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해운시장은 선종별로 차이는 있지만 전반적으로 공급과잉 지속, 세계경기 불확실성 증대에 따른 물동량 성장 둔화 등으로 상승세를 기대하기 힘들 전망이다. 해운시장의 본격 회복은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573008
2012
Korean
359
학술저널
1-12(1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2013년 해운시장은 선종별로 차이는 있지만 전반적으로 공급과잉 지속, 세계경기 불확실성 증대에 따른 물동량 성장 둔화 등으로 상승세를 기대하기 힘들 전망이다. 해운시장의 본격 회복은 ...
2013년 해운시장은 선종별로 차이는 있지만 전반적으로 공급과잉 지속, 세계경기 불확실성 증대에 따른 물동량 성장 둔화 등으로 상승세를 기대하기 힘들 전망이다. 해운시장의 본격 회복은 공급과잉이 완화되는 2014년 이후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해운업계는 지속적인 자구 노력과 장기운송계약 물동량 확보를 통한 안정적 수익기반 확충, 환리스크·연료유·선가 변동에 대한 리스크 관리, 선대 운영 합리화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
중앙정부는 해운산업과 조선산업의 불황 극복을 위해 선박금융전문기관 설립과 해운전문인력 양성 지원 그리고 톤세제·국제선박등록제도 등 제도적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 부산시도 선박금융 전문기관 유치, 해운관련 서비스 산업 육성 등을 통해 해운산업의 경쟁력 제고에 적극 나서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