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장애인스포츠 실업팀 고용연계를 위한 기관별 협력 방안 = Cooperative Measures by Organizations for the Employment Connection of Buisness Sports Team for the Disable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2691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장애인스포츠 실업팀의 안정적 운영을 위해 장애인스포츠 분야와 장애인고용 분야 간 정책연계를 통한 기관별 협력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관련 법·제�...

      본 연구는 장애인스포츠 실업팀의 안정적 운영을 위해 장애인스포츠 분야와 장애인고용 분야 간 정책연계를 통한 기관별 협력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관련 법·제도 검토와 장애인스포츠실업팀 운영 현황 및 장애인 고용 실태를 파악하였으며, 실증적 자료 보완을 위해 중앙일간지나 인터넷신문을 중심으로 장애선수나 장애인스포츠 실업팀 관계자의 기사인터뷰 자료를 근거로 장애인스포츠실업팀의 효율적 운영 방향을 모색하였다. 장애인스포츠 실업팀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고용을 연계한 기관별 협력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스포츠 실업팀이 안정적이고 체계적으로 운영되기 위해 법·제도 정비가 선행되어져야 한다. 특히 「국민체육진흥법」이나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 법」「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대한 법률」등의 포괄적인 범위에서 장애인 체육활동을 규정하고 지원하는 것으로 명문화되어져야 하며, 실업팀을 운영하는 지자체마다 제각각인 설치기준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관련기관 간 정책연계를 통해 장애인스포츠 실업팀 창단과 운영에 필요한 재정적 어려움을 덜어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 장애인 의무고용률을 장애인스포츠 분야에 적용시켜실업팀을 운영함으로서 선수들에게는 직업안정성을 높여 안정적 훈련환경을 제공하고, 기업은 장애인 의무고용률 달성을 통해 사회적 책임과 고용장려금 지원 및 장애인편의시설 설치지원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여 실질적 팀 운영에 부담을 덜어주어야 한다. 셋째, 장애인스포츠 실업팀의 창단이나 효율적 운영을 위해 실업팀 창단 이후 각 기관별 역할과 업무를 보다 명확히 구분해야 한다. 이를 위해 장애인스포츠부문과 장애인고용부문, 기업부문 간 협력방안을 각각 구분하고 기관별 역할 규정과 업무분장 내용 등 구체적인 협조체제를 구축하여 장애인스포츠 실업팀이 보다 활성화 될 수 있는 기본적 환경을 조성해 주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cooperative measures by organizations through the policy connection between sports and employment for the disabled for stable operation of Business Sports Team for the disabled (BSTD). To end this, this study 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cooperative measures by organizations through the policy connection between sports and employment for the disabled for stable operation of Business Sports Team for the disabled (BSTD). To end this, this study analyzes the status of employment of the disabled and the problems presented in the operation of the team. Through this analysis, this study aims to present measures to promote the stable employment of the disabled at public institutions, local autonomous entity and private enterprises.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nalysis to provided employment-affiliated measures through collaborative governance to present practical means for public institutions, local autonomous entities and private enterprises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and provide good environment for disabled athletes. The results are as the followings.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burden of finance concerning foundation, operation and employment of BSTDs through affiliated poligies of relevant institutions. Operation strategies should be established to achieve effects of social responsibility and budget/convenience facilities installation support through fulfillment of obligated employment rate in public institutions, local autonomous entities and private enterprises. Through this process, the operation of BSTDs can provide athletes with stable employment and environment for training. Secondly,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burden of finance concerning foundation, operation and employment of BSTDs through affiliated policies of relevant institutions. Operation strategies should be established to achieve effects of social responsibility and budget/convenience facilities installation support through fulfillment of obligated employment rate in public institutions, local autonomous entities and private enterprises. Through this process, the operation of BSTDs can operate the BSTDs with less burden substantially. Lastly, each organization has to be categorized specifically in its parts and tasks for effective operation after foundation of BSTDs. To encourage the BSTDs to be fostered by building a concrete cooperative-network for this basic environment such as classifying the methods of cooperation through the sectors of the sports of the disabled, the employment of the disabled and the corporation from the part of the each organization and the duty division should be activat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대한장애인체육회, "휠체어농구 리그제 도입방안"

