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에서는 2020~2021년 2년간 한국 내 일본 전근대사 분야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이 확인되었다. 첫째, 일본 전근대사 분야를 통틀어 연구 주제가 한층 다양해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2020~2021년 2년간 한국 내 일본 전근대사 분야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이 확인되었다. 첫째, 일본 전근대사 분야를 통틀어 연구 주제가 한층 다양해지...
본고에서는 2020~2021년 2년간 한국 내 일본 전근대사 분야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이 확인되었다.
첫째, 일본 전근대사 분야를 통틀어 연구 주제가 한층 다양해지고, 연구자의 사료 선택과 이해의 폭이 확대됨에 따라 연구 내용이 더욱 심화되었다.
둘째, 일본 전근대사 분야를 통틀어 ‘지역과 경계를 넘나드는’ 연구들이 꾸준히 증가하였다.
셋째, ‘해양・해역’이라는 관점에서 한일관계사를 조망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넷째, 일본 전근대 분야에서 전통적으로 강세를 보인 핵심 연구가 심화를 넘어 ‘한국형 일본사 연구’로서 완전히 자리매김하였다.
다섯째, 일본 고대사 분야와 근세사 분야에서 일본인 연구자들의 연구 활동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향후 일본 전근대사 연구가 지금까지 축적해온 연구 방법과 연구성과를 발판 삼아 한층 성숙한 일본사 연구로 나아가기를 기대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s recent research trends in Japanese pre-modern history from 2020 to 2021 and the following tendencies are noticed : Firstly, themes have become more diversified. Researchers have the ability to use more various primary sources and...
This article examines recent research trends in Japanese pre-modern history from 2020 to 2021 and the following tendencies are noticed : Firstly, themes have become more diversified. Researchers have the ability to use more various primary sources and interpret them properly. As a result, their research were further intensified.
Secondly, Researchers' perspectives have been broadened. Research achievements that transcend time and region limits has increased.
Thirdly, an attempt is made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from the viewpoint of “ocean” or “ocean area” Fourth, traditional and core themes of Japanese history research in Korea have reached to a stage that can be named as a “Korean-style Japanese history research”.
Finally, studies of ancient Japanese history and the Edo period by Japanese researchers are steadily increasing.
