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직장 삶의 질의 정도를 확인하고 직장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대전광역시 소재한 1개의 종...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직장 삶의 질의 정도를 확인하고 직장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대전광역시 소재한 1개의 종합병원에 6개월 이상 근무한 간호사 218명으로, 2022년 3월 14일부터 3월 31일까지 구조화된 자기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 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IBM statistics 28.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독립표본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1. 대상자의 직장 삶의 질은 평균 3.75±0.48점, 지각된 건강상태는 평균 2.86±0.73점, 그릿은 평균 3.09±0.41점, 일과 삶의 균형은 평균 2.93±0.67점, 긍정 간호조직문화는 평균 3.79±0.61점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직장 삶의 질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직위(F=6.32, p=.002)와 연봉(F=4.09, p=.007)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대상자의 직장 삶의 질은 지각된 건강상태(r=.27, p<.001), 그릿(r=.26, p<.001), 일과 삶의 균형(r=.35, p<.001), 긍정 간호조직문화(r=.66, p<.001), 총 임상경력(r=.19, p=.005), 현 의료기관 근무경력(r=.26, p<.001), 현 근부부서 만족도(r=.38, p<.001)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4. 대상자의 직장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긍정 간호조직문화(β=.552, p<.001), 현 의료기관 근무경력(β=.261, p<.001), 일과 삶의 균형(β=.151, p=.009), 현 근무부서 만족도(β=.137, p=.008)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의 직장 삶의 질에 대한 수정된 설명력(Adj. R²)은 52.1%로 나타났다(F=40.36, p<.001).
간호사의 직장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간호사들의 직장 삶의 질의 수준을 확인하고, 긍정 간호조직문화 형성과 일과 삶의 균형을 위한 좋은 업무 환경이 필요하며 조직의 전략적인 변화를 위한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이는 간호사의 직장 삶의 질 개선과 간호사들의 장기근속을 위한 효율적인 인력관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