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성인애착이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 정신화와 자기자비의 이중매개효과 = The Impact of Adult Attachment on Loneliness: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Mentalization and Self-Compass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71996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impact of adult attachment on loneliness and to verify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mentalization and self-compassion.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250 adults aged 20 to 49 years across South Korea. The research employed the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Revised(ECR-R), the UCLA Loneliness Scale Version 3, the Self-Rated Mentalization Questionnaire(SRMQ),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Self-Compassion Scale(K-SCS) as measurement tools. The relationships among the key variables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and PROCESS macro 3.5.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dult attachment, loneliness, mentalization, and self-compassion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Second, mentalization demonstrat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loneliness. Third, self-compassion also demonstrat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loneliness. Fourth,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mentalization and self-compa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loneliness were confirme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higher levels of insecure attachment are associated with lower levels of mentalization and self-compassion, which in turn contribute to increased loneliness. Notably, mentalization was identified as a psychological mechanism that plays a crucial role in the development of self-compassion by enabling individuals to objectively understand themselves and others and alleviating negative self-representations.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in that it identified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mentalization and self-compa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loneliness, thereby providing foundational data for counseling and therapeutic intervention strategies aimed at alleviating emotional distress caused by insecure attachment.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impact of adult attachment on loneliness and to verify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mentalization and self-compassion.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250 adults aged 20 to 49 years across South Korea. Th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impact of adult attachment on loneliness and to verify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mentalization and self-compassion.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250 adults aged 20 to 49 years across South Korea. The research employed the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Revised(ECR-R), the UCLA Loneliness Scale Version 3, the Self-Rated Mentalization Questionnaire(SRMQ),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Self-Compassion Scale(K-SCS) as measurement tools. The relationships among the key variables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and PROCESS macro 3.5.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dult attachment, loneliness, mentalization, and self-compassion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Second, mentalization demonstrat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loneliness. Third, self-compassion also demonstrat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loneliness. Fourth,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mentalization and self-compa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loneliness were confirme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higher levels of insecure attachment are associated with lower levels of mentalization and self-compassion, which in turn contribute to increased loneliness. Notably, mentalization was identified as a psychological mechanism that plays a crucial role in the development of self-compassion by enabling individuals to objectively understand themselves and others and alleviating negative self-representations.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in that it identified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mentalization and self-compa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loneliness, thereby providing foundational data for counseling and therapeutic intervention strategies aimed at alleviating emotional distress caused by insecure attach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성인애착이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고, 정신화와 자기자비의 이중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전국의 만 20세에서 49세 사이의 성인 25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성인애착 척도(ECR-R), 외로움 척도(UCLA Loneliness Scale Version 3), 정신화 척도(SRMQ), 한국판 자기자비척도(K-SCS)를 측정도구로 사용하였다. 주요 변인 간의 관계는 SPSS 21.0과 PROCESS macro 3.5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애착, 외로움, 정신화, 자기자비는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성인애착과 외로움의 관계에서 정신화는 부분 매개 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성인애착과 외로움의 관계에서 자기자비는 부분 매개 효과를 나타냈다. 넷째, 성인애착과 외로움 간의 관계에서 정신화와 자기자비의 이중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는 불안정 애착 수준이 높을수록 정신화와 자기자비가 낮아지고, 이러한 심리적 요인이 외로움의 증가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시사한다. 특히 정신화는 자신과 타인을 객관적으로 이해하고 부정적인 자기표상을 완화함으로써 자기자비의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심리적 기제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성인애착과 외로움 간의 관계에서 정신화와 자기자비의 이중매개효과를 규명함으로써, 불안정 애착으로 인한 정서적 고통을 완화하는 상담 및 치료 개입 전략의 기초 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성인애착이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고, 정신화와 자기자비의 이중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전국의 만 20세에서 49세 사이의 성인 250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는 성인애착이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고, 정신화와 자기자비의 이중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전국의 만 20세에서 49세 사이의 성인 25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성인애착 척도(ECR-R), 외로움 척도(UCLA Loneliness Scale Version 3), 정신화 척도(SRMQ), 한국판 자기자비척도(K-SCS)를 측정도구로 사용하였다. 주요 변인 간의 관계는 SPSS 21.0과 PROCESS macro 3.5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애착, 외로움, 정신화, 자기자비는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성인애착과 외로움의 관계에서 정신화는 부분 매개 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성인애착과 외로움의 관계에서 자기자비는 부분 매개 효과를 나타냈다. 넷째, 성인애착과 외로움 간의 관계에서 정신화와 자기자비의 이중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는 불안정 애착 수준이 높을수록 정신화와 자기자비가 낮아지고, 이러한 심리적 요인이 외로움의 증가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시사한다. 특히 정신화는 자신과 타인을 객관적으로 이해하고 부정적인 자기표상을 완화함으로써 자기자비의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심리적 기제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성인애착과 외로움 간의 관계에서 정신화와 자기자비의 이중매개효과를 규명함으로써, 불안정 애착으로 인한 정서적 고통을 완화하는 상담 및 치료 개입 전략의 기초 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및 연구모형 9
      • Ⅱ. 이론적 배경 11
      • 1. 성인애착 11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및 연구모형 9
      • Ⅱ. 이론적 배경 11
      • 1. 성인애착 11
      • 2. 외로움 15
      • 3. 정신화 19
      • 4. 자기자비 23
      • 5. 변인 간 관계 27
      • 1) 성인애착과 외로움 27
      • 2) 성인애착과 정신화 28
      • 3) 성인애착과 자기자비 29
      • 4) 정신화와 외로움 30
      • 5) 자기자비와 외로움 32
      • 6) 정신화와 자기자비 33
      • Ⅲ. 연구방법 35
      • 1. 연구참여자와 절차 35
      • 2. 측정도구 37
      • 3. 분석방법 41
      • Ⅳ. 연구결과 42
      • 1. 기술통계 분석 42
      • 1)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 분석 42
      • 2) 측정 변수들의 정규성 검정 43
      • 2. 주요 변인 간 상관관계 45
      • 3. 매개효과 검증 48
      • 1) 성인애착불안과 외로움의 관계에서 정신화의 매개효과 48
      • 2) 성인애착회피와 외로움의 관계에서 정신화의 매개효과 50
      • 3) 성인애착불안과 외로움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53
      • 4) 성인애착회피와 외로움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55
      • 5) 성인애착불안과 외로움의 관계에서 정신화와 자기자비의 이중매개효과 57
      • 6) 성인애착회피와 외로움의 관계에서 정신화와 자기자비의 이중매개효과 60
      • Ⅴ. 논의 및 제언 64
      • 1. 연구 결과와 논의 64
      • 2.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69
      • 참고문헌 70
      • 부록 94
      • 초록 103
      • ABSTRACT 10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