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미술 교과 학습 활동에서 창의적 표현력 신장을 위한 다양한 미적 체험 학습 활동의 지도에 관한 연구를 실천하여 학생이 주도한 주제 탐색, 표현 방법의 탐색, 표현 재료와 용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9794071
전주 :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학위논문(석사) --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 초등미술교육전공 , 2005. 2
2005
한국어
607.2 판사항(4)
전북특별자치도
vi, 88p. : 삽도 ; 26cm.
참고문헌: p. 78-8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미술 교과 학습 활동에서 창의적 표현력 신장을 위한 다양한 미적 체험 학습 활동의 지도에 관한 연구를 실천하여 학생이 주도한 주제 탐색, 표현 방법의 탐색, 표현 재료와 용구...
본 연구는 미술 교과 학습 활동에서 창의적 표현력 신장을 위한 다양한 미적 체험 학습 활동의 지도에 관한 연구를 실천하여 학생이 주도한 주제 탐색, 표현 방법의 탐색, 표현 재료와 용구의 탐색 학습 활동이 전재되어 다양하고 독창적인 미적 체험 학습 활동이 되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운영으로 인한 획일적인 미술 수업을 탈피한 학급 교육 과정의 운영으로 학생의 경험을 중심으로 하여 학생 주도의 다양한 미적 체험 학습 활동 지도에 관한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미술 교육에서의 열린 교육의 실천 이론과 미술 교과의 창의적인 학습 활동을 유도할 수 있는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고, 창의적인 사고를 유도하기 위한 창의성 교육의 이론적 배경과 창의적인 표현력 신장을 위한 협동 학습 활동 모형에 관한 이론적 해경을 고찰하였다.
2. 미적 체험 학습 활동을 위한 기반 조성으로 제7차 미술 교과 교육과정 재구성을 위하여 미술 교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지역 사회 실태, 학교 실태 및 학교 행사, 학급 실태 및 학급 행사, 계절 등을 고려한 학급 교육 과정 운영을 위한 연간 지도 계획을 수립하였다.
3. 교과서 위주의 학습 활동에 익숙해진 학생들의 고정 관념 탈피를 취한 학생 주도의 학습 활동 전개를 위한 미적 체험 학습 활동 모형 구안하고, 창의적인 학습 활동 전개를 위한 협동 학습 활동 모형을 구안하였다.
4. 학생들이 표현하고자 하는 주제의 표현 재료와 용구 탐색을 도울 수 있는 지도 자료의 구성과 교사가 계획한 학습 활동을 지시에 의하지 않고 학생 주도의 학습 활동 전개를 도울 수 있는 다양하고 구체적인 지도 자료를 구성하였다.
5. 학생들의 상상력을 길러주어 이로 근거로 창의적 사고를 유도하여 창의적인 표현력 신장에 도움이 되어질 수 있는 이야기 자료의 구성과 학생의 창의적 사고를 증폭시킬 수 있는 배경 음악 및 효과 음악 자료를 구성하였다.
6. 창의적인 표현력을 신장을 위한 미적 체험 학습 활동의 지도는 느낌 표현을 위한 미적 체험 학습 활동, 상상 표현을 위한 미적 체험 학습 활동, 사실 표현을 위한 미적 체험 학습 활동, 토픽 학습 활동을 활용한 미적 체험 학습 활동을 구안 지도하였으며, 학생의 자기 평가 학습 활동 지도로 자기 평가 관점에 따라 자기 평가를 하는 과정을 지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나타난 학생들의 학습 활동 결과에 관한 설문 조사의 응답 반응을 분석해 보면 연구 후의 학생의 학습 활동의 면화는 다음과 같다.
1. 학생들의 학습 활동이 자기 주도적으로 전개되고 있으며 발전된 형태의 창의적인 미적 체험 학습 활동이 가능하였으며, 작품 주제의 결정을 자기 주도적으로 결정하여 창의적인 학습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2. 학습 활동을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중심으로 하여 자신의 의사에 따라 결정하여 활동하며, 친구와 의견을 교환하고 협동하여 창의적이고 활발한 학습 활동이 이루어지게 되어 교과서를 모방하거나 교사의 지시에 의하지 않고 자기 주도적으로 창의적인 표현 학습 활동으로, 작품적 완성도가 높아지고 학습 활동 결과에 대한 만족감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various aesthetic experience to enhance the creative expression in the art subject learning activities in which students lead to search for subject expression methods to develop searching for learning activities of expr...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various aesthetic experience to enhance the creative expression in the art subject learning activities in which students lead to search for subject expression methods to develop searching for learning activities of expression materials and learning activities and tools and the did various original aesthetic experience learning activities.
Therefore, this study was to manage the class curriculum which emerged from uniform art class, resulted, from running national-level curriculum. This study also was intended guides for students experience centered by various aesthetic experience learning activities.
The contents of the study to fulfill the above mentioned objectives are as followed:
1. Considered practical theories of open education in the art edict ion and theoretical backgrounds which induced creative learning activities. Also considered theoretical backgrounds of creative education in order to lead creative thinking and theoretical backgrounds on co-operative learning activity model in order to enhance creative expression.
2.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art subject curriculum in order to reorganize the 7th art subject curriculum based on the aesthetic experience learning activities and planned to establish annual teaching materials in order to run the class curriculum which was considered by community actual condition, school actual condition and school events, class actual condition and class events and seasons.
3. Designed the aesthetic experience learning activity models in order to develop student-centered learning activities and made students who were accustomed to textbook- lead learning activities emerged from fixted ideas.
4. Let students express expression materials of subject and search for tools which helped form teaching materials, and also formed various, specific teaching materials to help students lead teacher-planned learning activities not by instructions but by student-lead to develop learning activities.
5. Let students improve their imagination which lead to creative thinking and formed story materials which helped enhance creative expression and also formed background music and effective music materials in order to amplify students creative thinking.
6. Guides for aesthetic experience learning activities and creative expression. Planned and guided activities and creative expression for feelings and expression, aesthetic experience learning activity guide for imagination expression, aesthetic expression learning activity guide for applied topic learning activities. aesthetic experience learning activity guide for applied project learning activity formed and lead related teaching-learning process. Guided students self-evaluated by learning activities in view of self-evaluation point-of-view.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result of students learning activities:
1. Students lead their own self-centered learning activities, and were able to do advanced creative aesthetic experience learning activities, determined self-centered subject of art works and thus did creative leaning activities.
2. Students determined and did learning activities by their own thinking and feelings, exchanged ideas with their friends, co-operated, were creative, made active learning activities, not imitated textbooks, nor teacher's instructions, enabled to lead creative expression activities and upgraded the degree of completion of their art works and thus showed very high sense of satisfaction in the results of art works.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