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직무열의(Job Engagement)의 선행요인과 결과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7241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기업의 생존과 발전은 구성원들의 창의적인 직무성과 제고를 위한 열의와 몰입을 증대시키기 위한 조직 관리의 질적인 향상을 통해 조직 및 인적자원의 경쟁우위를 확보하고 혁신을 달성하는데 있다. 조직구성원들의 몰입이 감소하는 것과 저조한 성과와 관련된 문제들은 근본적으로 직원들이 열의가 없고 성취동기가 저하된데 있다. 기업이 조직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구성원의 직무열의를 증대시키기 위한 관리방안이 전략적 목표가 되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조직성과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직무담당자의 직무열의를 증대시키기 위한 보다 심도 있는 이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JD-R(직무요구-자원)모형을 바탕으로 직무열의를 유발하는 직무 및 상황관련의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직무담당자의 직무열의가 이들의 직무 및 성과관련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하는 동시에 직무열의의 선행요인(직무요구, 직무자원)과 직무담당자의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서 직무열의 매개역할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기업체의 팀장과 그 팀원을 쌍(dyad)으로 선정하여 324쌍을 수집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직무열의의 선행요인인 직무요구 중에서 양적요구는 직무열의와 역U형의 관계를, 직무자원 중에서 직무특성자원과 상사지원은 직무열의와 정(+)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직무담당자가 지각하는 양적요구는 이들의 직무열의에 역U형의 형태로 동태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직무관련자원인 직무특성자원의 보유 정도와 직무수행상황에서 대인관계적인 자원인 상사지원의 지각 정도가 높을수록 직무열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담당자의 직무열의는 직무 및 성과관련 행동인 혁신행동과 정(+)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열의는 직무특성자원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고, 상사지원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는 부분적으로 매개하였다. 본 연구는 직무담당자의 직무 및 수행상황 관련 특성이 이들의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함으로써 구성원 직무열의 증대를 위한 직무설계 및 관리 방안이 무엇인지 이에 대한 다양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번역하기

      오늘날 기업의 생존과 발전은 구성원들의 창의적인 직무성과 제고를 위한 열의와 몰입을 증대시키기 위한 조직 관리의 질적인 향상을 통해 조직 및 인적자원의 경쟁우위를 확보하고 혁신을...

      오늘날 기업의 생존과 발전은 구성원들의 창의적인 직무성과 제고를 위한 열의와 몰입을 증대시키기 위한 조직 관리의 질적인 향상을 통해 조직 및 인적자원의 경쟁우위를 확보하고 혁신을 달성하는데 있다. 조직구성원들의 몰입이 감소하는 것과 저조한 성과와 관련된 문제들은 근본적으로 직원들이 열의가 없고 성취동기가 저하된데 있다. 기업이 조직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구성원의 직무열의를 증대시키기 위한 관리방안이 전략적 목표가 되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조직성과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직무담당자의 직무열의를 증대시키기 위한 보다 심도 있는 이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JD-R(직무요구-자원)모형을 바탕으로 직무열의를 유발하는 직무 및 상황관련의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직무담당자의 직무열의가 이들의 직무 및 성과관련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하는 동시에 직무열의의 선행요인(직무요구, 직무자원)과 직무담당자의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서 직무열의 매개역할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기업체의 팀장과 그 팀원을 쌍(dyad)으로 선정하여 324쌍을 수집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직무열의의 선행요인인 직무요구 중에서 양적요구는 직무열의와 역U형의 관계를, 직무자원 중에서 직무특성자원과 상사지원은 직무열의와 정(+)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직무담당자가 지각하는 양적요구는 이들의 직무열의에 역U형의 형태로 동태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직무관련자원인 직무특성자원의 보유 정도와 직무수행상황에서 대인관계적인 자원인 상사지원의 지각 정도가 높을수록 직무열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담당자의 직무열의는 직무 및 성과관련 행동인 혁신행동과 정(+)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열의는 직무특성자원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고, 상사지원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는 부분적으로 매개하였다. 본 연구는 직무담당자의 직무 및 수행상황 관련 특성이 이들의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함으로써 구성원 직무열의 증대를 위한 직무설계 및 관리 방안이 무엇인지 이에 대한 다양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the antecedent factor of job engagement, the effect of job engagement on innovation behavior. Also we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ntecedent factor and innovation behavi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1) job and job-related situational characteristics(quantitative demand, qualitative demand, job characteristics resource, supervisor support) are the antecedent factors of job engagement by identifying the factor that causes employees' job engagement; (2) employees' job engagement has an influence on their innovation behavior; (3) employees' job engagement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ntecedents of job engagement and innovation behavio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employee and their supervisor paired(dyad) survey was performed for the empirical analysis, and the total of 648 surveys(324 Pairs) was u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quantitative demand and job engagement were related to the reverse U-shaped. Also job characteristics resource and supervisor support as the antecedent of job engagement were positively related to job engagement. But the result of relationship between qualitative demand and employee job engagement wasn'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other words, the higher perception of job characteristics resource and supervisor support in the workplace, the higher job engagement.; (2) employees' job engagement were shown to be positively correlated to their innovation behavior.; (3) employees' job engagement had the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antecedent factors and their innovation behavior. That is employees' job engagement was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resource and innovative behavior and wer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 support and innovative behavior.
      번역하기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the antecedent factor of job engagement, the effect of job engagement on innovation behavior. Also we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ntecedent factor and innovation behavior. The purpose of...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the antecedent factor of job engagement, the effect of job engagement on innovation behavior. Also we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ntecedent factor and innovation behavi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1) job and job-related situational characteristics(quantitative demand, qualitative demand, job characteristics resource, supervisor support) are the antecedent factors of job engagement by identifying the factor that causes employees' job engagement; (2) employees' job engagement has an influence on their innovation behavior; (3) employees' job engagement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ntecedents of job engagement and innovation behavio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employee and their supervisor paired(dyad) survey was performed for the empirical analysis, and the total of 648 surveys(324 Pairs) was u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quantitative demand and job engagement were related to the reverse U-shaped. Also job characteristics resource and supervisor support as the antecedent of job engagement were positively related to job engagement. But the result of relationship between qualitative demand and employee job engagement wasn'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other words, the higher perception of job characteristics resource and supervisor support in the workplace, the higher job engagement.; (2) employees' job engagement were shown to be positively correlated to their innovation behavior.; (3) employees' job engagement had the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antecedent factors and their innovation behavior. That is employees' job engagement was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resource and innovative behavior and wer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 support and innovative behavior.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