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반도 문제와 기독교 평화교육 = The Korean Peninsular Reunification and Christian Peace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935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roughout most of the 20th century, the Korean people haveyearned for the establishment of an independent and unified Korea.
      Despite serious tension and animosity between North and South,Koreans harbor a powerful desire for reunification. However, over thepast few years, although the underlying assumption of eventualreunification remains, forecasts of when this will occur have been fewerand more subdued than the confident predictions of the 1990s. Discussionsregarding the re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r is at a standstill, andthe reunification education is faltering. In order to suggest a solutionfor stimulating animated discussions on the education of reunification,this paper attempts to analysis currently dominant issues such ascharacters of reunification education, perspectives of North Korea, andtypes of reunification education from a perspective of Christian education.
      And it reviews main models of reunification education(traditional model,new paradigm, peace education) critically. Finally, several suggestionsfor Christian peace education are suggested.
      번역하기

      Throughout most of the 20th century, the Korean people haveyearned for the establishment of an independent and unified Korea. Despite serious tension and animosity between North and South,Koreans harbor a powerful desire for reunification. However, o...

      Throughout most of the 20th century, the Korean people haveyearned for the establishment of an independent and unified Korea.
      Despite serious tension and animosity between North and South,Koreans harbor a powerful desire for reunification. However, over thepast few years, although the underlying assumption of eventualreunification remains, forecasts of when this will occur have been fewerand more subdued than the confident predictions of the 1990s. Discussionsregarding the re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r is at a standstill, andthe reunification education is faltering. In order to suggest a solutionfor stimulating animated discussions on the education of reunification,this paper attempts to analysis currently dominant issues such ascharacters of reunification education, perspectives of North Korea, andtypes of reunification education from a perspective of Christian education.
      And it reviews main models of reunification education(traditional model,new paradigm, peace education) critically. Finally, several suggestionsfor Christian peace education are sugges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한반도 상황은 일방적 흡수 통일에 대한 두려움과 불신을 전제하는 북한과 신뢰형성을 전략으로 남북관계를 유도하려는 남한 정부 간의 상이한 시각차에 따른 상호 대립과 갈등의 양상을 탈피하지 못하고 있다. 남북 간 상호 대립과 갈등을 극복하고 통일을지향하는 기독교교육학적 해결을 제안하는 이 논문은 일차적으로 통일교육과 관련해서 최근에 쟁점이 되고 있는 주제들 가운데 통일교육의 성격, 북한 이해의 문제, 통일교육의 형태를 중심으로 개략적으로 검토한다. 계속해서 통일교육의 쟁점에 관한 논의를 바탕으로기존의 통일교육의 모형들(전통적 통일교육, 신패러다임 통일교육, 평화교육)을 비판적 관점에서 개관하고 평가한다. 그리고 결론적으로, 기독교 평화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세 가지원리, 즉 기독교교육학적 차원에서의 통일교육에 관한 지속적 논의, 통일의 개념과 정책에대한 비판적 성찰, 기독교 통일교육의 개방성과 자유로운 의사소통을 제안하는 것으로 마무리한다.
      번역하기

      현재 한반도 상황은 일방적 흡수 통일에 대한 두려움과 불신을 전제하는 북한과 신뢰형성을 전략으로 남북관계를 유도하려는 남한 정부 간의 상이한 시각차에 따른 상호 대립과 갈등의 양...

      현재 한반도 상황은 일방적 흡수 통일에 대한 두려움과 불신을 전제하는 북한과 신뢰형성을 전략으로 남북관계를 유도하려는 남한 정부 간의 상이한 시각차에 따른 상호 대립과 갈등의 양상을 탈피하지 못하고 있다. 남북 간 상호 대립과 갈등을 극복하고 통일을지향하는 기독교교육학적 해결을 제안하는 이 논문은 일차적으로 통일교육과 관련해서 최근에 쟁점이 되고 있는 주제들 가운데 통일교육의 성격, 북한 이해의 문제, 통일교육의 형태를 중심으로 개략적으로 검토한다. 계속해서 통일교육의 쟁점에 관한 논의를 바탕으로기존의 통일교육의 모형들(전통적 통일교육, 신패러다임 통일교육, 평화교육)을 비판적 관점에서 개관하고 평가한다. 그리고 결론적으로, 기독교 평화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세 가지원리, 즉 기독교교육학적 차원에서의 통일교육에 관한 지속적 논의, 통일의 개념과 정책에대한 비판적 성찰, 기독교 통일교육의 개방성과 자유로운 의사소통을 제안하는 것으로 마무리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정수, "해외 평화교육 사례와 통일교육에의 적용 전망" 2 : 165-189, 2002

