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제11차 WCC 총회 주제 분석과 개혁주의 시각에서의 평가 = Analysis Of The Theme Of The 11th WCC General Assembly And Evaluation From A Reformed Perspectiv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909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11th General Assembly of the WCC set the theme “The love of Christ leads the world to reconciliation and unity.” After setting the topic, a reflection on the theme was written, and 93 workshop topics were set and discussed during the General Assembly. At the end of the General Assembly, the Unity Statement was issued, and four statements and minutes were announced.
      Analyzing these documents, the 11th WCC General Assembly inherited the traditional missionary view of Missio Dei. The object of Christ's love is primarily the world. However, the world that Christ loves is not a world that needs to be saved from sin, but a world that requires reconciliation and unity due to conflict and injustice. So, the themes of the 93 workshops discussed how to lead conflicts between religions and within societies and nations to reconciliation and unity. And in the four statements and minutes, it was demanded that the conflicts and wars facing the world be led to reconciliation and unity. And the Unity Statement issued on the last day emphasizes that the love of Christ seeks to lead the church toward reconciliation and unity in order to bring about reconciliation and unity in the world. As can be seen from this analysis, the 11th WCC General Assembly is interested in the reconciliation and unity of the world according to Missio Dei's missionary view. But this analysis clearly shows that it has little interest in man's salvation from sin and his reconciliation with God. As can be seen from this analysis, it is clear that the 11th WCC General Assembly is interested in the reconciliation and unity of the world according to Missio Dei's missionary view.
      번역하기

      The 11th General Assembly of the WCC set the theme “The love of Christ leads the world to reconciliation and unity.” After setting the topic, a reflection on the theme was written, and 93 workshop topics were set and discussed during the General A...

      The 11th General Assembly of the WCC set the theme “The love of Christ leads the world to reconciliation and unity.” After setting the topic, a reflection on the theme was written, and 93 workshop topics were set and discussed during the General Assembly. At the end of the General Assembly, the Unity Statement was issued, and four statements and minutes were announced.
      Analyzing these documents, the 11th WCC General Assembly inherited the traditional missionary view of Missio Dei. The object of Christ's love is primarily the world. However, the world that Christ loves is not a world that needs to be saved from sin, but a world that requires reconciliation and unity due to conflict and injustice. So, the themes of the 93 workshops discussed how to lead conflicts between religions and within societies and nations to reconciliation and unity. And in the four statements and minutes, it was demanded that the conflicts and wars facing the world be led to reconciliation and unity. And the Unity Statement issued on the last day emphasizes that the love of Christ seeks to lead the church toward reconciliation and unity in order to bring about reconciliation and unity in the world. As can be seen from this analysis, the 11th WCC General Assembly is interested in the reconciliation and unity of the world according to Missio Dei's missionary view. But this analysis clearly shows that it has little interest in man's salvation from sin and his reconciliation with God. As can be seen from this analysis, it is clear that the 11th WCC General Assembly is interested in the reconciliation and unity of the world according to Missio Dei's missionary view.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WCC 11차 총회는 “그리스도의 사랑이 세상을 화해와 일치로 이끄신다”는 주제를 설정하였다. 주제를 설정한 후에 주제 해설문을 작성하였고, 93개 워크숍 주제를 설정하여 총회 기간 중에 논의하였다. 총회의 마지막에 교회 일치선언문을 발표하였고, 4개 성명서와 의사록을 공표하였다.
      이러한 문서들을 분석해 볼 때, 11차 WCC 총회는 전통적인 미시오 데이의 선교관을 그대로 계승하였다. 그리스도의 사랑의 대상이 일차적으로 세상이다. 그런데 그리스도가 사랑하는 세상은 죄에서 구원받아야 할 세상이 아니라 갈등과 불의가 지배하여 화해와 일치가 요구되는 세상이다. 그래서 93개 워크숍의 주제들은 종교간의 갈등, 사회와 국가 안에서의 갈등을 화해와 일치로 이끌 것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4개 성명서와 의사록에서 세계가 당면하고 있는 국가들 간의 갈등과 전쟁을 화해와 일치로 이끌 것을 요구하였다. 그리고 마지막 날에 발표한 교회 일치선언문은 그리스도의 사랑이 세상의 화해와 일치를 가져오기 위하여 교회를 화해와 일치로 이끌고자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러한 분석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11차 WCC 총회는 미시오 데이의 선교관에 따라 세상의 화해와 일치에 관심이 있지, 죄로부터 인간의 구원과 하나님과의 화해에는 별로 관심이 없다는 것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번역하기

      WCC 11차 총회는 “그리스도의 사랑이 세상을 화해와 일치로 이끄신다”는 주제를 설정하였다. 주제를 설정한 후에 주제 해설문을 작성하였고, 93개 워크숍 주제를 설정하여 총회 기간 중에 ...

