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Anthony Browne의 [고릴라]에 그려진 전복(subversion)의 이미지 = The Images of Subversion in Anthony Browne’s [Gorill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405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nthony Browne’s [Gorilla] has been regarded as a representative postmodern picture book. The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ity in his work such as uncertainty, parody, intertextuality, self-referentiality, polyphony, and open ending are results of the modality of texts and images. The visual allusions of images, especially, amplify the difficulty of interpretation due to their complexity and multi-layered meanings. This study paraphrased the intents of visual allusions in [Gorilla] as a form of subversion. To this end, the implications of four themes were analyzed. The four themes in this study were the following: the parody of famous art works, the visual allusion of celebrities, the image of the freemason, and, Gorilla and Hannah’s late-night date.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suggests that when criticizing picture books for children, the hermeneutic attitude to discover an author’s intentions is related to the critic’s ethical aspect.
      번역하기

      Anthony Browne’s [Gorilla] has been regarded as a representative postmodern picture book. The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ity in his work such as uncertainty, parody, intertextuality, self-referentiality, polyphony, and open ending are results of t...

      Anthony Browne’s [Gorilla] has been regarded as a representative postmodern picture book. The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ity in his work such as uncertainty, parody, intertextuality, self-referentiality, polyphony, and open ending are results of the modality of texts and images. The visual allusions of images, especially, amplify the difficulty of interpretation due to their complexity and multi-layered meanings. This study paraphrased the intents of visual allusions in [Gorilla] as a form of subversion. To this end, the implications of four themes were analyzed. The four themes in this study were the following: the parody of famous art works, the visual allusion of celebrities, the image of the freemason, and, Gorilla and Hannah’s late-night date.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suggests that when criticizing picture books for children, the hermeneutic attitude to discover an author’s intentions is related to the critic’s ethical aspec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Anthony Browne의 [고릴라]는 포스트모던 그림책의 대표 격으로 간주되어 왔다. 그의 작품이 보여주는 포스트모던 텍스트의 특징인 불확정성, 패러디, 상호텍스트성, 자기참조성, 다성성, 열린 결말 등은 주로 글과 그림의 양태(modality)의 불일치에 기인한다. 특히 그림 이미지의 시각적 암시(visual allusion)는 그 복잡성과 의미의 다층성으로 인해 해석의 어려움을 증폭시킨다. 본 논의는 [고릴라]의 시각적 암시가 의도하는 바를 ‘전복’(subversion)으로 요약하였으며, 이를 입증하기 위해 다음의 네 개의 주제를 살펴보았다. 첫째, 예술작품의 패러디가 함축하는 것은 무엇인가? 둘째, 유명인의 시각적 암시가 함축하는 것은 무엇인가? 셋째, 프리메이슨 상징의 이미지가 함축하는 것은 무엇인가? 넷째, 고릴라와 한나의 심야 외출이 함축하는 것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결론은 어린이가 읽는 그림책 텍스트를 평론하는 작업에 있어서 작가의 의도를 발견하려는 해석학적 태도가 평론가의 윤리적 책무와 관련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Anthony Browne의 [고릴라]는 포스트모던 그림책의 대표 격으로 간주되어 왔다. 그의 작품이 보여주는 포스트모던 텍스트의 특징인 불확정성, 패러디, 상호텍스트성, 자기참조성, 다성성, 열린 ...

      Anthony Browne의 [고릴라]는 포스트모던 그림책의 대표 격으로 간주되어 왔다. 그의 작품이 보여주는 포스트모던 텍스트의 특징인 불확정성, 패러디, 상호텍스트성, 자기참조성, 다성성, 열린 결말 등은 주로 글과 그림의 양태(modality)의 불일치에 기인한다. 특히 그림 이미지의 시각적 암시(visual allusion)는 그 복잡성과 의미의 다층성으로 인해 해석의 어려움을 증폭시킨다. 본 논의는 [고릴라]의 시각적 암시가 의도하는 바를 ‘전복’(subversion)으로 요약하였으며, 이를 입증하기 위해 다음의 네 개의 주제를 살펴보았다. 첫째, 예술작품의 패러디가 함축하는 것은 무엇인가? 둘째, 유명인의 시각적 암시가 함축하는 것은 무엇인가? 셋째, 프리메이슨 상징의 이미지가 함축하는 것은 무엇인가? 넷째, 고릴라와 한나의 심야 외출이 함축하는 것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결론은 어린이가 읽는 그림책 텍스트를 평론하는 작업에 있어서 작가의 의도를 발견하려는 해석학적 태도가 평론가의 윤리적 책무와 관련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Nikolajeva, M., "힘과 목소리, 주체성-어린이 문학에 나타난" 교문사 2012

      2 Wolterstorff, N., "행동하는 예술" IVP 2010

      3 김민정, "한국 스테디셀러 그림책의 특성"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5 (15): 141-163, 2014

      4 강준만, "필링은 진보, 행동은 극우: 한국에서 체 게바라는 어떻게 소비되는가?" 31 : 82-107, 2000

      5 Jeffers, H. P., "프리메이슨" 황소자리 2007

      6 노영희, "포스트모더니즘 관점에서 본 Anthony Browne의 어린이 그림책 특징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5 (15): 273-299, 2010

      7 김명주, "페미니즘 관점에서 본 모던 탱고(Tanggo)" 7 (7): 217-230, 1999

      8 최을영, "찰리 채플린: 20세기 최고의 어릿광대" 183 : 59-85, 2013

      9 현은자, "존 클라센의 <모자 삼부작>에 대한 세계관적 접근"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9 (19): 199-224, 2018

      10 표준국어대사전, "전복"