Based on the research methods and achievements accumulated so far, it is expected that the study of Japanese pre-modern history will advance and mature.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은영, "후지와라노 나카마로(藤原仲麻呂) 정권의 예제 수용의 의의-정창원 소재 「子日目利箒」와 「子日手辛鋤」를 중심으로-" 역사연구소 (99) : 93-127, 2020
2 김정희, "헤이안 시대 문학작품에 나타난 발해에 대한 인식과 그 영향" 아시아문화연구소 55 : 33-55, 2021
3 신종대, "해양국가 일본의 무사계급과 중세형(中世型) '이에(家)' 연구"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1 (21): 419-444, 2020
4 장희춘, "해동기" 보고사 2020
5 박찬기, "항해헌수록』의 역주와 연구" 보고사 2020
6 미야지마 히로시, "한중일 비교 통사: 역사상의 재정립이 필요한 때" 너머북스 2020
7 三上喜孝, "한일 목간에서 본 고대 동아시아의 의약문화" 인문학술원 (17) : 177-195, 2021
8 박태규, "한국의 고대 악무 연구를 위한 일본의 궁중 악무 고찰-고마가쿠(高麗楽)의 고구려계 악무와 그 성격을 중심으로" 아시아문화연구소 55 : 57-77, 2021
9 오해양, "한국과 일본의 고대 현악기" 지성인 2021
10 윤용혁, "한국과 오키나와-초기 교류사 연구" 서경문화사 2020
1 강은영, "후지와라노 나카마로(藤原仲麻呂) 정권의 예제 수용의 의의-정창원 소재 「子日目利箒」와 「子日手辛鋤」를 중심으로-" 역사연구소 (99) : 93-127, 2020
2 김정희, "헤이안 시대 문학작품에 나타난 발해에 대한 인식과 그 영향" 아시아문화연구소 55 : 33-55, 2021
3 신종대, "해양국가 일본의 무사계급과 중세형(中世型) '이에(家)' 연구"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1 (21): 419-444, 2020
4 장희춘, "해동기" 보고사 2020
5 박찬기, "항해헌수록』의 역주와 연구" 보고사 2020
6 미야지마 히로시, "한중일 비교 통사: 역사상의 재정립이 필요한 때" 너머북스 2020
7 三上喜孝, "한일 목간에서 본 고대 동아시아의 의약문화" 인문학술원 (17) : 177-195, 2021
8 박태규, "한국의 고대 악무 연구를 위한 일본의 궁중 악무 고찰-고마가쿠(高麗楽)의 고구려계 악무와 그 성격을 중심으로" 아시아문화연구소 55 : 57-77, 2021
9 오해양, "한국과 일본의 고대 현악기" 지성인 2021
10 윤용혁, "한국과 오키나와-초기 교류사 연구" 서경문화사 2020
11 윤용혁, "한국과 오키나와 - 초기 교류사 연구" 서경문화사 2020
12 양익모, "하치오지센닌도신(八王子千人同心)을 통해 본 에도시대 신분제의 모순" 한국일본사상사학회 (40) : 155-175, 2021
13 김경태, "하야시 다이스케[林泰輔]의 朝鮮近世史와 玄采의 東國史略에 나타난 임진왜란 서술 검토" 한국역사교육학회 (36) : 36-55, 2020
14 이재훈, "통신사와 화재 ― 화재의 양상과 일본 측의 대비 ―" 한국일본학회 (124) : 237-255, 2020
15 홍성화, "칠지도와 일본서기 - 4~6세기 한일관계사 연구 -" 경인문화사 2021
16 박찬우 ; 신카이 사키코, "최근 일본학계의 『일본서기』 연구동향과 신공・응신・인덕기" 한국역사연구회 (120) : 29-75, 2021
17 박화진, "초량왜관시대 초기 왜관 운영체계 변화와 일본선의 부산포 출입동향에 대한 연구 - 왜관관수일기를 중심으로(1692~1693년) -"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83-108, 2021
18 장혜진, "초기 근대 일본 예수회의 종교적 갈등 - 타 수도회와 프로테스탄트 교파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원불교사상연구원 (83) : 285-314, 2020
19 조세현 ; 리단 ; 김문기 ; 예동근, "청말 중국인의 여행기에 나타난 해국(海國)일본 -청일항로와 개항장 화상(華商)을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1 (21): 93-131, 2020
20 박영희 ; 신종대, "천황제와 신불습합(神仏習合)의 교착(膠着)연구- 신불습합의 역할을 중심으로 -" 국제학연구소 31 : 141-167, 2020