      WCC 11차 총회는 “그리스도의 사랑이 세상을 화해와 일치로 이끄신다”는 주제를 설정하였다. 주제를 설정한 후에 주제 해설문을 작성하였고, 93개 워크숍 주제를 설정하여 총회 기간 중에 논의하였다. 총회의 마지막에 교회 일치선언문을 발표하였고, 4개 성명서와 의사록을 공표하였다.
      이러한 문서들을 분석해 볼 때, 11차 WCC 총회는 전통적인 미시오 데이의 선교관을 그대로 계승하였다. 그리스도의 사랑의 대상이 일차적으로 세상이다. 그런데 그리스도가 사랑하는 세상은 죄에서 구원받아야 할 세상이 아니라 갈등과 불의가 지배하여 화해와 일치가 요구되는 세상이다. 그래서 93개 워크숍의 주제들은 종교간의 갈등, 사회와 국가 안에서의 갈등을 화해와 일치로 이끌 것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4개 성명서와 의사록에서 세계가 당면하고 있는 국가들 간의 갈등과 전쟁을 화해와 일치로 이끌 것을 요구하였다. 그리고 마지막 날에 발표한 교회 일치선언문은 그리스도의 사랑이 세상의 화해와 일치를 가져오기 위하여 교회를 화해와 일치로 이끌고자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러한 분석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11차 WCC 총회는 미시오 데이의 선교관에 따라 세상의 화해와 일치에 관심이 있지, 죄로부터 인간의 구원과 하나님과의 화해에는 별로 관심이 없다는 것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명재진, "포괄적 차별금지법, 찬성할 것인가 반대할것인가?" 밝은생각 2020

      2 김혜령, "젠더 정의의 퇴행 공간으로서의 한국 교회 ― “부산에서 칼스루헤까지”" 신학사상연구소 (196) : 307-346, 2022

      3 최형근, "제3차 로잔 특집 로잔복음화 운동과 한국교회 대회 케이프타운 서약의 특징과 의의"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2 (22): 113-150, 2013

      4 "예장뉴스 2022.9.1"

      5 장윤재, "세계교회협의회(WCC) 제10차 부산총회와 에큐메니컬 운동" 한국조직신학회 (37) : 211-247, 2013

      6 정병준, "세계교회협의회(WCC) 에큐메니칼 신학의 전개-역대 총회 주제를 중심으로" 한국기독교역사학회 (40) : 79-113, 2014

      7 배춘섭, "로잔운동의 우선주의와 총체주의 간 선교신학적 논의" 한국개혁신학회 76 : 171-205, 2022

      8 박보경, "로잔운동에 나타난 전도와 사회적 책임의 관계"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2 (22): 9-43, 2013

      9 홍기영, "로잔세계복음화운동의 선교신학적 고찰 (상)* ―로잔언약, 마닐라선언, 케이프타운헌신을 중심으로"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2 (22): 151-194, 2013

      10 김영동, "‘WCC 선교와 전도에 대한 새로운 확언’에 대한 비평적 고찰"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45 (45): 41-66, 2013

      1 명재진, "포괄적 차별금지법, 찬성할 것인가 반대할것인가?" 밝은생각 2020

      2 김혜령, "젠더 정의의 퇴행 공간으로서의 한국 교회 ― “부산에서 칼스루헤까지”" 신학사상연구소 (196) : 307-346, 2022

      3 최형근, "제3차 로잔 특집 로잔복음화 운동과 한국교회 대회 케이프타운 서약의 특징과 의의"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2 (22): 113-150, 2013

      4 "예장뉴스 2022.9.1"

