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어사전의 발음표시에 대하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462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ctive lexicographical research on Korean dictionaries since the late 1980’s made it possible for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1999/2008) to reach a fairly good specification of pronunciations. Giving pronunciations in Learner’s Dictionary...

      Active lexicographical research on Korean dictionaries since the late 1980’s made it possible for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1999/2008) to reach a fairly good specification of pronunciations. Giving pronunciations in Learner’s Dictionary of Korean (2006) became kinder and more practical owing to the two preceding user-friendly Korean dictionaries for Japanese. Yet those dictionaries need improvements in contents and form of showing pronunciations. For example, pronunciations of loanwords and grammatical morphemes should be more elaborately given, and it should be studied how to show phonological variations depending on word meaning or dialects in Korean dictionaries. And even electronic dictionaries need traditional alphabet-based specification of pronunciations together with replaying announcers’ pronunciation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현경, "한국어 사전 편찬학 개론" 역락 2009

      2 이익섭, "한국어 문법" 서울대출판부 2005

      3 홍재성, "한국어 경쟁 구문에 대한 몇 가지 지적" 187 : 105-121, 1985

      4 이철수, "표준말의 발음표시 : 국어발음사전의 발음표기원칙" 27 : 320-330, 1980

      5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편찬지침" 2003

      6 권인한, "표준 발음의 사전적 처리" 8 (8): 160-190, 1998

      7 김선철, "표준 발음법과 언어 현실" 14 (14): 2004

      8 유타니 유키토시, "조선어 사전의 편찬 : 학습자를 위한 한일사전, In 한국어 교육과 학습 사전" 한국문화사 159-180, 2003

      9 이기갑, "전남방언사전" 전라남도 1997

      10 이병근, "음장의 사전적 기술" 74 : 1990

      1 유현경, "한국어 사전 편찬학 개론" 역락 2009

      2 이익섭, "한국어 문법" 서울대출판부 2005

      3 홍재성, "한국어 경쟁 구문에 대한 몇 가지 지적" 187 : 105-121, 1985

      4 이철수, "표준말의 발음표시 : 국어발음사전의 발음표기원칙" 27 : 320-330, 1980

      5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편찬지침" 2003

      6 권인한, "표준 발음의 사전적 처리" 8 (8): 160-190, 1998

      7 김선철, "표준 발음법과 언어 현실" 14 (14): 2004

      8 유타니 유키토시, "조선어 사전의 편찬 : 학습자를 위한 한일사전, In 한국어 교육과 학습 사전" 한국문화사 159-180, 2003

      9 이기갑, "전남방언사전" 전라남도 1997

      10 이병근, "음장의 사전적 기술" 74 : 1990

      11 배주채,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사전의 방향" 23 : 39-67, 2001

      12 배주채,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사전 개관" 한국사전학회 (14) : 7-51, 2009

      13 임홍빈,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학습 사전, 교열 작업에 대한 전문가 자문 내용. 보완ㆍ개편 사업 결과 보고서" 문화관광부 135-141, 2004

      14 간노 히로오미, "외국인 편찬 한국어 대역 사전의 현황과 문제점" 국립국어연구원 1992

      15 지준모, "사전론 : 의미와 발음과 품사를 중심으로" 20 : 87-115, 1969

      16 민현식, "국어정서법 연구" 태학사 1999

      17 남기심, "국어사전의 현황과 그 편찬 방식에 대하여" 18 : 3-23, 1987

      18 박동근, "국어사전의 외래어 발음 표시 방안" 겨레어문학회 39 (39): 41-66, 2007

      19 권인한, "국어사전의 발음 표시에 대하여, In 이병근선생퇴임기념국어학논총" 태학사 2006

      20 이현복, "국어사전에서의 발음표시" 23 (23): 103-111, 1987

      21 김종덕, "국어사전에서의 발음 정보 처리에 대하여" 한국사전학회 12 (12): 61-96, 2008

      22 이병근, "국어사전과 음운론" 7 : 1989

      23 배주채, "국어사전 용언활용표의 음운론적 연구" 규장각한국학연구원 52 (52): 23-52, 2010

      24 김선철, "국어대사전의 새로운 발음정보 처리 방법에 대하여"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46) : 115-130, 2006

      25 김선철, "국어 형용사와 부사의 표현적 장음화 - ≪연세 한국어사전≫을 중심으로 -"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59 (59): 51-69, 2011

      26 홍종선, "국어 사전학 개론" 제이앤씨 2009

      27 김선철, "국어 발음 사전의 현황과 과제" 한말연구학회 15 (15): 75-92,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1-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LANGUAGE RESEARCH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4-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어학연구소 -> 언어교육원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8 0.58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6 0.52 1.474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