      1 Nikolajeva, M., "힘과 목소리, 주체성-어린이 문학에 나타난" 교문사 2012

      2 Wolterstorff, N., "행동하는 예술" IVP 2010

      3 김민정, "한국 스테디셀러 그림책의 특성"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5 (15): 141-163, 2014

      4 강준만, "필링은 진보, 행동은 극우: 한국에서 체 게바라는 어떻게 소비되는가?" 31 : 82-107, 2000

      5 Jeffers, H. P., "프리메이슨" 황소자리 2007

      6 노영희, "포스트모더니즘 관점에서 본 Anthony Browne의 어린이 그림책 특징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5 (15): 273-299, 2010

      7 김명주, "페미니즘 관점에서 본 모던 탱고(Tanggo)" 7 (7): 217-230, 1999

      8 최을영, "찰리 채플린: 20세기 최고의 어릿광대" 183 : 59-85, 2013

      9 현은자, "존 클라센의 <모자 삼부작>에 대한 세계관적 접근"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9 (19): 199-224, 2018

      10 표준국어대사전, "전복"

      11 김정선, "이중 서술자를 통해 바라본 앤서니 브라운의 고릴라"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4 (14): 121-135, 2013

      12 Vanhoozer, K. J., "이 텍스트에 의미가 있는가?" IVP 2003

      13 Brand, H., "예술과 영혼" IVP 2004

      14 전원경, "예술, 역사를 만들다" 시공아트 2016

      15 현은자, "어린이 그림책 서평에 내포된 윤리적 속성"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8 (18): 207-226, 2017

      16 이현경, "앤서니 브라운(Anthony Browne) 그림책에 나타난 ‘숲’의 의미"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5 (15): 127-147, 2010

      17 김연정, "앤서니 브라운 책과 미디어 아트의 만남"

      18 Browne, A., "앤서니 브라운 나의 상상 미술관" 웅진주니어 2011

      19 김영수, "앤서니 브라운 그림책‘고릴라’의미연구:그레마스 기호학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0 (10): 176-183, 2010

      20 최경진, "앤서니 브라운 “고릴라와 인간의 눈은 닮았어요”"

      21 de Rynck, P., "세계 명화 속 숨은 그림 읽기" 마로니에북스 2006

      22 김희정, "성곡미술관 ‘행복한 그림책 여행’ 전시"

      23 Barrett, T., "미술비평: 그림 읽는 즐거움" 아트북스 2004

      24 Vanhoozer, K. J., "문화신학" 부흥과개혁사 2009

      25 김욱동, "문학이란 무엇인가" 문예출판사 2013

      26 연상춘, "모차르트에서의 프리메이슨의 의미" 음악연구소 22 (22): 35-56, 2015

      27 Lewis, C. S., "나니아 연대기" 시공주니어 2019

      28 Kuby, G., "글로벌 성혁명" 밝은세상 2018

      29 Beckett, S. L., "그림책의 미학" 교문사 2014

      30 Nikolajeva, M., "그림책을 보는 눈" 마루벌 2011

      31 Browne, A., "고릴라" 비룡소 2005

      32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국어사전편찬실, "고려대한국어대사전"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원 2009

      33 Lucy, "[명화읽기]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모나리자와 패러디"

      34 Moreno, B., "The statue of liberty" Arcadia Publishing 2004

      35 Booth, W. C., "The company we keep"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8

      36 Wynn, L. L., "Shape shifting lizard people, Israelite slaves, and other theories of pyramid building : Notes on labor, nationalism and archaeology in Egypt" 8 (8): 272-295, 2008

      37 Bury St Edmunds Past and Present Society, "Room at Masonic Hall Bury St Edmunds Suffolk"

      38 Allan, C., "Playing with picturebooks : Critical approaches to children’s literature" Palgrave Macmillan 2012

      39 Charlie Chaplin, "Overview of his life"

      40 Bradford, C., "New world orders in contemporary children’s literature: Utopian transformations" Palgrave Macmillan 2011

      41 Colomer, T., "New directions in picturebook research" Routledge 2010

      42 Beckett, S. L., "New directions in picturebook research" Routledge 83-98, 2010

      43 Zöllner, F., "Leodardo’s portrait of Mona Lisa Del Giocondo" 121 : 115-138, 1993

      44 Nikolajeva, M., "How picturebooks work" Routledge 2001

      45 de Hoyos, A., "Handbook of freemasonry" Brill 355-377, 2014

      46 Bogdan, H., "Handbook of freemasonry" Brill 1-10, 2014

      47 Curl, J. S., "Handbook of freemasonry" Brill 557-605, 2014

      48 Browne, A., "Gorilla" Walter Books 2008

      49 Dumeniil, L., "Freemasonry and american culture, 1880-1930"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6

      50 Encyclopædia Britannica, "Freemasonry"

      51 Lurie, A., "Don’t tell the grown-ups: The subversive power of children’s literature" Little Brown 1990

      52 Beckett, S. L., "Crossover picturebooks: A genre for all ages" Routledge 2012

      53 지은주, "Anthony Browne 그림책의 상호 텍스트성에 관한 연구" 12 : 79-98, 2003

      54 이란, "Anthony Browne 그림책에 나타난 아이의 자기대상과의 관계 분석" 한국문학교육학회 (44) : 361-400, 2014

      55 Crown, S., "A life in books: Anthony Brown" The Guardian

      56 이성엽, "4차 산업혁명시대의 어린이: 문학적 상상력과 교육" 201-207, 2020

      57 김지수, "4차 산업혁명시대의 어린이: 문학적 상상력과 교육" 103-109, 2020

      58 Mahmud, L., ""The world is a forest of symbols" : Italian freemasonry and the practice of discretion" 39 (39): 425-438,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6-10-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Children'S Literature & Education -> Korean Society of Children's Literature & Education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3 1.53 1.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 1.63 1.784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