21 이영, "진포구 남해 관음포 해전과 고려 말 왜구 침구 양상의 변화" 한국중세사학회 (64) : 241-273, 2021
22 김문기, "중세온난기와 11세기 동아시아의 기후변동" 한국생태환경사학회 (7) : 55-126, 2021
23 한채민, "중세 일본의 한반도 인식 연구 - 『헤이케모노가타리(平家物語)』의 신라 관련 서술을 중심으로 -"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51 : 131-152, 2021
24 고은미, "중세 일본의 외교권" 대동문화연구원 (113) : 467-493, 2021
25 이세연, "중세 일본의 신국사상과 한반도" 청람사학회 32 : 2020
26 박연주, "중세 일본의 사리(舍利) 숭배를 둘러싼 문화의 역동성과 밀교적 해석학" 일본학연구소 55 : 197-227, 2021
27 고은미, "중국계 상인의 일본 정착 - 11~13세기를 중심으로 -" 역사학회 (248) : 267-301, 2020
28 정성일, "조・일 간 무역 통계의 비교(1874년, 1880년)" 한일관계사학회 (72) : 149-180, 2021
29 荒木和憲, "조일 강화 교섭 과정과 정탐사(偵探使)" 한국고전학연구소 (3) : 141-182, 2020
30 정은영, "조선후기 통신사행록 속에 나타난 전쟁의 상흔, 그리고 부산" 한국문학회 (84) : 5-45, 2020
31 윤유숙, "조선후기 조선・일본의 동남아시아 산물 교역" 한일관계사학회 (70) : 183-216, 2020
32 허현정, "조선후기 왜관요의 자원 수급"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39) : 205-239, 2020
33 이승민, "조선후기 求貿의 시행과 운영절차" 한국학연구소 55 : 67-101, 2021
34 정해선 ; 이근우, "조선표류일기를 통해본 19C 초 조선선비와 일본 무사의 시문 교류"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17-42, 2021
35 이근우, "조선표류일기" 소명출판 2020
36 노성환, "조선통신사가 본 일본인의 할복" 대한일어일문학회 (90) : 413-432, 2021
37 김용진, "조선통신사 문헌 속의 유학 필담" 보고사 2020
38 한문종, "조선초기 尹仁甫의 대일 교섭 활동" 한일관계사학회 (70) : 3-30, 2020
39 김미진, "조선인이 경험한 일본음식 - 조선의 사행록과 일본의 고증수필을 중심으로 -" 일본연구소 (85) : 147-173, 2020
40 이정일, "조선의 對일 전략에 대한 일고찰 : 일본군의 남해안 철수 직후(1593.07~1594.02)를 중심으로" 한일관계사학회 (74) : 179-214, 2021
41 김소연, "조선에서 온 카라모노(唐物): 혼가쿠지 소장 〈석가탄생도〉의 일본 내 수용과 확산"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6) : 230-259, 2020
42 방기철, "조선시대 대일사신의 傳命儀 연구" 조선시대사학회 (93) : 67-91, 2020
43 한명기, "조선시대 韓中日 관계와 相互認識의 추이" 한국학연구소 (57) : 351-390, 2020
44 임영현, "조선 후기 통신사행 준비 단계 문서를 통해 본 1811년 사행 준비" 한일관계사학회 (72) : 111-148, 2021
45 심민정, "조선 후기 부산에서의 표류일본인 접대- 『朝鮮漂流日記』(1819)를 중심으로 -"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42 : 73-102, 2021
46 윤유숙, "조선 후기 ‘왜관’의 세계" 동북아역사재단 2021
47 박희봉, "조선 정부의 임진왜란 대응 및 역할" 국가정책연구소 34 (34): 159-182, 2020
48 정성일, "조사시찰단의 보고로 본 1880년 조선의 수출입 통계" 한일관계사학회 (68) : 217-266, 2020
49 윤성익, "제주 『地誌』의 왜구 관련 기사-그 사료적 가치와 활용에 대하여-" 한일관계사학회 (71) : 125-180, 2021
50 조인희, "정유재란사(丁酉再亂史) 연구에 관한 한일학계 연구의 현황" 연세사학연구회 46 : 153-204, 2020
51 하태규, "정유재란기 왜교성전투의 실상과 성격" 전북사학회 (60) : 213-244, 2020
