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통원진료민감질환 입원의 지역 변이 분석을 통해, 한국에서 일차의료의 공급이 통원진료민감질환 입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의료기관 규모에 따른 병상 수가 통원진료민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953689
서울 :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의학과의료관리학 전공 , 2018. 8
2018
한국어
610 판사항(22)
서울
Geographic variation and factors associated with hospitalizations for ambulatory care sensitive conditions
x, 102 p. : 삽화, 표 ; 26 cm
참고문헌 수록
I804:11032-00000015292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통원진료민감질환 입원의 지역 변이 분석을 통해, 한국에서 일차의료의 공급이 통원진료민감질환 입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의료기관 규모에 따른 병상 수가 통원진료민감...
이 연구는 통원진료민감질환 입원의 지역 변이 분석을 통해, 한국에서 일차의료의 공급이 통원진료민감질환 입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의료기관 규모에 따른 병상 수가 통원진료민감질환 입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통원진료민감질환 입원이 병상 공급에 민감한 지표로서 활용 가능한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자료로는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제공한 2015년도 입원 청구 자료를 이용하였고, 분석에 앞서 2008년부터 2014년까지의 한국의료패널자료를 이용하여 통원진료민감질환으로 인한 의료 이용 현황을 파악하였다.
연구는 크게 네 단계로 진행하였다. 첫째, 통원진료민감질환 입원 등의 관련 이론을 검토한 다음, 통원진료민감질환군을 설정하고, 일차의료 공급자와 같은 중요 변수들을 정의하였다. 둘째, 연구에서 설정한 통원진료민감질환군을 바탕으로 국내의 입원, 외래, 응급의료 이용 현황을 파악하였다. 셋째, 통원진료민감질환 입원의 지역별 입원율과 변이를 산출하였으며, 넷째, 통원진료민감질환 입원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였다.
통원진료민감질환 입원율의 지역 변이는 252개 시군구와 56개 병원이용권 모두에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는 통원진료민감질환 입원율이 공급자 특성과 같은 환자 외적 요인에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큼을 시사한다. 252개 시군구의 통원진료민감질환 입원율을 종속 변수로 하여 회귀 분석을 시행한 결과, 일차의료 공급자 수가 증가할수록 입원율이 감소하였는데 이는 일차의료 의사(경증질환진료 중심 의원 의사)와 일차의료 의원(일차의료관련과목 의원)이라는 두 가지 정의 모두에서 일관되게 나타났다. 병상 수의 경우 300병상 이상 병원의 병상 수는 통원진료민감질환 입원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반면, 300병상 미만 병원의 병상 수가 증가할수록 입원율이 증가하였다. 또한 지역박탈지수가 높을 수록 입원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6개 병원이용권의 경우, 300병상 이하의 병상 수와 지역박탈지수의 입원율 증가 효과가 시군구 단위에 비해 두드러지게 크게 나타났다. 일차의료 공급자의 경우 입원율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병원이용권의 경우 병원 이용을 기준으로 설정한 지역 단위로서 일차의료 권역으로 보기에는 범위가 넓어 일차의료 공급의 효과 측정에는 적합하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통원진료민감질환 입원이라는 지표가 한국에서도 일차의료의 공급을 반영하는 지표로서 유효하며 병상 공급, 특히 중소 규모 병원의 병상 공급에 민감한 지표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일차의료 공급자 수의 증가는 통원진료민감질환 입원율에 감소 효과를 나타내며, 중소 규모 병원의 병상 수 증가와 지역의 열악한 사회 경제적 여건은 통원진료민감질환 입원율의 증가 요인이 됨을 확인하였다.
