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최원오, "한성, 경성, 서울의 역사적 변천에 따른 공간 인식과 ‘서울사람’에 대한 인식 변화 - 야담, 재담, 구술 자료 등을 중심으로 -" 한국기호학회 26 : 363-402, 2009
2 김준형, "한국패설문학연구" 보고사 1-406, 2004
3 정명기, "한국재담자료집성 1,2.3" 보고사 1-1050, 2008
4 이강옥, "한국야담연구" 돌베개 1-635, 2006
5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4" 지식산업사 1-472, 2008
6 서대석, "한국구비문학에 수용된 재담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1-132, 2004
7 서대석, "한.중 소화의 비교" 서울대학교 출판부 1-288, 2007
8 프레이리, "페다고지" 그린비 1-240, 2009
9 임형택, "파수추해제" 아세아문화사 26 : 12-27, 1990
10 이강옥, "태평한화골계전연구-일화와 구분되는 소화의 특질을 드러내기 위함"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6 (16): 169-202, 1994
1 최원오, "한성, 경성, 서울의 역사적 변천에 따른 공간 인식과 ‘서울사람’에 대한 인식 변화 - 야담, 재담, 구술 자료 등을 중심으로 -" 한국기호학회 26 : 363-402, 2009
2 김준형, "한국패설문학연구" 보고사 1-406, 2004
3 정명기, "한국재담자료집성 1,2.3" 보고사 1-1050, 2008
4 이강옥, "한국야담연구" 돌베개 1-635, 2006
5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4" 지식산업사 1-472, 2008
6 서대석, "한국구비문학에 수용된 재담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1-132, 2004
7 서대석, "한.중 소화의 비교" 서울대학교 출판부 1-288, 2007
8 프레이리, "페다고지" 그린비 1-240, 2009
9 임형택, "파수추해제" 아세아문화사 26 : 12-27, 1990
10 이강옥, "태평한화골계전연구-일화와 구분되는 소화의 특질을 드러내기 위함"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6 (16): 169-202, 1994
11 서거정, "태평한화골계전 1,2" 국학자료원 1-606, 1998
12 마츠모토 다케노리, "조선의 ‘식민지 근대’에 관한 최근의 논의에 대해서 - 일본의 문맥에서 -" 국학연구원 (147) : 103-127, 2009
13 배윤기, "전지구화 시대 로컬의 탄생과 로컬 시선의 모색" 한국아메리카학회 40 (40): 69-97, 2008
14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장소성의 형성과 재현" 혜안 1-401, 2010
15 정명기, "일제치하 재담집에 대한 재검토, In 한국재담자료집성 1" 보고사 9-41, 2009
16 이홍우, "일제강점기 재담집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17 허경진, "윤치호의 우순소리 연구" 보고사 1-228, 2010
18 이원걸, "역주 파수추" 이회 1-309, 2004
19 김대숙, "설화에 나타난 계층의식 연구(1)"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문학회 8 : 86-102, 1986
20 프란츠 파농, "대지의 저주받은 사람들" 그린비 1-328, 2004
21 이창남, "글로벌 시대의 로컬리티 인문학, In 로컬리티 인문학 창간호"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로컬리티의인문학연구단 82-102, 2009
22 김준형, "근대전환기 패설의 변환과 지향, 구비문학과 근대(1) 근대전환기 구비문학의 양상" 서울대학교 신양학술정보관 27-42, 2012
23 마르쿠스 슈뢰르, "공간, 장소, 경계" 에코리브르 1-415, 2010
24 "고금소총" 한국문화사 1-626, 1998
25 조동일, "1910년대 재담집의 내용과 성격" 배달말학회 9 : 301-329, 19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