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커널 가중 입지계수를 이용한 서울 상업 공간구조의 시·공간 변화 탐색 =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Urban Commercial Structure in Seoul based on Kernel Weighted Location Quoti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182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explores the spatial structure of urban commercial activities and its temporal changes between 2010 and 2019, based on the commercial specialization of sub-regions in Seoul. Kernel weighted location quotients are used for estimating the commercial specialization, which expresses a ratio of commercial facilities in a given type on a specific sub-area to its ratio on the entire study area. The analysis results show various types of commercial specialization clusters in southern areas of the Hangang River and only the specialization clusters of the restaurant business in northern areas, which indicates unbalanced distributions of commercial specialization clusters based on the river. This analysis also reveals unique commercial centers and explores the decline and growth of commercial centers. Furthermore, kernel weighted location quotients have methodological advantages by applying the measure directly into point data with its statistical significance test.
      번역하기

      This article explores the spatial structure of urban commercial activities and its temporal changes between 2010 and 2019, based on the commercial specialization of sub-regions in Seoul. Kernel weighted location quotients are used for estimating the c...

      This article explores the spatial structure of urban commercial activities and its temporal changes between 2010 and 2019, based on the commercial specialization of sub-regions in Seoul. Kernel weighted location quotients are used for estimating the commercial specialization, which expresses a ratio of commercial facilities in a given type on a specific sub-area to its ratio on the entire study area. The analysis results show various types of commercial specialization clusters in southern areas of the Hangang River and only the specialization clusters of the restaurant business in northern areas, which indicates unbalanced distributions of commercial specialization clusters based on the river. This analysis also reveals unique commercial centers and explores the decline and growth of commercial centers. Furthermore, kernel weighted location quotients have methodological advantages by applying the measure directly into point data with its statistical significance tes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서울 지역별 특화 상업 업종의 분포와 그 변화의 탐색을 통해 서울 상업 공간구조와 그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지방행정 인허가 데이터에서 획득한 서울의 상업 업종별 사업체 위치 정보에 커널 가중 입지계수를 적용하여 서울 전체 상업 업종의 비율 대비 각 지역별 업종의 특화 군집을 추정하였고2010년부터 2019년 사이 군집 변화를 탐색하였다. 그 결과 서울 한강 이남에서는 다양한 특화 상업 업종 군집이, 반면 이북에서는 일반음식점의 특화가 주로 관찰되어 서울 상권의 불균형 발전을 실증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해당 분석을 통해 서울 내 독특한 특성을 지닌 지역 상권의 파악이 가능하였고 더불어 특화 상업 업종의 변화 양상을 탐색하여 지역 상권의 발달과 쇠퇴를 탐색할 수 있었다. 나아가 본 연구에서 사용된 커널 가중 입지계수는 면 단위로의 합역 없이 바로 점 단위의 자료에 적용 가능하고 통계적 유의성 검정 방법 역시 제공할 수 있다는 방법론적장점을 제공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서울 지역별 특화 상업 업종의 분포와 그 변화의 탐색을 통해 서울 상업 공간구조와 그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지방행정 인허가 데이터에서 획득한 ...

      본 연구는 서울 지역별 특화 상업 업종의 분포와 그 변화의 탐색을 통해 서울 상업 공간구조와 그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지방행정 인허가 데이터에서 획득한 서울의 상업 업종별 사업체 위치 정보에 커널 가중 입지계수를 적용하여 서울 전체 상업 업종의 비율 대비 각 지역별 업종의 특화 군집을 추정하였고2010년부터 2019년 사이 군집 변화를 탐색하였다. 그 결과 서울 한강 이남에서는 다양한 특화 상업 업종 군집이, 반면 이북에서는 일반음식점의 특화가 주로 관찰되어 서울 상권의 불균형 발전을 실증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해당 분석을 통해 서울 내 독특한 특성을 지닌 지역 상권의 파악이 가능하였고 더불어 특화 상업 업종의 변화 양상을 탐색하여 지역 상권의 발달과 쇠퇴를 탐색할 수 있었다. 나아가 본 연구에서 사용된 커널 가중 입지계수는 면 단위로의 합역 없이 바로 점 단위의 자료에 적용 가능하고 통계적 유의성 검정 방법 역시 제공할 수 있다는 방법론적장점을 제공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병길, "포칼 입지계수를 이용한 중심지 성숙도 평가" 한국측량학회 31 (31): 221-228, 2013

