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가로공간의 환경조형물에 관한 연구 - 도봉구 노해길 환경조형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Sculptures of Horizontal Space -Focused on Dobong Nohaegil environmental sculptur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601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reet space of a city has the way to move as a basic function in addition to the image that you could see the keynote of cities and regions at a glance to be the open space in the city and to deliver as important function. Now, at the public desi...

      The street space of a city has the way to move as a basic function in addition to the image that you could see the keynote of cities and regions at a glance to be the open space in the city and to deliver as important function.
      Now, at the public design, it would be promoted Urban design industry with the Seoul and local government for the improvement of the street space.
      As part of it, the street environment moulding could be set up not only the role as a landmark of landscape with vitalize the urban space, but also the purpose as reconsidering the point of space This study of the environmental sculptures would start to the point that an additional simple ornament for urban scenery and the important way that improved urban environmental design as a work of art being publicness.
      The environmental sculptures are closely related with installation spot, and possibly understanding with place context and surrounding environment as a visual object.
      Also, it could be decided view terms under the user type of urban space but rather environmental sculptures.
      This study would be fused the environmental sculptures as public art and formative nature as public place. It could be made the relation of environmental sculptures and urban street space given stability and break areas to residents composed of harmony, balance, and order with location. It is analyzed the element for design planning of the environmental sculptures and a valuation basis.
      Also, the study searched the basic plan on DobongGu urban design related to a case of environmental sculptures and urban design, and analyzed the base on the simulation reference to NoHaeGil roadside of environmental sculptures within the limit.
      It should be reminded the part of Urban street environmental sculptures for the actual communication of resident future and would be expected to shed new light on the environmental sculptures by its own standard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도시의 가로공간은 이동의 통로라는 순기능 이외에 그 도시나 지역의 성격을 한 눈에 인지할 수 있게 하는 도시 속의 오픈스페이스면서 그 지역만의 이미지를 전달하는 중요한 기능을 가지...

      도시의 가로공간은 이동의 통로라는 순기능 이외에 그 도시나 지역의 성격을 한 눈에 인지할 수 있게 하는 도시 속의 오픈스페이스면서 그 지역만의 이미지를 전달하는 중요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현재 공공디자인 차원에서 서울시 및 지자체를 중심으로 가로경관 개선을 위해 활발한 도시디자인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그의 일환으로 거리환경조형물은 도시공간에 활력을 불어넣고 경관의 랜드마크적 역할을 할뿐만 아니라 그 공간의 장소성를 제고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설치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환경조형물이 도시 경관을 위한 단순한 장식이상의 것이며 공공성을 지닌 미술 작품으로서 도시 환경디자인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수단이라는 시각에서 출발한다.
      환경조형물은 설치장소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으며 시각적 대상으로 주변 환경과 장소적 맥락을 가지는 요소로 파악 가능하다. 또한 환경조형물 자체보다는 도시 공간의 이용자 행태에 의해 관람 조건이 결정되어진다.
      본 연구는 공공미술로서의 환경조형물과 공공장소의 조형적 특성이 상호 융합되며, 장소와의 조화, 균형, 질서가 이루어져 주민에게 정서적 안정과 휴식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도시 가로공간과 환경조형물의 관계를 환경디자인 차원에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정리하였으며 환경조형물의 디자인 계획요소 및 평가기준을 분석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사례분석으로 환경조형물과 도시디자인과의 상관관계에 따라 도봉구 도시디자인 기본계획을 살펴보며, 그 테두리 안에서 노해길 가로변 환경조형물의 시뮬레이션 자료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앞으로 지역 주민의 실질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도시 가로 환경조형물의 역할을 상기하며 그 잣대로 환경조형물이 재조명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동범, "환경조형물의 장소성에 관한 연구" 단국대문화예술대학원 1999

      2 이재복, "환경조형물의 변천과 비평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대학원 1999

      3 C.N.슐츠, "장소의 혼" 태림문화사 1986

      4 이윤정, "아파트 외부공간에 대한 거주자의 감상적 평가에 관한 연구" 계명대 대학원 2000

      5 심광현, "서울시 환경조형물 실태조사 보고서" 문화예술진흥원 2001

      6 Friendmann, C.Zimring, "명보문화사" 명보문화사 1988

      7 정무웅, "도시의 외부공간과 경관" 36 : 1992

      8 최진호, "도시공간의 환경조형물에 대한 연구:서울을 중심으로" 중앙대학원 1993

      9 이한상, "건축외관과 환경조형물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영남대환경대학원 1993

      1 이동범, "환경조형물의 장소성에 관한 연구" 단국대문화예술대학원 1999

      2 이재복, "환경조형물의 변천과 비평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대학원 1999

      3 C.N.슐츠, "장소의 혼" 태림문화사 1986

      4 이윤정, "아파트 외부공간에 대한 거주자의 감상적 평가에 관한 연구" 계명대 대학원 2000

      5 심광현, "서울시 환경조형물 실태조사 보고서" 문화예술진흥원 2001

      6 Friendmann, C.Zimring, "명보문화사" 명보문화사 1988

      7 정무웅, "도시의 외부공간과 경관" 36 : 1992

      8 최진호, "도시공간의 환경조형물에 대한 연구:서울을 중심으로" 중앙대학원 1993

      9 이한상, "건축외관과 환경조형물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영남대환경대학원 199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9 0.32 0.52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