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에서는 비등방성 난류모형을 이용하여 사면에서 발달하는 2차원 부유사밀도류를 모의하기 위한 수치모형을 제시하였다. 완결 모형으로 난류의 비등방성을 고려할 수 있는 Mellor-Yama...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비등방성 난류모형을 이용하여 사면에서 발달하는 2차원 부유사밀도류를 모의하기 위한 수치모형을 제시하였다. 완결 모형으로 난류의 비등방성을 고려할 수 있는 Mellor-Yama...
본 논문에서는 비등방성 난류모형을 이용하여 사면에서 발달하는 2차원 부유사밀도류를 모의하기 위한 수치모형을 제시하였다. 완결
모형으로 난류의 비등방성을 고려할 수 있는 Mellor-Yamada Level 2.5 모형을 사용하였다. 수치기법으로는 유한체적법을 사용하였고,
이송항의 처리를 위해 power-law 기법을 사용하였다. 모형의 적용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개발된 모형을 일반 개수로 흐름과 1차원 보
존성 밀도류에 적용하였으며, 기존 문헌의 실험 결과 및 등방성 난류모형인 표준 k-□ 모형에 의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모의실험에서
Mellor-Yamada Level 2.5 모형에 의해 모의된 평균흐름과 난류량이 표준 k-□ 모형에 의한 결과와 유사한 것을 확인하였다.
개발된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사면에서 발달하는 2차원의 부유사밀도류를 모의하였다. 사면에서 발달하는 2차원 부유사밀도류의 유속
과 부유사농도의 진행거리별 수직구조에서 유사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난류운동에너지와 난류운동에너지 소산률의 진행거리
별 수직구조에서는 유사성을 확인할 수 없었다. 이는 부유사밀도류의 발달에 따른 흐름의 불안정성에서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presents a numerical model to simulate 2D turbidity currents developing on a slope. The model employs Mellor-Yamada Level 2.5 model, an anisotropic turbulence closure. The finite volume method is used for the numerical implementation,...
This study presents a numerical model to simulate 2D turbidity currents developing on a slope. The model employs
Mellor-Yamada Level 2.5 model, an anisotropic turbulence closure. The finite volume method is used for the numerical
implementation, and the power-law scheme is used for the advection term of the governing equation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of the numerical model, the model is applied to cases of the open-channel flow and the conservative
density current. The measurement data in the literature and computed data by the standard k-□ model are compared with
simulated results. The comparisons indicate that the simulated vertical structures of the open-channel flow and the density
current agree well with both measured data and computed profile by the k-□ model.
The developed model is also applied to a turbidity current developing on a sloped plane. It is shown that the distributions
of the streamwise mean velocity and the concentration are similar along the downstream direction. However, the profiles of
the turbulence kinetic energy and the its dissipation rate are not found to be similar, which is due to flow instability
associated with flow developing.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