      2 한국장애인고용공단, "한국장애인고용공단20년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2010

      3 "한국장애인고용공단"

      4 한민규, "파라림픽대회 분석을 통한 한국장애인스포츠의 진흥방안" 한국특수체육학회 9 (9): 71-83, 2001

      5 김권일, "장애인체육진흥 정책에 대한 전문가 인식분석" 한국특수체육학회 15 (15): 137-150, 2007

      6 문화체육관광부, "장애인체육백서" 문화체육관광부 2007

      7 서울특별시장애인체육회, "장애인체육 행정전달체계 연구" 서울특별시장애인체육회 2008

      8 최승권, "장애인체육 : 장애인체육의 향후정책방향" 99 : 20-25, 2007

      9 이충일, "장애인올림픽(Paralympics)의 국내 현황과 발전방향" 한국사회체육학회 (17) : 795-804, 2002

      10 문화체육관광부, "장애인스포츠실업팀 창단․운영지원 TF자료집" 문화체육관광부 2011

      1 대한장애인체육회, "휠체어농구 리그제 도입방안"

      2 한국장애인고용공단, "한국장애인고용공단20년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2010

      3 "한국장애인고용공단"

      4 한민규, "파라림픽대회 분석을 통한 한국장애인스포츠의 진흥방안" 한국특수체육학회 9 (9): 71-83, 2001

      5 김권일, "장애인체육진흥 정책에 대한 전문가 인식분석" 한국특수체육학회 15 (15): 137-150, 2007

      6 문화체육관광부, "장애인체육백서" 문화체육관광부 2007

      7 서울특별시장애인체육회, "장애인체육 행정전달체계 연구" 서울특별시장애인체육회 2008

      8 최승권, "장애인체육 : 장애인체육의 향후정책방향" 99 : 20-25, 2007

      9 이충일, "장애인올림픽(Paralympics)의 국내 현황과 발전방향" 한국사회체육학회 (17) : 795-804, 2002

      10 문화체육관광부, "장애인스포츠실업팀 창단․운영지원 TF자료집" 문화체육관광부 2011

      11 박진용, "장애인스포츠 직장운동경기부 선수 및 지도자의 팀운영에 관한 인식조사"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2 한창수, "장애인스포츠 실업팀 활성화를 위한 법 제도 개선 방안" 한국특수체육학회 19 (19): 125-133, 2011

      13 박승재, "장애인스포츠 실업팀 운영 및 지원에 대한 인식 분석" 용인대학교 대학원 2011

      14 최승권, "장애인 엘리트체육의 실태 분석" 한국특수체육학회 13 (13): 29-44, 2005

      15 김영진, "장애인 스포츠 선수에게도 비장애인 선수와 동등한 대우를 해 줘야 하는가? -미국 판례와 입법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장애인재활협회 13 (13): 167-187, 2009

      16 한민규, "우리나라 장애인체육의 과제와 발전방향"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0 (10): 197-212, 2008

      17 박병도, "우리나라 장애인 엘리트체육 정책의 문제점과 행정 조직의 개편에 관한 연구" 한국특수체육학회 13 (13): 57-67, 2005

      18 서울특별시장애인체육회, "서울 장애인체육 발전 중장기 계획" 서울특별시장애인체육회 2008

      19 문화체육관광부, "비인기종목 실업팀 세제혜택 받는다"

      20 "대한장애인체육회"

      21 김석준, "뉴거버넌스 연구" 대영문화사 2002

      22 임미화, "2010년장애인 경제활동 실태조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0

      23 문화체육관광부, "2010 체육백서" 문화체육관광부 2011

      24 대한장애인체육회, "2010 사업결과보고서" 대한장애인체육회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3-25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 Korean Society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KCI등재
      2022-02-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 Korean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 1.2 1.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8 1.31 1.18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