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을 매개로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Job Stress on Happiness through Self-Efficacy and Resilience of Child Care Teach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4185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ccupational stress factors on happiness through self-efficacy and resilience of child care teachers,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self-efficacy and resilience to provide basic data for helping the happiness of child care teachers.
      In this study, the hypotheses about the research problems were verified through preliminary surveys and surveys of public daycare centers, private daycare centers, workplace daycare centers and home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Gyeonggi-do, and Incheon. A total of 506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Basic statistical analysis, demographic difference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2.0 statistical program. In addition, AMOS 22.0 was used to analyze direct effects and indirect effects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path model, Sobel test was us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on happiness through self - efficacy and resili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job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happiness. These results do not suggest that job stress is not meaningful for happiness. This is because, when the effects of self-efficacy and resilience have already been shown, it is not meaningful anymore, and it is proved that job stress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lf-efficacy and resilience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econd, job stress was proven to negatively affect self - efficacy and resilience.
      Third, the self-efficacy and resilience of child care teacher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happiness.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stress and the happiness of the child care teacher was confirmed that the happiness can be increased by increasing the self-efficacy.
      Fifth, the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happiness was proved to be mediating effect. Therefore, it was proved that the higher the resilience of the individual, the higher the level of happiness felt by the individual, and the resilience has a greater effect on the happiness promotion than the self-efficacy.
      From these results, Childcare teachers have a belief in themselves that they can do their jobs well through self-efficacy and resilience despite job stress, It has been confirmed that happiness is higher as efforts for positive
      recovery ability to overcome difficulties are made.
      In conclusion, in this study, it was proved that job stress had a high correlation with self-efficacy and resilience in affecting happiness. Therefore, it is meaningful that efforts to raise the self-efficacy and resilience of childcare teachers are need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ccupational stress factors on happiness through self-efficacy and resilience of child care teachers,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self-efficacy and resilience to provide basic data for help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ccupational stress factors on happiness through self-efficacy and resilience of child care teachers,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self-efficacy and resilience to provide basic data for helping the happiness of child care teachers.
      In this study, the hypotheses about the research problems were verified through preliminary surveys and surveys of public daycare centers, private daycare centers, workplace daycare centers and home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Gyeonggi-do, and Incheon. A total of 506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Basic statistical analysis, demographic difference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2.0 statistical program. In addition, AMOS 22.0 was used to analyze direct effects and indirect effects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path model, Sobel test was us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on happiness through self - efficacy and resili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job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happiness. These results do not suggest that job stress is not meaningful for happiness. This is because, when the effects of self-efficacy and resilience have already been shown, it is not meaningful anymore, and it is proved that job stress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lf-efficacy and resilience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econd, job stress was proven to negatively affect self - efficacy and resilience.
      Third, the self-efficacy and resilience of child care teacher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happiness.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stress and the happiness of the child care teacher was confirmed that the happiness can be increased by increasing the self-efficacy.
      Fifth, the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happiness was proved to be mediating effect. Therefore, it was proved that the higher the resilience of the individual, the higher the level of happiness felt by the individual, and the resilience has a greater effect on the happiness promotion than the self-efficacy.
      From these results, Childcare teachers have a belief in themselves that they can do their jobs well through self-efficacy and resilience despite job stress, It has been confirmed that happiness is higher as efforts for positive
      recovery ability to overcome difficulties are made.
      In conclusion, in this study, it was proved that job stress had a high correlation with self-efficacy and resilience in affecting happiness. Therefore, it is meaningful that efforts to raise the self-efficacy and resilience of childcare teachers are need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을 매개로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의 영향을 분석하여 보육교사의 행복한 삶을 돕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연구문제에 대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 경기도, 인천 지역의 국공립, 민간, 직장, 가정 어린이집 유형으로 사전 조사와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서베이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506부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여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기초 통계분석 및 인구학적 특성별 차이 검사, 그리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AMOS 22.0를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경로 모형을 통해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분석하였고, 직무스트레스가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을 매개로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행복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단순히 직무스트레스가 행복감에 유의미하지 않는다고 보기 어렵다. 이는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의 효과가 나타난 경우 더 이상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확인적 요인분석에 의해 직무스트레스가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이 부적상관관계로 검증되었기 때문이다.