      2 조대헌, "카운트 데이터 기반 공간 군집 분석 연구의 동향과 방법론적 이슈" 대한지리학회 48 (48): 768-785, 2013

      3 서형준, "지자체 공공데이터 개방 현황 및 정책 제언: 공공데이터 포털사이트 운영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 18 (18): 1-27, 2015

      4 이남승, "지역별 산업 특성 분포 파악을 위한 측도 간 비교 연구: 입지계수의 대안 모색"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5 "지방행정 인허가 데이터"

      6 김감영, "지가함수를 이용한 우리나라 도시 공간구조 탐색" 한국도시지리학회 16 (16): 99-112, 2013

      7 김완희, "인구유동 자료로 살펴본 상업 집적지의 시공간적 변화: 2016년~2017년 사이의 홍대지역을 사례로" 한국지도학회 18 (18): 49-63, 2018

      8 문화체육관광부, "외래관광객조사" 2019

      9 김준우, "신포동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에 대한 연구" 인천학연구원 1 (1): 303-320, 2018

      10 손승호, "수도권의 통근통학통행과 지역구조의 변화" 한국도시지리학회 6 (6): 6-83, 2003

      1 이병길, "포칼 입지계수를 이용한 중심지 성숙도 평가" 한국측량학회 31 (31): 221-228, 2013

      2 조대헌, "카운트 데이터 기반 공간 군집 분석 연구의 동향과 방법론적 이슈" 대한지리학회 48 (48): 768-785, 2013

      3 서형준, "지자체 공공데이터 개방 현황 및 정책 제언: 공공데이터 포털사이트 운영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 18 (18): 1-27, 2015

      4 이남승, "지역별 산업 특성 분포 파악을 위한 측도 간 비교 연구: 입지계수의 대안 모색"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5 "지방행정 인허가 데이터"

      6 김감영, "지가함수를 이용한 우리나라 도시 공간구조 탐색" 한국도시지리학회 16 (16): 99-112, 2013

      7 김완희, "인구유동 자료로 살펴본 상업 집적지의 시공간적 변화: 2016년~2017년 사이의 홍대지역을 사례로" 한국지도학회 18 (18): 49-63, 2018

      8 문화체육관광부, "외래관광객조사" 2019

      9 김준우, "신포동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에 대한 연구" 인천학연구원 1 (1): 303-320, 2018

      10 손승호, "수도권의 통근통학통행과 지역구조의 변화" 한국도시지리학회 6 (6): 6-83, 2003

      11 김상현, "성수동 지역의 젠트리피케이션 과정 및 특성 연구"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7) : 81-105, 2016

      12 김동준, "서울시 홍대상권 내 업종변화 필지의 공간적 특성 분석 - 상업 젠트리피케이션의 관점에서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4 (54): 5-16, 2019

      13 강창덕, "서울시 토지 이용과 밀도의 시·공간 변화 연구(1980~2007)" 국토연구원 72 : 17-39, 2012

      14 류화연, "서울시 주거지역 내 상업 젠트리피케이션의 단계별 변이과정 분석 연구 - 상업 업종의 변화를 중심으로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4 (54): 40-51, 2019

      15 정원일, "서울시 여행사의 공간적 유형과 변화" 대한관광경영학회 23 (23): 421-437, 2008

      16 이건학, "서울시 도시 재생 유형별 공간 분포와 지역 특성 변화: 건물 용도별 도시 경관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지리학회 8 (8): 305-319, 2019

      17 구형모, "서울 상업 젠트리피케이션 진행 단계의 시・공간 분포 탐색: 커피전문점의 밀도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지도학회 20 (20): 117-129, 2020

