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9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8-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12-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Journal of Psychopharmacology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9 0.19 0.1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7 0.25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