      둘째, 직무스트레스는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보육교사의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은 행복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넷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행복감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어 자기효능감을 높임으로 인해 행복감도 높일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다섯째, 직무스트레스가 행복감과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은 매개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어 개인의 회복탄력성이 높을수록 개인이 느끼는 행복 수준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자기효능감에 비해 회복탄력성이 행복감을 높이는데 좀 더 영향을 주는 관계임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보육교사는 직무스트레스가 있어도 높은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으로 인해 주어진 일을 잘 해낼 수 있다는 자신에 대한 믿음과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긍정적 회복능력에 의한 노력이 이루어지면서 행복감이 높게 나타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내적 변인인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이 높은 상관관계가 있음이 검증되었기에 보육교사의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을 매개로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의 영향을 분석하여 보육교사의 행복한 삶을 돕...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을 매개로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의 영향을 분석하여 보육교사의 행복한 삶을 돕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연구문제에 대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 경기도, 인천 지역의 국공립, 민간, 직장, 가정 어린이집 유형으로 사전 조사와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서베이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506부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여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기초 통계분석 및 인구학적 특성별 차이 검사, 그리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AMOS 22.0를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경로 모형을 통해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분석하였고, 직무스트레스가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을 매개로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행복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단순히 직무스트레스가 행복감에 유의미하지 않는다고 보기 어렵다. 이는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의 효과가 나타난 경우 더 이상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확인적 요인분석에 의해 직무스트레스가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이 부적상관관계로 검증되었기 때문이다.
      둘째, 직무스트레스는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보육교사의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은 행복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넷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행복감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어 자기효능감을 높임으로 인해 행복감도 높일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다섯째, 직무스트레스가 행복감과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은 매개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어 개인의 회복탄력성이 높을수록 개인이 느끼는 행복 수준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자기효능감에 비해 회복탄력성이 행복감을 높이는데 좀 더 영향을 주는 관계임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보육교사는 직무스트레스가 있어도 높은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으로 인해 주어진 일을 잘 해낼 수 있다는 자신에 대한 믿음과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긍정적 회복능력에 의한 노력이 이루어지면서 행복감이 높게 나타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내적 변인인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이 높은 상관관계가 있음이 검증되었기에 보육교사의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문제제기 및 연구의 목적 1
      • 1) 문제제기 1
      • 2) 연구의 목적 5
      • 2. 연구문제 6
      • Ⅰ. 서론 1
      • 1. 문제제기 및 연구의 목적 1
      • 1) 문제제기 1
      • 2) 연구의 목적 5
      • 2. 연구문제 6
      • 3. 연구의 범위 및 방법 7
      • 1) 연구의 범위 7
      • 2) 연구의 방법 7
      • Ⅱ. 이론적 배경 9
      • 1.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9
      • 1) 직무스트레스의 개념 9
      • 2) 직무스트레스의 구성요소 12
      • 3)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16
      • 2. 보육교사의 자기효능감 17
      • 1) 자기효능감의 개념 17
      • 2) 자기효능감의 구성요소 22
      • 3) 보육교사의 자기효능감 23
      • 3.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 25
      • 1) 회복탄력성의 개념 25
      • 2) 회복탄력성의 구성요소 30
      • 3)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 33
      • 4. 보육교사의 행복감 34
      • 1) 행복감의 개념 34
      • 2) 행복감의 구성요소 39
      • 3) 보육교사의 행복감 44
      • 5. 선행연구 고찰 46
      • 1)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행복감의 관계 46
      • 2)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의 관계 49
      • 3)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의 관계 52
      • 4) 보육교사의 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 행복감의 관계 55
      • Ⅲ. 연구 설계 61
      • 1. 연구의 모형 및 가설의 설정 61
      • 1) 연구의 모형 61
      • 2) 가설의 설정 62
      • 2. 연구 변인 및 측정도구 63
      • 1) 독립변수 : 직무스트레스 63
      • 2) 매개변수: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 64
      • 3) 종속변수: 행복감 65
      • 3.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66
      • 1) 연구 대상 66
      • 2) 자료수집 방법 66
      • 4. 자료 분석 67
      • Ⅳ. 연구 결과 68
      • 1. 주요 변인에 대한 기술통계분석과 상관관계 및 확인적 요인분석 68
      • 1) 인구특성 변수들에 대한 빈도분석 68
      • 2) 주요 변인들에 대한 기술통계 69
      • 3) 주요 변인 간 상관관계 분석 71
      • 4)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한 문항 타당화 74
      • 5) 주요 변인별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 80
      • 6) 주요 변인별 어린이집 유형에 따른 차이 86
      • 7) 주요 변인별 근무경력에 따른 차이 87
      • 8) 주요 변인별 담당 연령 집단에 따른 차이 89
      • 9) 주요 변인별 자격유형에 따른 차이 90
      • 10) 주요 변인별 근무시간에 따른 차이 92
      • 11) 주요 변인별 급여수준에 따른 차이 93
      • 2. 구조방정식 분석결과 95
      • 1) 확인적 요인분석 95
      • 2) 구조경로 모형 99
      • 3) 매개효과 분석 101
      • 4) 가설 검증 102
      • 3. 논의 104
      • 1) 직무스트레스와 행복감, 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의 직접효과 104
      • 2) 직무스트레스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의 간접효과 108
      • Ⅴ. 결론 112
      • 1. 연구 결과의 요약 112
      • 2. 연구의 함의 114
      • 1) 이론적 함의 114
      • 2) 실천적 함의 115
      • 3) 정책적 함의 116
      • 3.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119
      • 1) 연구의 제한점 119
      • 2) 제언 119
      • 참고문헌 121
      • 부록 139
      • ABSTRACT 145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보건복지부., "『2019년도 보육사업안내』", 서울: 한빛애드프린원,, 2019