      18 구형모, "서울 고시원의 시공간 분포 탐색과 주거 환경 분석" 한국지도학회 19 (19): 105-118, 2019

      19 이종상, "상호작용 분석을 통한 수도권 공간구조와 그 변화: 1995-2005년" 한국도시지리학회 11 (11): 91-100, 2008

      20 윤윤채, "상업용도 변화 측면에서 본 서울시의 상업 젠트리피케이션 속도 연구" 서울연구원 17 (17): 17-32, 2016

      21 허자연, "상업공간의 젠트리피케이션 과정 및 사업자 변화에 관한 연구: 경리단길 사례" 서울연구원 16 (16): 19-33, 2015

      22 손승호, "사회·경제적 속성을 통해 본 인천의 도시구조" 한국도시지리학회 13 (13): 27-38, 2010

      23 이광국, "부산시 상업기능의 도시공간적 분포변화특성 분석" 한국자료분석학회 9 (9): 1443-1456, 2007

      24 이광국, "밀도분포에 의한 부산의 다핵공간구조 변화 특성 분석" 한국자료분석학회 11 (11): 2839-2854, 2009

      25 길은정, "낙성대동 샤로수길의 외식업 점포 변화과정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26 이상일, "기능지역의 설정과 ‘공간단위 수정가능성의 문제(MAUP)’" 7 (7): 757-784, 1999

      27 김우혁, "관광목적지 개성이 이미지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강남을 방문한 외래 관광객을 중심으로-" 한국관광학회 40 (40): 141-157, 2016

      28 이춘근, "경북지역 산업연관모형에 의한 산업구조분석 : 입지계수법과 RAS 방법의 비교분석" 46 (46): 297-321, 1998

      29 Koo, H., "Space-time cluster detection with cross-space-time relative risk functions" 47 (47): 67-78, 2020

      30 Kohonen, T., "Self-organized formation of topologically correct feature maps" 43 (43): 59-69, 1982

      31 Anselin, L., "Rate Transformations and Smoothing" University of Illinois, Urbana-Champaign 2006

      32 Borruso, G., "Network density estimation : A GIS approach for analysing point patterns in a network space" 12 (12): 377-402, 2008

      33 Scott, D. W., "Multivariate Density Estimation : Theory, Practice, and Visualization" JohnWiley and Sons 1992

      34 Papachristos, A. V., "More coffee, less crime? The relationship between gentrification and neighborhood crime rates in Chicago, 1991 to 2005" 10 (10): 215-240, 2011

      35 Carroll, M. C., "Location quotients versus spatial autocorrelation in identifying potential cluster regions" 42 (42): 449-463, 2008

      36 Ord, J. K., "Local spatial autocorrelation statistics : distributional issues and an application" 27 (27): 286-306, 1995

      37 Anselin, L., "Local indicators of spatial association : LISA" 27 (27): 93-115, 1995

      38 Liu, Z., "Global and local : measuring geographical concentration of China’smanufacturing industries" 66 (66): 284-297, 2014

      39 Brunsdon, C., "Geographically weighted summary statistics : a framework for localised exploratory data analysis, Computers" 26 (26): 501-524, 2002

      40 김감영, "GIS와 공간 군집기법을 활용한 잠재적 도시재생 구역 식별" 한국도시지리학회 15 (15): 67-80, 2012

      41 이창수, "GIS를 이용한 서울시 상업업무기능의 분포특성 탐색" 4 (4): 55-74, 1996

      42 Cromley, R. G., "Focal location quotients : specification and applications" 44 (44): 398-410, 2012

      43 Greene, R. P., "Exploring the Urban Community : A GIS approach" Pearson Prentice Hall 2012

      44 Berman, M., "Estimating weighted integrals of the second-order intensity of a spatial point process" 51 (51): 81-92, 1989

      45 Silverman, B. W., "Density Estimation for Statistics and Data Analysis" Chapman and Hall 1986

      46 Bithell, J. F., "An application of density estimation to geographical epidemiology" 9 : 691-701, 1990

      47 Kulldorff, M., "A space-time permutation scan statistic for disease outbreak detection" 2 (2): 216-224,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2 1.22 1.0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7 1.01 1.261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