      2 함택영, "한반도 평화체제 거버넌스 활성화 방안" 통일연구원 2007

      3 한만길, "학교통일교육의 사회과학적 접근" 6 : 164-187, 1994

      4 추병완, "학교 통일교육의 평화교육적 접근" 6 : 90-101, 2003

      5 정현백, "평화지향적 통일교육의 이해" 통일부 통일교육원 2007

      6 한만길, "평화와 통일을 지향하는 교육의 접근 방향과 과제" 2000

      7 고병헌, "평화교육의 개념과 내용체계에 관한 연구" 통일부 통일교육연구원 2007

      8 고병헌, "평화교육사상" 학지사 2003

      9 허호익, "통일을 위한 기독교 신학의 모색" 동연 2010

      10 조정아, "통일교육의 쟁점과 과제" 통일연구원 16 (16): 285-306, 2007

      1 김정수, "해외 평화교육 사례와 통일교육에의 적용 전망" 2 : 165-189, 2002

      2 함택영, "한반도 평화체제 거버넌스 활성화 방안" 통일연구원 2007

      3 한만길, "학교통일교육의 사회과학적 접근" 6 : 164-187, 1994

      4 추병완, "학교 통일교육의 평화교육적 접근" 6 : 90-101, 2003

      5 정현백, "평화지향적 통일교육의 이해" 통일부 통일교육원 2007

      6 한만길, "평화와 통일을 지향하는 교육의 접근 방향과 과제" 2000

      7 고병헌, "평화교육의 개념과 내용체계에 관한 연구" 통일부 통일교육연구원 2007

      8 고병헌, "평화교육사상" 학지사 2003

      9 허호익, "통일을 위한 기독교 신학의 모색" 동연 2010

      10 조정아, "통일교육의 쟁점과 과제" 통일연구원 16 (16): 285-306, 2007

      11 김지수, "통일교육의 연장선에서 본 평화교육의 의의와 한계" 19 : 228-244, 2005

      12 한만길, "통일교육의 실태조사 및 성과 분석" 통일연구원 2003

      13 민족통일연구원, "통일교육의 새로운 방향과 실천과제: 통일 대비 태세 확립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1997

      14 양정훈, "통일교육의 변천과정과 발전적 과제" 평화문제연구소 19 (19): 373-401, 2007

      15 정현백, "통일교육으로서의 평화교육 재정립 방안" 2007

      16 이근철, "통일교육론" 액스퍼트 2000

      17 정세구, "초⋅중⋅고등학교 국민윤리교육" 교육과학사 1983

      18 이대훈, "지난 반세기의 평화교육에서 찾는 시사점" 191 : 21-30, 2012

      19 원준호, "신패러다임 통일교육 구현방안" 통일연구원 2005

      20 전효관, "소프트해진 통일교육, 그 쟁점과 위상" 6 : 189-220, 2003

      21 통일부 통일교육원, "북한 이해" 통일부 통일교육원 2013

      22 정지웅, "기독교 학교에서의 통일교육" 2011

      23 통일부 통일교육원, "2013 통일교육 지침서" 통일부 통일교육원 2013

      24 통일부 통일교육원, "2012 통일교육 지침서" 통일부 통일교육원 2012

      25 박보영, "2006 평화교육 활동백서" 서울YMCA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3-3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hristian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of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KCI등재
      2014-12-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A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6-30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hristian Education -> The Korea Society for the Study of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6-06-2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hristian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2 1.22 1.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6 0.87 1.101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