52 윤유숙, "전통시대 사행으로 본 동아시아" 동북아역사재단 2020
53 장혜진, "전국시대 일본 예수회의 적응 선교의 한계-「일본제사요록」과 「일본사」를 중심으로-" 동아시아일본학회 (74) : 257-278, 2020
54 김경록, "임진전쟁시기 영천성수복전투의 전개과정과 군사사적 특징"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114) : 159-197, 2020
55 김문자, "임진전쟁기의 일본자료 연구 -모리게(毛利家)문서의 자료적 성격을 중심으로-" 한국사학사학회 (44) : 95-122, 2021
56 차혜원, "임진전쟁기, 중국 강남지방의 通倭案 -기록과 사실 사이에서-" 역사학회 (248) : 117-147, 2020
57 김문자, "임진전쟁과 도요토미 정권" 경인문화사 2021
58 이정일, "임진왜란 전반기 조선의 남병(南兵) 인식과 활용 방안" 한국사연구회 (189) : 79-110, 2020
59 김문자, "임진왜란 연구의 제 문제 -임진・정유재란 발발 원인에 대한 재검토-" 한일관계사학회 (67) : 139-176, 2020
60 이정일, "임진왜란 시기 조선의대일 전략(對日 戰略) -1593년 일본군의 한성 퇴각을 중심으로-" 역사연구소 (104) : 45-84, 2021
61 노영구 ; 김진수, "임진왜란 시기 명군(明軍)의 대구(大邱) 팔거현(八莒縣) 주둔과 지역 변화" 한국사연구회 (191) : 257-286, 2020
62 세키네 히데유키, "일본인의 형성과 한반도 도래인" 경인문화사 2020
63 이경희, "일본의 중세 가마쿠라․무로마치 시대의 염직과 복식" 한국니트디자인학회 19 (19): 12-21, 2021
64 노성환, "일본의 조선 여성 도공 백파선" 한국일어일문학회 112 : 291-316, 2020
65 이경화, "일본의 왕권신화와 의례의 연구 ―오모노누시(大物主)신화를 중심으로―" 일본연구소 61 : 35-54, 2020
66 고은미, "일본의 도항 금지령과 진봉 관계(進奉關係)" 동양사학회 (152) : 285-319, 2020
67 박태규, "일본의 고마가쿠(高麗樂) 연구 -<린가(林歌)>의 원천 탐구를 중심으로-" 무용역사기록학회 50 : 9-33, 2018
68 노성환, "일본에 있어서 신라 요괴 진린 전승" 일본연구소 62 : 89-116, 2021
69 노성환, "일본에 남은 울산성 전투에 대한 기억의 전승" 대한일어일문학회 (86) : 373-395, 2020
70 정동준, "일본서기(日本書紀)』 인덕기(仁德紀) 41년조의 사실성 검토와 사료적 활용" 한국역사연구회 (120) : 113-144, 2021
71 위가야, "일본서기 소재 ‘임나 4현 할양’기사의 재해석" 부경역사연구소 (48) : 145-169, 2021
72 이윤옥, "일본불교를 세운 고대 한국 승려들" 운주사 2020
73 김현경, "일본 헤이안시대 수군의 존재 여부" 한국고대사탐구학회 (38) : 257-294, 2021
74 노성환, "일본 하기의 조선도공 사에키가에 관한 일고찰" 일본연구소 59 : 7-22, 2020
75 三上喜孝, "일본 출토의 고대 목간 - 호적과 목간 -" 한국목간학회 (26) : 327-334, 2021
76 三上喜孝 ; 오택현, "일본 출토 고대 목간- 고대 지역 사회에서의 농업경영과 불교활동 -" 한국목간학회 (24) : 347-356, 2020
77 서보경, "일본 중학교 역사교과서에 나타난 고대 한・일 관계 기술의 분석 -「渡來人」, 「歸化人」 관련 기술을 중심으로-" 한일관계사학회 (68) : 3-36, 2020
78 김인아, "일본 중세 문학에서의 재해" 일본연구소 63 : 75-93, 2021
79 강무창, "일본 주문 도자기의 특징과 부산 왜관요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 주문다완(御本茶碗)을 중심으로 -" 한국도자학회 17 (17): 5-19, 2020
80 장혜진, "일본 전국시대의 포르투갈 동아시아 교역과 일본 예수회의 선교활동" 동아시아고대학회 (57) : 109-134, 2020
81 노성환, "일본 오카야마의 백제 요괴 溫羅 전승" 대한일어일문학회 (88) : 297-321, 2020
82 남기학, "일본 사학사에서 신황정통기의 위치" 동아시아문화연구소 (83) : 173-197, 2020
