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고난의 행군’ 세대의식과 체제변화 = The Consciousness of ‘March of Suffering’ generation and Regime Chan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7590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세대의식의 변화가 체제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북한에서 ‘고난의 행군’이라는 공통의 트라우마를 경험한 세대가 현재와 미래의 북한체제에 어떤 영향을 미쳐왔고, 앞으로 미칠 것인지를 살펴보았다. 우선 사회주의권의 붕괴, 김일성 사망, 그리고 전대미문의 기근은 당시 청소년기를 보내던 세대들에게 정신적 외상이 되었다. 이러한 정신적 외상은 고난의 행군세대들에게서 공식적 가치지향과의 괴리, 체제유지에 대한 책임감 약화, 시장ㆍ한류 친화적 문화 체득이라는 세대의식의 변화가 발현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세대의식의 변화가 향후 5년 내 북한체제에 미칠 영향을 변화의 주체, 변화의 방향, 변화의 성격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향후 5년 이내에 아래로부터의 변화를 기대하기 어렵고, 퇴행적 변화(사회적 억압)가 주로 나타날 것이지만, 북한 사회내에서 의미있는 변화는 지속될 것이라는 결론에 이르렀다.
      번역하기

      이 글은 세대의식의 변화가 체제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북한에서 ‘고난의 행군’이라는 공통의 트라우마를 경험한 세대가 현재와 미래의 북한체제에 어떤 영...

      이 글은 세대의식의 변화가 체제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북한에서 ‘고난의 행군’이라는 공통의 트라우마를 경험한 세대가 현재와 미래의 북한체제에 어떤 영향을 미쳐왔고, 앞으로 미칠 것인지를 살펴보았다. 우선 사회주의권의 붕괴, 김일성 사망, 그리고 전대미문의 기근은 당시 청소년기를 보내던 세대들에게 정신적 외상이 되었다. 이러한 정신적 외상은 고난의 행군세대들에게서 공식적 가치지향과의 괴리, 체제유지에 대한 책임감 약화, 시장ㆍ한류 친화적 문화 체득이라는 세대의식의 변화가 발현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세대의식의 변화가 향후 5년 내 북한체제에 미칠 영향을 변화의 주체, 변화의 방향, 변화의 성격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향후 5년 이내에 아래로부터의 변화를 기대하기 어렵고, 퇴행적 변화(사회적 억압)가 주로 나타날 것이지만, 북한 사회내에서 의미있는 변화는 지속될 것이라는 결론에 이르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have purpose of looking over how the chage of generation-consciousness affect the change of system and especially, in N.K how the generation experiencing same trauma which is so-called ‘March of Suffering’ has affected present and future of North-korean system and will affect in future. First, the collapse of socialism, the death of kim il sung, and the unprecendented famine become spiritual trauma to the generation which went through its adolescense. This trauma for ‘March of suffering’ generation made the chage of generation-consciousness like disjunction with value orientation, weakening responsibility for regime security, marketㆍhanryu friendly culture learning revealed.
      And the impact from this change of generation-consciousness to North-Korean system in the next five years is analyzed by dividing the subject of change, the direction of change and the charater of change. As a result, the conclusion that in the next five years it is difficult to expect the change of the lower part and the regressive change(social oppression) is mainly occurred, however, meanigful change will be continued in North Korean society is reached.
      번역하기

      This article have purpose of looking over how the chage of generation-consciousness affect the change of system and especially, in N.K how the generation experiencing same trauma which is so-called ‘March of Suffering’ has affected present and fut...

      This article have purpose of looking over how the chage of generation-consciousness affect the change of system and especially, in N.K how the generation experiencing same trauma which is so-called ‘March of Suffering’ has affected present and future of North-korean system and will affect in future. First, the collapse of socialism, the death of kim il sung, and the unprecendented famine become spiritual trauma to the generation which went through its adolescense. This trauma for ‘March of suffering’ generation made the chage of generation-consciousness like disjunction with value orientation, weakening responsibility for regime security, marketㆍhanryu friendly culture learning revealed.
      And the impact from this change of generation-consciousness to North-Korean system in the next five years is analyzed by dividing the subject of change, the direction of change and the charater of change. As a result, the conclusion that in the next five years it is difficult to expect the change of the lower part and the regressive change(social oppression) is mainly occurred, however, meanigful change will be continued in North Korean society is reach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요약〉
      • Ⅰ. 시작하는 말
      • Ⅱ. 연구를 위한 이론적 전제
      • Ⅲ. ‘고난의 행군’ 세대가 공유한 외상적(外傷的) 경험
      • Ⅳ. ‘고난의 행군’세대의식을 통해 본 체제변화 추동요인
      • 〈논문요약〉
      • Ⅰ. 시작하는 말
      • Ⅱ. 연구를 위한 이론적 전제
      • Ⅲ. ‘고난의 행군’ 세대가 공유한 외상적(外傷的) 경험
      • Ⅳ. ‘고난의 행군’세대의식을 통해 본 체제변화 추동요인
      • Ⅴ. 향후 5년 체제 변화 전망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석만, "현대이상심리학" 학지사 2008

