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스포츠활동 경험이 청소년의 심리적 소진과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SPORTS ACTIVITIES ON BURNOUT AND RESILIENCE OF KOREAN ADOLESC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476271

      • 저자
      • 발행사항

        완주: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 태권도학과 , 2017. 2

      • 발행연도

        2017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692.8 판사항(5)

      • 발행국(도시)

        전북특별자치도

      • 기타서명

        THE INFLUENCE OF SPORTS ACTIVITIES ON BURNOUT AND RESILIENCE OF KOREAN ADOLESCENTS

      • 형태사항

        vi, 68p.: 삽도; 26cm.

      • 일반주기명

        부록: 설문지
        우석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최상진
        참고문헌: 52-60p.

      • 소장기관
        • 우석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스포츠활동 경험이 청소년의
      심리적 소진과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스포츠·태권도전공
      오 태 한


      본 연구는 스포츠활동 경험이 청소년들의 회복탄력성과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중학교 1학년, 2학년, 3학년까지 총 800명이였으며, 문헌연구를 기초로 심리적 소진 척도와 회복탄력성 척도를 선정하여 전국 소재에 있는 중학교를 대상으로 총 800부를 배포하였다. 이 중 조사내용의 일부가 누락되거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자료로 판단된 92부를 제외하여 총 708명의 자료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의 t검증, F검증, Scheffe사후검증 그리고 상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츠활동 참여 유무에 따른 결과에서는 스포츠활동에 참여한 학생이 참여 하지 않은 학생보다 높은 회복탄력성을 보였으나 심리적 소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스포츠활동 참여빈도에 따른 결과에서는 매일 참여하는 집단과 주2~3회 참여하는 집단이 월1회 참여하는 집단보다 높은 회복탄력성을 나타냈지만 심리적 소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스포츠활동 참여기간에 따른 결과에서는 1년 이상, 6개월~1년 미만 집단이 6개월 미만 참여한 집단보다 회복탄력성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나 심리적 소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스포츠활동 참여 유형에 따른 결과에서는 단체운동 참여집단이 대인, 개인운동 참여 집단에 비해 회복탄력성에서 하위영역인 자기조절능력과 긍정성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적 소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청소년의 회복탄력성은 스포츠활동 유무, 빈도, 기간, 유형에 따라 차이가 타나났으며 심리적 소진과 관련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 시기에 그들이 격는 심리적 소진의 심각성과 스포츠활동 경험이 갖는 의미와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강조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스포츠활동 경험이 청소년의 심리적 소진과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스포츠·태권도전공 오 태 한 본 연구는 스포츠활동 경험이 청소년들의 회복탄력성과 심...

      스포츠활동 경험이 청소년의
      심리적 소진과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스포츠·태권도전공
      오 태 한


      본 연구는 스포츠활동 경험이 청소년들의 회복탄력성과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중학교 1학년, 2학년, 3학년까지 총 800명이였으며, 문헌연구를 기초로 심리적 소진 척도와 회복탄력성 척도를 선정하여 전국 소재에 있는 중학교를 대상으로 총 800부를 배포하였다. 이 중 조사내용의 일부가 누락되거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자료로 판단된 92부를 제외하여 총 708명의 자료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의 t검증, F검증, Scheffe사후검증 그리고 상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츠활동 참여 유무에 따른 결과에서는 스포츠활동에 참여한 학생이 참여 하지 않은 학생보다 높은 회복탄력성을 보였으나 심리적 소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스포츠활동 참여빈도에 따른 결과에서는 매일 참여하는 집단과 주2~3회 참여하는 집단이 월1회 참여하는 집단보다 높은 회복탄력성을 나타냈지만 심리적 소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스포츠활동 참여기간에 따른 결과에서는 1년 이상, 6개월~1년 미만 집단이 6개월 미만 참여한 집단보다 회복탄력성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나 심리적 소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스포츠활동 참여 유형에 따른 결과에서는 단체운동 참여집단이 대인, 개인운동 참여 집단에 비해 회복탄력성에서 하위영역인 자기조절능력과 긍정성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적 소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청소년의 회복탄력성은 스포츠활동 유무, 빈도, 기간, 유형에 따라 차이가 타나났으며 심리적 소진과 관련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 시기에 그들이 격는 심리적 소진의 심각성과 스포츠활동 경험이 갖는 의미와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강조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bstract

      THE INFLUENCE OF SPORTS ACTIVITIES
      ON BURNOUT AND RESILIENCE OF KOREAN ADOLESCENTS


      General Graduate School in Woosuk University
      Majored in Department of Sports and Taekwon-do
      Tea han, Oh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port activities on the burnout and resilience of adolescents. 708 middle school students(1st grade N=78, 2nd grade N=430, 3rd grade N=200) were participated in South Korea. A survey was conducted for this study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Regarding ‘burno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verall, between adolescents who regularly participated in sports activities and those who did not. In regards to ‘resilienc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overall in addition to its sub-factors: adolescents who were regularly involved in sports activities showed a higher level of resilience than those who were not. Moreove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reported in the sub-factors of resilience in ‘self-regula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positivity’ according to the frequency, duration, types of involving sports activities.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gards to the kinds of sports: adolescents who were regularly involved in walking(individual exercise) and football(group exercise) showed a higher level of resilience and a lower level of burnout compared to that of others. Because of the competitive nature of the Korean education system, the time allotted for sports activities has been reduced overall in the favor of mathematics and English education, and this should be reconside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greater time be given to sports education. Moreover, it is important to increase the duration of sports education, in gym class for example, to reduce the stress levels of adolescents in Korea.