83 박연주, "일본 불교 물질문화의 정신적 배경 : 불교의 물질관과 중세 일본 불교의 물질을 둘러싼 담론" 동양고전연구소 (44) : 1-29, 2021
84 박진현, "일본 군키 모노가타리(軍記物語) 속의 초기 무사 표상 : 무사에 대한 인식의 제 양상을 중심으로" 글로벌일본연구원 (36) : 99-128, 2021
85 송완범, "일본 구주(九州)의 바닷길, ‘오도열도(五島列島)’와 ‘남서제도(南西諸島)’에 대해서" 동아시아비교문화연구회 8 : 2020
86 박이순, "일본 고대인들의 가미(神) 관념의 특징" 인문과학연구소 (71) : 137-163, 2021
87 연민수, "일본 고대국가와 도래계 씨족" 학연문화사 2021
88 박이순, "일본 고대 천황의 왕위(王威)에 대한 고찰-헤이안(平安)시기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 (67) : 265-286, 2020
89 바바 하지메, "일본 고대 목간론" 주류성 2021
90 위가야, "이나사(移那斯)・마도(麻都)의 행적과 경계인의 삶" 한국역사연구회 (117) : 51-83, 2020
91 성해준, "유구의 전통 신앙과 종교" 동양한문학회 57 : 93-118, 2020
92 성해준, "유구의 역사와 한반도" 동양한문학회 58 : 157-190, 2021
93 하우봉, "원중거, 조선의 일본학을 열다" 경인문화사 2020
94 박영희 ; 신종대, "원령(怨霊) 천황에 관한 연구 - 헤이안(平安)시대와 가마쿠라(鎌倉)시대를 중심으로 -" 일본어문학회 (88) : 501-521, 2020
95 이영, "우왕 원년(1375) 나흥유의 일본 사행 당시의 규슈 정세와 규슈탄다이(九州探題) 이마가와 료슌(今川了俊)의 왜구 대응의 배경" 한국중세사학회 (60) : 363-398, 2020
96 연민수, "왜왕권의 백제유민 관리와 인재등용책" 백제연구소 (71) : 57-79, 2020
97 이재석, "왜국(일본)에서 본 백제·고구려의 멸망" 역사문제연구소 (130) : 261-283, 2020
98 이영, "왜구, 고려로 번진 일본의 내란: 남북조 내란과 고려 말 왜구" 보고사 2020
99 방기철, "오윤겸(吳允謙)의 일본사행과 대일인식" 인문학연구원 81 : 321-352, 2020
100 정기웅, "역병의 대유행과 조정의 대응책: 天平 9(737)年 역병 사례를 중심으로" 일본사학회 (53) : 5-36, 2020
101 하라 다케시, "여제의 일본사"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20
102 최경국, "언해본 『三綱行実圖』 열녀도속 왜구(倭寇)의 이미지: 아사이 료이(浅井了意) 『三綱行実図』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 42 (42): 93-118, 2021
103 방국화, "신라・백제 문자문화와 일본 문자문화의 비교연구 -출토문자자료를 중심으로-" 영남문화연구원 (77) : 159-186, 2021
104 강은영, "신라 촌락문서의 정창원 입고 계기 -일본에서의 화엄경 유행을 중심으로-" 신라사학회 (52) : 189-214, 2021
105 전진국, "스에마츠 야스카즈(末松保和)의 『임나흥망사』 소개와 비판적 검토" 한국고대사탐구학회 (34) : 619-638, 2020
106 김태훈, "숙종대의 內修外攘과 대일관계 변화" 부경역사연구소 (48) : 205-239, 2021
107 이훈, "숙종 대 임술통신사(1682) 파견과 적례외교의 정착" 한국고전학연구소 (4) : 165-231, 2020
108 김경태, "쇄미록에 나타난 임진왜란 관련 정보의 전달 양상" 호서사학회 (99) : 89-127, 2021
109 박재용, "사카모토타로(坂本太郞)의 백제사 연구" 백제연구소 (74) : 327-343, 2021
110 연민수, "사비시대 사택씨의 위상과 멸망 이후의 후예씨족" 한국학중앙연구원 44 (44): 215-252, 2021
111 조형, "부상일기" 보고사 2020
112 박정슬, "병자호란 이후(1640~1642년) 쓰시마에 대한 조선의 입체적인 교섭 논리: 1640년 문위행과 이후 파생된 교섭을 중심으로" 규장각한국학연구원 (95) : 73-104, 2021
113 이병호, "백제와 신라, 일본 고대 도성의 비교 연구" 마한백제문화연구소 36 : 42-81, 2020
114 이재석, "백제부흥전쟁과 부여풍장(夫餘豊璋)・왜국 多臣氏" 일본사학회 (54) : 5-40, 2021
