本稿의 目的은 FASB Statement No.33에서 요구하는 不變貨弊價値基準(constant dollar basis)과 現行原價基(current cost basis)에 의해 修正된 資科가 歷史的 原價基準에 의해 작성된 資科와 비교할 때 增分...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2006245
Chung,Kee-Young (Department of Accounting, College of Business Administration, Keimyung University)
1985
English
325.04
학술저널
353-375(23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本稿의 目的은 FASB Statement No.33에서 요구하는 不變貨弊價値基準(constant dollar basis)과 現行原價基(current cost basis)에 의해 修正된 資科가 歷史的 原價基準에 의해 작성된 資科와 비교할 때 增分...
本稿의 目的은 FASB Statement No.33에서 요구하는 不變貨弊價値基準(constant dollar basis)과 現行原價基(current cost basis)에 의해 修正된 資科가 歷史的 原價基準에 의해 작성된 資科와 비교할 때 增分情報內容을 가지는지를 檢證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檢證을 하기 위해 인플레이션이 진행되는 期間에 營利企業이 歷史的 原價基準을 이용할 경우 企業으로부터 政付에 移轉되는 富로 인하여 企業의 價値가 減少하는 것을 說明하느 모델인 富移轉모델(wealth transfer model)을 利用할 것이다.
代替的인 會計節延와 規利의 果에 대한 評價는 會計政第을 決定하는 團體가 그들의 意思決定을 하는데 有用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本 硏究는 FASB Statement No.33에서 요구된 資科의 株價움직임에 대한 영향을 검토함으로써 이러한 요구의 果에 대한 정당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本稿의 構成은 第2章에서 인플레이션을 조정하는 지금까지의 會計硏究들을 槪觀하고 第3章에서 이러한 硏究의 기초가 되는 理論的 背景과 基本的인 모델을 살펴 보았다. 第4章에서는 本硏究의 設計에 대해, 그리고 第5章에서는 硏究의 앞으로의 展開方向에 대해 간단히 서술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