      2 Denis Mourlane, "Resikienz, 류동수 역, 『회복탄력의 힘』", 서울: 문학 사상, 2017

      3 유영의, "“교사의 놀이 교수 효능감에 따른 유아의 구성놀이 질의 차이.”", 덕성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4 George E. Vaillant., "Triumphs of Experience: The Man of the Harvard Grant Study, 최원석 역, 『행복의 비밀』", 경기: 북이 십일 21세기북스, , 5쇄, 2017

      5 정명선,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자율성의 완충효과", ” 「한국심리학회지」26.1 : 147-66, 2014

      6 Lopez, Shane J., "Positive Psychology: Pursuing human flourishing, 권석만 외 역. 『인간의 번영 추구하기』", 서울: 학지사, 2011

      7 강수경, 정미라, 이방실,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과 교사-유아 상호작 용의 관계에서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 ” 「열린교육연구」24.3 : 75-94, 2016

      8 박은주, "“유아교사가 지각한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 사회적지지 및 조직효과성과의 관계.”",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9 박주은,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이 교사효능감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 향: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울한영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10 Seligman, Martin E. P., "Authentic happiness: Using the new posiitivevpsychology to realize your potential for lasting fulfllment. 김인자 역. 『긍정심리학』", 경기: 물푸레, 2009

      1 보건복지부., "『2019년도 보육사업안내』", 서울: 한빛애드프린원,, 2019

      2 Denis Mourlane, "Resikienz, 류동수 역, 『회복탄력의 힘』", 서울: 문학 사상, 2017

      3 유영의, "“교사의 놀이 교수 효능감에 따른 유아의 구성놀이 질의 차이.”", 덕성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4 George E. Vaillant., "Triumphs of Experience: The Man of the Harvard Grant Study, 최원석 역, 『행복의 비밀』", 경기: 북이 십일 21세기북스, , 5쇄, 2017

      5 정명선,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자율성의 완충효과", ” 「한국심리학회지」26.1 : 147-66, 2014

      6 Lopez, Shane J., "Positive Psychology: Pursuing human flourishing, 권석만 외 역. 『인간의 번영 추구하기』", 서울: 학지사, 2011

      7 강수경, 정미라, 이방실,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과 교사-유아 상호작 용의 관계에서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 ” 「열린교육연구」24.3 : 75-94, 2016

      8 박은주, "“유아교사가 지각한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 사회적지지 및 조직효과성과의 관계.”",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9 박주은,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이 교사효능감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 향: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울한영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10 Seligman, Martin E. P., "Authentic happiness: Using the new posiitivevpsychology to realize your potential for lasting fulfllment. 김인자 역. 『긍정심리학』", 경기: 물푸레, 2009

      11 Seligman, Martin E. P., "Authentic Happiness: Using the New Positive Psychology to Realize Your Potential for Lasting Fulfillment. 김인자 우문식 역. 『마틴셀리그만의 긍정심리학 (개정판)』", 경기: 도서출판 물푸레 한국긍정심리 연구소, 2014

      12 Andrew Shatte, Karen Reivich, "The Resilience Factor: 7 Keys to Finding Your Inner Strength and Overcoming Life's Hurdles, 우문식 윤상운 역. 『인생의 역경을 가볍게 극복하는 회복력의 7가지 기술』", 경기: 도서출판 물푸레,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