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해방이후 사회변혁과 함께 눈부신 경제성장 과정을 거치면서 국가의 기간산업인 교통망도 급속도로 발전을 거듭하여 지상으로 뿐 아니라 지하공간까지 활용하는 지하철 시대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는 해방이후 사회변혁과 함께 눈부신 경제성장 과정을 거치면서 국가의 기간산업인 교통망도 급속도로 발전을 거듭하여 지상으로 뿐 아니라 지하공간까지 활용하는 지하철 시대를...
우리나라는 해방이후 사회변혁과 함께 눈부신 경제성장 과정을 거치면서 국가의 기간산업인 교통망도 급속도로 발전을 거듭하여 지상으로 뿐 아니라 지하공간까지 활용하는 지하철 시대를 개막하기에 이르렀다.
최근에는 전기자동차의 확대보급이 진행되고 있으며 무인자율주행차가 거의 개발완료단계에 와있어 실용화가 눈앞에 있다. 이러한 교통수단의 기술적 진보는 공공교통시설과의 연계성과도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공공교통시설이라는 것은 철도역사, 전철역, 버스터미널, 승강장, 일반 대중교통 승강장 등을 예로 들 수 있는데, 이러한 시설들은 공공디자인의 성격을 가지고 있음으로써, 주변 환경과의 조화성이 고려되어야 하고, 이용자들에게는 만남의 장소 역할까지 제공하여야 한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사람들과의 소통의 공간이면서도 대중교통 수단으로서 도보, 자전거, 자동차 등의 교통수단과 연결되어지는 환승공간기능까지 담당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공공교통시설들은 이동하는 여행객들에게 단순한 진출입기능을 수행할 뿐만이 아니라 그 지역이 가지고 있는 지역적 특성과 이미지를 교감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지역명이 가지고 있는 고유 지명유래와 그 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들(지역 특산물, 지역 특화문화행사, 각종 이벤트 등)을 기호학적 내지는 시지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공간이기에 문화적 감성과 환경적인 측면에서도 특성을 연출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기존의 공공교통시설들은 너무나 경제적인 조건에만 치중한 나머지 그 시설이 가지는 지역의 상징적 특성을 간과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전시와 충청도 지역에 속해있는 공공교통시설들을 주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여, 그 시설만이 가지고 있는 지역 이미지를 유형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디자인 개선 방향을 찾고자 하는 것이며, 이와 함께 최근의 인터페이스적 환경에서 그 지역의 이미지와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인터렉티브 디자인을 적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ransportation spaces provide expediency, safety, pleasant feelings, comfort, and convenience to people as spaces for the departure, arrival, or transfer of people or things to be delivered, and consist of bus stops, subways, airports, and ship termin...
Transportation spaces provide expediency, safety, pleasant feelings, comfort, and convenience to people as spaces for the departure, arrival, or transfer of people or things to be delivered, and consist of bus stops, subways, airports, and ship terminals.
Of these, railways, subways and bus stops are used by a number of people as a space where various things such as meeting, waiting, and transferring is done.
However with the advent of the information age and the availability of digital media, these spaces have changed into spaces for information delivery and interaction through the delivery of digital media to users as well as simply being for physical use.
Therefore, this study is aimed to examine the local image and interactive design in public traffic facilities focused on Chungcheong province in Korea by analysing the correlation of geographical language and public traffic facilities, the use of digital media with the local images of railways, subways and bus stops in Chungcheong provinc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cases of digital media use which can be applied in 21 railway buildings, 22 subway canopies and 5 BRT bus stop shelters of Chungcheong province.
Then, through the four factors of forms, materials, colors, lightings, and systems from digital media drawn from previous studies, methods for applying digital media at public traffic facilities were presented. For the application methods, with the local image of geographical language, all elements stimulated emotions through interaction with users on screens and monitors using light and images and provided various pieces of information.