향후 정책 설계에 있어 일차의료 의료진을 확충하고 일차의료를 장려하는 정책이 필요하며 이는 일차의료의 독자적 역할을 규정하는 제도적 장치가 있어야만 실효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과다한 병상 공급과 불필요한 입원을 억제하기 위한 공급자와 이용자 양측에 대한 규제책 마련이 필요하다. 이러한 노력들은, ‘통원진료민감질환 입원’이라는 개념의 기원 동기가 된 인구 집단의 취약한 사회 경제적 여건에 대한 개선 노력과 함께해야 할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1 한달선, "한국일차의료의현황과전망", 대한가정의학회, 가정의학회지, 17(11), 948-956, 1996
2 김정희, 정현진, 이호용, "일차의료의 효과성 평가. 국민보험공단. 서 울", [Assessment of the effectiveness of primary care ], 2008
3 김주은, 한승진, 조수진, 이호진, 박수경, "등. 국민보건의료실태조사.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오송, 2018
4 박기동, "한국의 일차 진료 의사. [ Primary care physician in Korea]", 가정의학회지, 23(6), 677-687, 2002
5 김요나, 황교상, 조상현, 이희영, 이태식, 이진용, 김윤, "등. 건강보험 의료이용지도 구축 연구. 국민건강보험공단", 원주, 2016
6 이희영, "우리나라 일차의료에서 외래의료비의 결정요인. (박사), 고려 대학교", 서울, 2014
7 은상준, "외래진료 민감질환 유질환자 중장애인과 비장애인 간 의료 이용률 차이",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8 강성홍, 이경수, 서영숙, 박종호, "우리나라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입원환자의 지역별 의료이용의 변이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한국산학기술학 회 논문지, 11(4), 1511-1519, 2010
9 통계청,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자립도.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2458 제목(*)", 2018
10 민혜영, 최진우, 임선미, 임금자, 박윤형, "전 국민 의료보험체계에서 일차 진료의사의 경영실태. [Financial state of primary care physicians under the Korean insurance system ]", 대한의사협회지, 54(1), 98-111, 2011
1 한달선, "한국일차의료의현황과전망", 대한가정의학회, 가정의학회지, 17(11), 948-956, 1996
2 김정희, 정현진, 이호용, "일차의료의 효과성 평가. 국민보험공단. 서 울", [Assessment of the effectiveness of primary care ], 2008
3 김주은, 한승진, 조수진, 이호진, 박수경, "등. 국민보건의료실태조사.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오송, 2018
4 박기동, "한국의 일차 진료 의사. [ Primary care physician in Korea]", 가정의학회지, 23(6), 677-687, 2002
5 김요나, 황교상, 조상현, 이희영, 이태식, 이진용, 김윤, "등. 건강보험 의료이용지도 구축 연구. 국민건강보험공단", 원주, 2016
6 이희영, "우리나라 일차의료에서 외래의료비의 결정요인. (박사), 고려 대학교", 서울, 2014
7 은상준, "외래진료 민감질환 유질환자 중장애인과 비장애인 간 의료 이용률 차이",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8 강성홍, 이경수, 서영숙, 박종호, "우리나라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입원환자의 지역별 의료이용의 변이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한국산학기술학 회 논문지, 11(4), 1511-1519, 2010
9 통계청,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자립도.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2458 제목(*)", 2018
10 민혜영, 최진우, 임선미, 임금자, 박윤형, "전 국민 의료보험체계에서 일차 진료의사의 경영실태. [Financial state of primary care physicians under the Korean insurance system ]", 대한의사협회지, 54(1), 98-111, 2011
11 김재용, 오지영, 박이병, 박석원, 민경완, 김화영, 김혜영, "우리나라 당 뇨병환자의 외래이용 지속성이 건강결과(health outcome) 와 의료비에 미 치는 영향: 건강보험자료 분석결과", 대한당뇨병학회,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30(5), 377-387, 2006
12 문옥륜, 허정, 윤종률, "허정 의원의 특성에 따른 상병진단군의분포에 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Primary Health Practice and DiagnosisCluster Patterns in Health Insurance]", Korean J. of Health Policy a Administration, 3(2), 100-129, 1993
13 양형국, "의료급여수급권자의 국가 건강 검진 참여 결정 요인: 생애 전환기 건강검진 결과를 이용한 다수준 분석. (석사), 서울대학교 대 학원", 서울, 2012
14 최용준, "우리나라 어린이 청소년 환자에서 일차의료의 지속성에 관 한 연구. [A study on the continuity of primary care among child and adolescent patients in Korea]",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15 김세라, 신현철, "의료급여 수급권자 확대정책이 예방가능한 입원 율에 미친 영향. [The impact of medicaid expansion to include population with low income on the preventable hospitalizations]", 보 건행정학회지, 20(1), 87-102, 2010
16 강희정, 홍재석, 김재용, "우리나라 성인 2 형 당뇨환자의 외래진료 지속성과관련요인 분석. [Continuity of Ambulatory Care among Adult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and Its Associated Factors in Korea]", 보건행정학회지, 19(2), 2009
17 김보린, 박소정, 김수정, "만성질환자의 예방가능한 입원 및 질병으로 인한 응급실 방문. [Preventable Hospitalizations and Emergency Room Visits: Focus on Medical Aid Beneficiaries with Chronic Conditions]", 보건사회연구, 35(2), 405-428, 2015
18 김양균, 성주호, "한국형 ACSC 에 대한 실증분석 및 건강보험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The empirical ambulatory care sensitive conditions study & its potential health insurance applicability in Korea]", 보건행정학회지, 15(3), 79-93, 2005
19 김보람, 윤태호, "시군구별 사회 경제적 결핍 수준과 기대수명, 건강 기대수명의 연관성. [The association between socioeconomic deprivation and life expectancy and healthy life expectancy by region in Korea]", 보건교육 건강증진학회지, 34(5), 29-40,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