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정보정책을 기반으로 구축된 공간정보를 통해 국가행정 서비스 개선, 합리적 의사 결정 지원, 국민 편익이 증진 등의 효과를 가져왔다. 또한 공간정보는 다양한 분야와 결합하여 공간정...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182309
2014
-
350
학술저널
301-325(2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공간정보정책을 기반으로 구축된 공간정보를 통해 국가행정 서비스 개선, 합리적 의사 결정 지원, 국민 편익이 증진 등의 효과를 가져왔다. 또한 공간정보는 다양한 분야와 결합하여 공간정...
공간정보정책을 기반으로 구축된 공간정보를 통해 국가행정 서비스 개선, 합리적 의사 결정 지원, 국민 편익이 증진 등의 효과를 가져왔다. 또한 공간정보는 다양한 분야와 결합하여 공간정보 융복합을 통한 부가가치가 상승되는 시너지효과를 가져오는 창조경제의 핵심가치로 부각되고 있다. 하지만 지난 20년에 가까운 시간동안 공간정보와 관련하여 투입된 시간과 비용을 고려하여 공간정보생태계 현황을 바라 볼때 공간정보정책이 정책목표를 달성하였는지에 대해서는 다수의 전문가는 부정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으며 각종 현황을 통해서도 그를 확인할 수 있다. 정부는 당초공간정보를 사회간접자본으로 인식하고 국가주도로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시행하였지만 공간정보산업은 자생력을 갖추지 못하고 공간정보생태계가 활성화 되지 못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간정보 생태계가 활성화되지 못한 원인을 공간정보정책이 체계적이고 유기적으로 작동하지 못하고 있음에 주목하고 공간정보정책이 정책 목적에 부합하게 활성화되지못하는 원인을 단선적 사고가 아닌 시스템 사고를 통해 공간정보생태계를 분석하여 공간정보정책이 올바른 방향으로 선순환구조가 될 수 있는 전략을 모색하고자 한다. 전략 모색 방법은 시 스템 사고를 기초로 공간정보정책을 구성하고 있는 변수들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고 정책 개선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정책의 레버리지를 찾아내고 이후 레버리지의 우선순위를 제시하고 그에 따른 정책 레버리지 전략을 제시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
부동산자산을 중심으로 본 중고령 가구의 자산변화요인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