In 21 railway buildings, this study is aimed to reflect the current status survey, analysis and response of 10 railway stations using geographical names in one of 19 stations located on Gyeongbu, Honam and Chungbuk line. Most railway stations in the study have shown a reverse image that is close to the standard type by selecting similar building materials rather than reflecting geographical features. Aside from the shape of the traditional Korean house in Cheongju, almost all newly constructed stations tend to incorporate light gray plating material on their modern exterior to produce Family look design as a railroad station. According to a survey of the sensitivity of the station's name, Osong Station was 73.6 percent, Gyeryong Station 67.3 percent, Heukseok-ri Station was 64.5 percent, Shintan-jin 62.6 percent, and Yeonsan Station 57 percent, more than half. Therefore, the results of the five stations were presented as a calculation and proposed design release focusing on the facades of each station. Each of these stations suggested a way to express the facade design image, considering the railway operation status of Korea Railroad, the area of the station and other surroundings.
In 22 subway canopies, this study is aimed to examine the local image in subway canopies focused on Daejeon City in Korea by analysing the correlation of geographical language and subway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cases of 22 subway canopies of Daejeon City. Then, the problems and solutions were presented through the four factors of forms, materials, colors, and lightings. As a result of questionnaire survey, the needs for canopy design are suggested, and the sensitivity for canopy design related to local image is relatively high in natural geographical language such as 'Daejeon'(related to field), 'Gapcheon'(related to stream), 'Guam' (related to rock) subway. and For the application methods, with the local image of geographical language, all elements stimulated emotions through interaction with users and residents.
BRT bus stops show a tendency to express design characteristics that reflect the new traffic system, the new city as a new administrative city, the transit station of KTX, and the new transportation system, rather than the representation of local images originating from place names.
The BRT stop shelter, which was opened in May 2018, is located in six of the three towns in the first town of Sejong City, Doram Village, and the Government Complex. The shelter protects passengers in snow, rain, wind, and sunlight. We installed solar power facilities including power glass, which is a transparent glass wireless light emitting diode screen, while installing convenience facilities. However, future urban environment will be based on ubiquitous architecture and transportation network, so it is still required to upgrade the interface environment of bus stop, which is at a novice level, to an interactive system.
As in the methods presented above, the public traffic facilities which were changed through digital media have changed into new emotional spaces for information delivery using lighting, images, and graphics for all elements where interactions between the public traffic facilities and users can be activated. In current trends in public design, it is suggested that public traffic facilities, which are used by many people, should be made into spaces for information delivery and interaction through diverse digital media rather than simply being spaces for waiting and transferring.
목차 (Table of Contents)
1 김태영, 노선화 , "충북지역 농촌마을의 지명어 유형분류", 대한건축학 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 543-546쪽, 2005
2 김정태, "대전 지역의 `산`지명어 연구, 충청문화연구", 충남대학교 충 청문화연구소, , 제13집, 91~114쪽, 2014
