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피해자 중심적 이행기 정의와 전환적 사법의 실현 - 진실화해위원회를 중심으로 - = Transitional Justice for Legacy of State Violence and Transformative Justi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453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 the revision of the "Basic Act on the Settlement of Past History for Truth and Reconciliation" in 2020, the legal basis for the activities of the 2nd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ttee was established. And based on this, the committee began inves...

      With the revision of the "Basic Act on the Settlement of Past History for Truth and Reconciliation" in 2020, the legal basis for the activities of the 2nd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ttee was established. And based on this, the committee began investigating 328 cases, including the Brotherhood Welfare Support Case, on May 27, 2021, and began activities to investigate the past truth.
      Apart from the historical causality after liberation, it cannot be denied that Korea has also undergone a transitional history of state violence and infringement of basic rights due to military dictatorship and anti-communist ideology. In addition, in this regard, There have already been tried to shed light on our history, such as the May 18 Democratic Movement, forced mobilization of Japanese colonial era, and the liquidation of Korea-Japan history in Japanese colonial era,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ransitional justice. Even before the introduction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 of liquidation of the implementation period in Korea, such historical events had been mentioned under the name of past liquidation or fact-finding for the purpose of truth finding, restoring honor, or compensation.
      The definition of transitional justice is not completely unified and although the concept is not consistent, it can be understood as the process of securing responsibility by the state or society in the process of transition to a free democratic society after massive human rights violations by state power or state violence.
      In other words, it would be appropriate to understand the transitional justice as a means of realizing the transition in the process of pursuing the social ideal of freedom and democracy, not as a society that realizes complete purpose like the term 'transitional'. In other words, past liquidation through compensation and honor recovery is not the direction in which society should ultimately proceed, but is itself a transitional definitio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lso sees the direction that society should pursue after liquidation in the past as a transformative justice, which means realizing or pursuing justice through systematic transformation not only in law but also in all fields of society.
      Regarding the activities of the 2nd Truth Reconciliation Committee and the direction of the committee, there would be first looked at the concept and background of the transitional justice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then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itional justice and transformative justice to realize social transformation after past liquid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2020년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 기본법’이 개정되면서, 제2기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활동의 법적 근거가 마련되었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동 위원회는 2021년 5 월 27일 ...

      2020년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 기본법’이 개정되면서, 제2기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활동의 법적 근거가 마련되었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동 위원회는 2021년 5 월 27일 형제복지원 사건 등 328건의 사건에 대한 조사개시를 시작으로 과거의 진실을 규명하는 활동에 들어갔다.
      해방 이후 역사적으로 어떠한 인과성을 가지는지와는 별개로, 우리나라 역시 군부독재와반공사상으로 인한 국가폭력과 기본권침해의 과도기적 역사를 거쳤음은 부인할 수 없다. 그리고 이미 이와 관련하여 5・18 민주화운동,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일제강점기 한일과거사청산 등 우리 역사를 이행기 정의의 관점에서 조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행기 정의라는 국제적 청산규범이 우리나라에 도입되기 이전에도 그와 같은 역사적 사건들은 진상규명이나명예회복 또는 배상을 목적으로 하여 과거사청산 또는 진상조사 등의 명칭으로 언급되어 왔었다.
      이행기 정의는 그 지칭하는 용어가 완전히 통일된 것은 아니어서, 이를 전환기 정의, 과도기 정의 등으로 불리기도 하고, 그 개념도 일치하지는 않지만 국가권력 또는 국가폭력에 의한 대규모의 인권침해가 발생한 이후에 자유민주주의사회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국가 또는사회에 의한 책임성을 확보하고, 과거사를 청산하여 역사를 바로잡고 정의를 구현하여 가는과정 정도로 이해할 수 있다.
      즉, 이행기 정의는 ‘transitional’이라는 용어의 의미처럼 완전한 목적구현의 사회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자유와 민주주의라는 사회이상을 추구해가는 과정에서의 과도기적 정의실현의 수단으로 이해함이 적절할 것이다. 즉, 보상과 명예회복을 통한 과거청산은 궁극적으로사회가 나아가야할 방향이 아니라, 그 자체로서 과도기적 정의에 해당한다. 국제사회 역시과거청산 이후에 사회가 추구해야 할 방향은 전환적 사법(transformative justice)이라고 보는 바, 이는 법률뿐만 아니라 사회의 전 분야의 체계적 전환 또는 변혁을 통한 정의실현 또는추구를 의미한다.
      여기에서는 진실화해위원회 제2기의 활동 및 동 위원회가 나아갈 방향과 관련하여 우선국제사회에서의 이행기 정의에 관한 개념 정립과 그 배경을 살펴보고, 범죄피해자적 관점에서 이행기 정의의 우리 사회에의 도입과 진실화해위원회의 실천적 방향을 검토한 후에, 이행기 정의가 궁극적인 정의 실현의 목적이 아니라 이를 통한 과거청산 이후에 사회적 변혁을실현하고자 하는 전환적 사법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수암, "한반도에 있어서 과도기 정의" 통일연구원 2014

      2 김헌준, "한국 이행기 정의의 지역적 맥락: 한국과 대만 간 상호작용의 가능성과 한계" 동서문제연구원 34 (34): 105-130, 2022