      2 김정일, "혁명적당건설의 근본문제에 대햐여" 조선로동당출판사 1992

      3 한만길, "통일이후 남북한 교육통합 방안연구: 북한 학생의 재사회화 방안을 중심으로, in 국회도서관 입법조사분석실 연구용역보고서" 1997

      4 사회과학출판사, "조선말 대사전" 사회과학출판사 1992

      5 최진이, "유행어에 나타난 북한 사회의식상" 동북아미시사회연구소 2010

      6 김준기, "영화로 만나는 치유의 심리학" 시그마북스 2009

      7 리광선, "세대에 대한 주체적 리해, in 철학연구"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2001

      8 조정아, "북한주민의 의식과 정체성: 자아의 독립, 국가의 그 욕망의 부상" 통일연구원 2010

      9 이우영, "북한주민의 개인주의 의식과 사적 담론의 확산" 2009

      10 이온죽, "북한주민들의 생활상과 의식 변화 전망" 1996

      1 권석만, "현대이상심리학" 학지사 2008

      2 김정일, "혁명적당건설의 근본문제에 대햐여" 조선로동당출판사 1992

      3 한만길, "통일이후 남북한 교육통합 방안연구: 북한 학생의 재사회화 방안을 중심으로, in 국회도서관 입법조사분석실 연구용역보고서" 1997

      4 사회과학출판사, "조선말 대사전" 사회과학출판사 1992

      5 최진이, "유행어에 나타난 북한 사회의식상" 동북아미시사회연구소 2010

      6 김준기, "영화로 만나는 치유의 심리학" 시그마북스 2009

      7 리광선, "세대에 대한 주체적 리해, in 철학연구"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2001

      8 조정아, "북한주민의 의식과 정체성: 자아의 독립, 국가의 그 욕망의 부상" 통일연구원 2010

      9 이우영, "북한주민의 개인주의 의식과 사적 담론의 확산" 2009

      10 이온죽, "북한주민들의 생활상과 의식 변화 전망" 1996

      11 박영자, "북한의 집권엘리트(Centralized Power Elites)와 Post 김정일시대" 통일연구원 18 (18): 33-66, 2009

      12 박정란, "북한의 정치사회화 및 수령관에 대한 인식변화 연구: -1990년대 경제위기 전후 북한이탈청소년의 인식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정치정보학회 12 (12): 1-27, 2009

      13 박종철, "북한의 국가․사회와 정치적 변화" 4 (4): 1993

      14 정창현, "북한 지배 엘리트의 구성과 역할, in 북한의 당 ․ 국가기구․ 군대" 한울아카데미 2007

      15 노귀남, "북한 여성의 의식 변화와 평화소통의 길" 동북아미시사회연구소 2010

      16 임순희, "북한 새 세대의 가치관 변화와 전망" 통일연구원 2006

      17 이화여대 통일학연구원, "북한 내 ‘비사회주의적 요소’의 확산 실태 및 주민의식 변화"

      18 이인정, "북한 ‘새세대’의 가치지향 변화" 한국학술정보 2007

      19 김일성, "민족올림픽위원회협회 위원장인 메히꼬출판회사 위원장 겸 사장일행과 한 담화, in 김일성저작집 43" 조선로동당출판사 1996

      20 "로동신문"

      21 "내외통신"

      22 김일성, "김일성저작집 44" 조선로동당출판사 1996

      23 김일성, "김일성저작집 43" 조선로동당출판사 1996

      24 Kertzer, David I., "Generation as a Sociological Problem" 9 :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8-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3-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2차)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8-02-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북한학회 -> 북한연구소
      영문명 : Association Of North Korean Studies -> Institute of North Korean Studies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