3 김주연, 성기섭, "지하철역 출입구 캐노피 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 공간디자인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2017
4 김미옥 , 심희정, "영상미디어 연출과 공간성의 변화에 관한 연구", 조형미디어학, 2005
5 김경훈, 박정희 , "공공디자인에서 미디어파사드의 표현유형 연구", 한 국과학예술포럼 10권 0호, , 1∼11쪽, 2012
6 이경화, "건축 표피디자인의 인터렉티브 아트적 표현연구", 한국디지 털건축인테리어학회 논문집, 2008
7 유재엽, "영상미디어 연출 특성에 따른 공간표현에 관한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04
8 유정선, 정진헌, "도시경관 미디어파사드의 영상디자인 구성요소 연 구",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제15권 제11호, , 6478∼6483쪽, 2014
9 김진욱, 이황명 , "서울 지하철 역사 출입구 캐노피 유형화에 관한 연 구", 한국방재학회지 16권 4호, , 7∼13쪽, 2016
10 박현호, 이강주, "대구광역시 지하공공보도시설의 유니버설 디자인 평가",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12
1 김태영, 노선화 , "충북지역 농촌마을의 지명어 유형분류", 대한건축학 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 543-546쪽, 2005
2 김정태, "대전 지역의 `산`지명어 연구, 충청문화연구", 충남대학교 충 청문화연구소, , 제13집, 91~114쪽, 2014
3 김주연, 성기섭, "지하철역 출입구 캐노피 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 공간디자인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2017
4 김미옥 , 심희정, "영상미디어 연출과 공간성의 변화에 관한 연구", 조형미디어학, 2005
5 김경훈, 박정희 , "공공디자인에서 미디어파사드의 표현유형 연구", 한 국과학예술포럼 10권 0호, , 1∼11쪽, 2012
6 이경화, "건축 표피디자인의 인터렉티브 아트적 표현연구", 한국디지 털건축인테리어학회 논문집, 2008
7 유재엽, "영상미디어 연출 특성에 따른 공간표현에 관한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04
8 유정선, 정진헌, "도시경관 미디어파사드의 영상디자인 구성요소 연 구",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제15권 제11호, , 6478∼6483쪽, 2014
9 김진욱, 이황명 , "서울 지하철 역사 출입구 캐노피 유형화에 관한 연 구", 한국방재학회지 16권 4호, , 7∼13쪽, 2016
10 박현호, 이강주, "대구광역시 지하공공보도시설의 유니버설 디자인 평가",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12
11 윤수미, "어포던스 개념을 도입한 버스정류장 디자인에 관한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석사논문, 2010
12 변재형, "증강현실을 활용한 사용자참여 디자인 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003
13 김태영, 오성진, "1960년대 청주 도심경관고-도심 복원모델의 제작을 통하여",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제20권 4호, 2018. 11, 19-29쪽, 2018
14 김태영, "자연취락에 있어서 지명과 공간구조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청주대 산업과학연구, , 189-195쪽, 2000
15 김석영, 김왕직, "건축문화유산의 야외 증강현실 활용 사례와 관람매 체 제안", 한국건축역사학회, 2016
16 권동은, "∙ ,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도구로서의 인터렉티브 광고 연구", 한 국디자인포럼 17권 7호, , 125∼133쪽, 2007
17 이준수, "도시형 인터랙티브 미디어 파사드의 발전 방향에 관한 연 구", 예술과 미디어 12권 4호, , 193∼212쪽, 2013
18 김규섭, 윤성인 , 송명구 , "∙ 3D 가상현실을 통한 건축미디어 인터랙션 구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 26권 1호, 2016
19 김은수, "건물 파사드 미디어아트의 공간 인터렉션 디자인에 관한연 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20 김정태, "대전 지역의 ‘골(谷)’ 관련 지명어에 대하여, 충청문화연 구", 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년, 제17집, 193~214쪽, 2016
21 이원선, "지명유래에서 본 자연마을의 형성과정과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청주대 석사논문, 1998
22 이정교, 황규연, "∙ , 철도역사의 혼잡성이 역사 공공서비스공간에 미치 는 영향",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2015
23 강현옥, "∙ 디지털 사이니지를 위한 움직임과 인터랙션디자인에 관한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3(2), , 345∼354쪽, 2013
24 김미영 , 김현정, "웹 인터렉티브의 사례분석을 통한 인터랙션 디자인 전략분석 및 개발사례", 디자인학 연구 통권 제58호, Vol. No4, null
25 김영진, "사용자 중심 디자인 관점에서 본 서울역사 공공시설물 디자 인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26 문정민, 심소연, "버스정류장의 디지털미디어 활용에 관한 연구 : 광 주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9권 3호, 2013
27 김태영, 문병선 , 노선화 , "‘곡’(谷)계 지명 농촌마을의 입지 특성에 관한 연구-충청북도 괴산군을 대상으로-",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103-111쪽, 2007
28 김민희, "지하철역 캐노피의 디자인 평가에 관한 연구- 대구광역시 지하철역 캐노피를 대상으로", 경북대하교 석사논문, 2009
29 김태영, 오성진, "지하철역의 출입구 캐노피 디자인과 역명 감성반응에 관 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논문집, 제20권 6호", 12(게재 예정), 2018
30 김태영, 오성진, "철도 역명의 유래를 통하여 본 파사드 이미지 및 감성반응에 관한 연구-충청권 광역 전철화 노선을 중심으로-", 대한건축 학회지회연합회논문집, 제20권 6호, , 12,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