      Key words: burnout, resilience, sports participation, adolescents
      번역하기

      Abstract THE INFLUENCE OF SPORTS ACTIVITIES ON BURNOUT AND RESILIENCE OF KOREAN ADOLESCENTS General Graduate School in Woosuk University Majored in Department of Sports and Taekwon-do Tea han, Oh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

      Abstract

      THE INFLUENCE OF SPORTS ACTIVITIES
      ON BURNOUT AND RESILIENCE OF KOREAN ADOLESCENTS


      General Graduate School in Woosuk University
      Majored in Department of Sports and Taekwon-do
      Tea han, Oh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port activities on the burnout and resilience of adolescents. 708 middle school students(1st grade N=78, 2nd grade N=430, 3rd grade N=200) were participated in South Korea. A survey was conducted for this study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Regarding ‘burno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verall, between adolescents who regularly participated in sports activities and those who did not. In regards to ‘resilienc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overall in addition to its sub-factors: adolescents who were regularly involved in sports activities showed a higher level of resilience than those who were not. Moreove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reported in the sub-factors of resilience in ‘self-regula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positivity’ according to the frequency, duration, types of involving sports activities.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gards to the kinds of sports: adolescents who were regularly involved in walking(individual exercise) and football(group exercise) showed a higher level of resilience and a lower level of burnout compared to that of others. Because of the competitive nature of the Korean education system, the time allotted for sports activities has been reduced overall in the favor of mathematics and English education, and this should be reconside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greater time be given to sports education. Moreover, it is important to increase the duration of sports education, in gym class for example, to reduce the stress levels of adolescents in Korea.


      Key words: burnout, resilience, sports participation, adolesc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B. 연구문제 6
      • C. 연구모형 6
      • D. 용어의 정의 7
      • Ⅰ. 서론 1
      •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B. 연구문제 6
      • C. 연구모형 6
      • D. 용어의 정의 7
      • (1) 심리적 소진 7
      • (2) 회복탄력성 7
      • Ⅱ. 이론적 배경 8
      • A. 청소년의 의미 및 범주 8
      • (1) 청소년의 의미 8
      • (2) 청소년의 범주 10
      • B. 심리적 소진과 회복탄력성 12
      • (1) 심리적 소진의 개념 및 연구 12
      • (2) 회복탄력성의 개념 및 연구 13
      • C. 청소년기의 심리적 소진과 회복탄력성 15
      • (1) 청소년기 심리적 소진의 특징 및 결과 15
      • (2) 청소년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18
      • D. 스포츠활동의 긍정적 결과와 청소년기 특징 20
      • (1) 스포츠활동의 개념 20
      • (2) 스포츠활동의 범위 및 영향 22
      • Ⅲ. 연구방법 25
      • A. 연구대상 25
      • B. 측정도구 26
      • (1) 변인 및 하위영역 선정 단계 26
      • (a) 심리적 소진 척도 26
      • (b) 회복탄력성 척도 26
      • (2) 내용타당도 검증 27
      • (a) 1차 내용타당도 검증 27
      • (b) 2차 내용타당도 검증 29
      • (3) 본 검사 29
      • (4) 자료분석 29
      • Ⅳ. 연구결과 31
      • A. 스포츠활동 경험에 따른 심리적 소진의 차이 31
      • B. 스포츠활동 경험에 따른 회복탄력성의 차이 31
      • C. 스포츠활동 참여 빈도에 따른 심리적 소진의 차이 33
      • D. 스포츠활동 참여 빈도에 따른 회복탄력성의 차이 34
      • E. 스포츠활동 참여 기간에 따른 심리적 소진의 차이 35
      • F. 스포츠활동 참여 기간이 따른 회복탄력성의 차이 36
      • G. 스포츠활동 참여 유형이 따른 심리적 소진의 차이 38
      • H. 스포츠활동 참여 유형이 따른 회복탄력성의 차이 39
      • I. 심리적 소진과 회복탄력성의 상관관계분석 40
      • Ⅴ. 논의 42
      • A. 스포츠활동 경험에 따른 청소년의 심리적 소진에 대한 분석 42
      • B. 스포츠활동 경험에 따른 청소년의 회복탄력성에 대한 분석 43
      • C. 청소년의 심리적 소진과 회복탄력성 관련 상관분석 47
      • Ⅵ. 결론 및 제언 48
      • A. 결론 48
      • B. 제언 50
      • 참고문헌 52
      • 국문초록 61
      • 부 록 6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