      5 장윤재, "세계교회협의회(WCC) 제10차 부산총회와 에큐메니컬 운동" 한국조직신학회 (37) : 211-247, 2013

      6 정병준, "세계교회협의회(WCC) 에큐메니칼 신학의 전개-역대 총회 주제를 중심으로" 한국기독교역사학회 (40) : 79-113, 2014

      7 배춘섭, "로잔운동의 우선주의와 총체주의 간 선교신학적 논의" 한국개혁신학회 76 : 171-205, 2022

      8 박보경, "로잔운동에 나타난 전도와 사회적 책임의 관계"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2 (22): 9-43, 2013

      9 홍기영, "로잔세계복음화운동의 선교신학적 고찰 (상)* ―로잔언약, 마닐라선언, 케이프타운헌신을 중심으로"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2 (22): 151-194, 2013

      10 김영동, "‘WCC 선교와 전도에 대한 새로운 확언’에 대한 비평적 고찰"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45 (45): 41-66, 2013

      11 "https://www.oikoumene.org/sites/default/files/2022-10/ADOPTED-PIC01.9-Minute-on-the-Situation-in-West-Papua.pdf"

      12 "https://www.oikoumene.org/sites/default/files/2022-10/ADOPTED-PIC01.8-Minute-on-Consequences-of-the-2020-Nagorno-Karabakh-War.pdf"

      13 "https://www.oikoumene.org/sites/default/files/2022-10/ADOPTED-PIC01.7-Minute-on-Ending-the-War-and-Building-Peace-on-the-Korean-Peninsula.pdf"

      14 "https://www.oikoumene.org/sites/default/files/2022-10/ADOPTED-PIC01.7-Minute-on-Ending-the-War-and-Building-Peace-on-the-Korean-Peninsula.pdf"

      15 "https://www.oikoumene.org/sites/default/files/2022-10/ADOPTED-PIC01.4rev-Seeking-Justice-and-Peace-for-All--in-the-Middle-East.pdf"

      16 "https://www.oikoumene.org/sites/default/files/2022-10/ADOPTED-PIC01.3rev-The-Things-That-Make-For-Peace-Moving-the-World-to-Reconciliation-and-Unity.pdf"

      17 "https://www.oikoumene.org/sites/default/files/2022-10/ADOPTED-PIC01.2rev-The-Living-Planet-Seeking-a-Just-and-Sustainable-Global-Community.pdf"

      18 "https://www.oikoumene.org/sites/default/files/2022-10/ADOPTED-PIC01.1rev-War%20in-Ukraine-Peace-and-Justice-in-the-European-Region.pdf"

      19 "https://www.oikoumene.org/sites/default/files/2022-10/ADOPTED-PIC01.10-Minute-on-Syriac-Aramaic-Genocide-SAYFO.pdf"

      20 "https://www.oikoumene.org/sites/default/files/2022-09/A05rev1-Unity-Statement.pdf"

      21 "https://www.oikoumene.org/sites/default/files/2022-08/Assembly-Workshops-28082022-ENG.pdf"

      22 "https://www.oikoumene.org/sites/default/files/2022-05/AssemblyThemeBooklet_Eng_Web.pdf"

      23 "https://www.oikoumene.org/sites/default/"

      24 "https://www.oikoumene.org/resources/documents"

      25 "https://iccc-churches.org/puerto-montt-declaration/"

      26 "http://wcc2022.kr/?p=1069"

      27 손원영, "WCC의 종교 간 대화와 풍류-해방도 모델" 한국기독교학회 (124) : 265-301, 2022

      28 김영한, "WCC 핵심 논점에 대한 비판적 성찰 (III)"

      29 장윤재, "WCC 평화신학의 이해와 비판" 신학사상연구소 (167) : 145-182, 2014

      30 김영한, "WCC 제10차 부산총회에 대한 신학적 평가 : 온건으로 돌아선WCC" 21 : 10-49, 2014

      31 김영한, "WCC 부산총회에 대한 신학적 평가 (II)"

      32 이동주, "WCC 11차 칼스루에 총회의 선교신학비평" 은혜와 진리교회 21-39, 2022

      33 Sauca, Ioan, "Impulse für einen neuen Aufbruch auf dem Weg zur Versöhnung und Einheit in Christus. Die 11. Vollversammlung des Ökumenischen Rates der Kirchen 2022 in Karlsruhe" Verlag Otto Lembeck 71 : 138-149, 2022

      34 Enns, Fernando, "Auf dem Weg zu einer ökumenischen Theology of Companionship. Der Pilderweg der Gerechtikeit und des Friedens als kenotische Bewegung" Verlag Otto Lembeck 71 : 234-251, 202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