      3 최철영, "한ㆍ일과거사 청산과 이행기 정의(transitional justice) 개념의 적용" 법학연구원 23 (23): 237-261, 2011

      4 이남희, "치유와 정의의 기억 만들기: 아파르트헤이트 체제의 청산과 보상" 호서사학회 1 (1): 239-264, 2006

      5 송에스더, "중대한 인권침해시의 배상 정의에 관한 이론적 고찰: 이행기 정의의 관점에서" 5.18연구소 20 (20): 79-127, 2020

      6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종합보고서Ⅰ" 진실화해위원회 2010

      7 이병재, "이행기 정의(transitional justice)와 인권: 인과효과분석을 위한 틀" 한국국제정치학회 55 (55): 85-121, 2015

      8 성광동, "이행기 정의 관점에서 본 한국의 과거사 정리와 의의에 대한 고찰: 동학농민혁명과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NGO학회 16 (16): 1-39, 2021

      9 김동춘, "이것은 기억과의 전쟁이다" 사계절 2013

      10 김동석, "아프리카의 진실과 화해 추구 노력에 관한 연구"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2015

      1 김수암, "한반도에 있어서 과도기 정의" 통일연구원 2014

      2 김헌준, "한국 이행기 정의의 지역적 맥락: 한국과 대만 간 상호작용의 가능성과 한계" 동서문제연구원 34 (34): 105-130, 2022

      3 최철영, "한ㆍ일과거사 청산과 이행기 정의(transitional justice) 개념의 적용" 법학연구원 23 (23): 237-261, 2011

      4 이남희, "치유와 정의의 기억 만들기: 아파르트헤이트 체제의 청산과 보상" 호서사학회 1 (1): 239-264, 2006

      5 송에스더, "중대한 인권침해시의 배상 정의에 관한 이론적 고찰: 이행기 정의의 관점에서" 5.18연구소 20 (20): 79-127, 2020

      6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종합보고서Ⅰ" 진실화해위원회 2010

      7 이병재, "이행기 정의(transitional justice)와 인권: 인과효과분석을 위한 틀" 한국국제정치학회 55 (55): 85-121, 2015

      8 성광동, "이행기 정의 관점에서 본 한국의 과거사 정리와 의의에 대한 고찰: 동학농민혁명과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NGO학회 16 (16): 1-39, 2021

      9 김동춘, "이것은 기억과의 전쟁이다" 사계절 2013

      10 김동석, "아프리카의 진실과 화해 추구 노력에 관한 연구"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2015

      11 최철영, "식민지 청산과 이행기의 정의: 동티모르의 사례" 민주주의법학연구회 (45) : 47-79, 2011

      12 장원석, "남아프리카공확국 진실화해위원회와 회복적 정의론" 한국정치평론학회 21 : 2017

      13 박기갑, "과도적 정의와 국제인권 관련 규범" 국제법평론회 (38) : 89-115, 2013

      14 조정현, "과도기 정의(Transitional Justice)와 한반도 통일" 서울국제법연구원 21 (21): 25-42, 2014

      15 김무용, "과거청산 작업에서 진실말하기와 대항 내러티브 주체의 형성" 한국사연구회 (153) : 191-237, 2011

      16 김혜경, "공동체적 관점으로서의 전환적 사법에 관한 연구" 한국피해자학회 28 (28): 45-78, 2020

      17 Priscilla Hayner, "Unspeakable Truths: Transitional Justice and the Challenge of Truth Commissions" Routledge 2010

      18 South African History Online, "Tutu and his role in the Truth & Reconciliation Commission"

      19 Ruti G. Teitel, "Transitional Justice"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20 UN, "The Rule of Law and Transitional Justice in Conflict and Post-Conflict Societies" 2004

      21 Mamdani Mahmood, "Reconciliation without Justice" 46 : 1996

      22 Desmond Mpilo Tutu, "No Future Without Forgiveness"

      23 Clara Sandoval, "Justice mosaics: How Context Shapes Transitional Justice in Fractured Societies" International Center for Transitional Justice 2017

      24 UN, "Guidance Note of the Secretary-General"

      25 Ruben Carranza, "Global Right Reparation"

      26 Eric Hoddy, "From agency to root causes: addressing structural Barriers to transformative justice in transitional and post-conflict settingd" Routledge 15 (15): 2020

      27 Paul Gready, "From Transitional to Transformative Justice: A New Agenda for Practice Get access Arrow" 8 (8): 2014

      28 Paul Gready, "From Transitional to Transformative Justice: A New Agenda for Practice" 8 (8): 2014

      29 "E/CN.4/2005/102/Add.1"

      30 Daniele Archibugi, "Crime and Global Justice: The Dynamics of International Punishment" Polity Press 2018

      31 "A/60/509/Add.1, 16 December 2005"

      32 정근식, "5월운동의 성과와 한계: 과거청산과 이행기 정의 사이에서" 비판사회학회 (126) : 12-46, 2020

      33 이영재, "5·18민주화운동과 이행기 정의: 전두환-노태우 정권의 포섭과 배제 전략 비판을 중심으로" 현대정치연구소 14 (14): 207-237, 2021

      34 김종곤, "5·18 사후노출자의 트라우마와 이행기 정의로서 사회적 치유" 인문학연구원 90 : 43-87, 202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7 1.37 1.4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5 1.38 1.729 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