115 강은영, "백제·왜의 불교교류와 적칠관목주자(赤漆欟木厨子)" 호남사학회 (77) : 297-326, 2020
116 구난희, "발해의 일본 行路와 出羽ㆍ北陸ㆍ山陰의 고대교통" 고구려발해학회 69 : 53-87, 2021
117 박진현, "문학 작품 속에서 형성된 중고와 중세의 무사 양상 - 『호겐 모노가타리(保元物語)』와 『헤이지 모노가타리(平治物語)』의 표상 고찰 -" 대한일어일문학회 (89) : 107-125, 2021
118 TASAKA MASANORI, "무진년 통신사행 절목 중 집정 인원수 강정에 관한 고찰" 한일관계사학회 (67) : 207-236, 2020
119 신종대, "무사계급과 양자제도(養子制度)의 관련성 연구"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2 (22): 191-212, 2021
120 김보한, "동아시아의 재난, 해적과 왜구 ―13∼14세기 왜구를 중심으로―" 일본연구소 63 : 9-33, 2021
121 이성시, "동아시아의 문자 교류와 논어 - 한반도 논어 목간을 중심으로 -" 한국목간학회 (26) : 15-32, 2021
122 정동준, "동아시아의 典籍交流와 『論語』 목간" 한국목간학회 (24) : 39-54, 2020
123 송완범, "동아시아세계 속의 일본율령국가 연구 - 百濟王氏를 중심으로 -" 경인문화사 2020
124 이나다 나츠코, "동아시아 의례 연구의 새로운 시각-‘물품 목록’의 검토에서-" 인문학술원 (16) : 571-595, 2021
125 팜 르 후이, "동아시아 세계 속 베트남 목간 연구 서설 (1) 경계를 넘나드는 ‘봉함목간’, ‘목협’, ‘협판’" 한국목간학회 (27) : 57-78, 2021
126 이유진, "동부유라시아와 동아시아 -정치권과 문화권의 설정-" 동국역사문화연구소 (69) : 583-601, 2020
127 정동준, "동부 유라시아론이란 무엇인가?" 고조선단군학회 46 (46): 241-278, 2021
128 김형진, "도쿠가와 후기 公家日記의 조정운영 기록과 그 의미 ― 시론적 고찰" 일본사학회 (56) : 77-105, 2021
129 김문자, "도요토미(豊臣)정권의 의료정책 -임진전쟁과 의료문제-" 한일관계사학회 (72) : 3-42, 2021
130 이정은,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의 오나리(御成)와 무가(武家) 저택의 실내치장" 미술사학연구회 (54) : 37-62, 2020
131 김강식, "대가야시대 한일 해양교류와 현대적 재현" 선인 2020
132 정순일, "당물(唐物)로서의 유희(遊戱) 문화-고대 일본을 사례로-" 역사연구소 (99) : 129-161, 2020
133 김지은, "남명 조식의 일본인식과 그 전승" 조선시대사학회 (98) : 71-103, 2021
134 오수문, "나라 헤이안 시대의 荷札목간 ー 荷札목간의 기술에서 읽어내는 조세방식 ー" 대한일어일문학회 (86) : 357-372, 2020
135 이호윤, "김경선의 『연원직지(燕轅直指)』에 기록된 류큐관련 기사와 류큐정보" 동아시아고대학회 (63) : 331-356, 2021
136 이재훈, "기해사행(己亥使行, 1719) 당시의 쓰시마번(對馬藩)의 지시사항 — 통신사 접대의 근저에 깔린 의식을 중심으로" 일본학연구소 (39) : 93-115, 2021
137 다사카 마사노리, "기해년도 조선통신사 봉행매일기 번각(享保信使奉行每日記翻刻)" 경진출판 2021
138 김수지, "기문(己汶)·대사(帶沙), 반파국(伴跛國)위치비정과 임나일본부설 - 김석형 조희승 분국설로 본 백승옥 김태식 곽장근 논문 비판을 중심으로 -" 바른역사학술원 (9) : 7-49, 2021
139 허지은, "근세일본의 규슈지역 대외창구와 중국관련 정보-『華夷變態』를 중심으로-" 한일관계사학회 (70) : 31-76, 2020
140 조승미, "근세 후기 일본 사회의 명목금 대부 사칭 현상 — 18세기 후반 오사카와 교토를 중심으로 —" 수선사학회 (76) : 347-376, 2021
141 한일문화교류기금, "근세 한일관계의 실상과 허상" 경인문화사 2020
142 윤유숙, "근세 한일관계 사료집Ⅳ: 1764년 조선통신사 기록 조선인내빙기 보력(朝鮮人來聘記 寶曆)" 동북아역사재단 2020
143 윤유숙, "근세 한일관계 사료집Ⅲ: 1607년·1624년 조선통신사 기록" 동북아역사재단 2020
144 이승민, "근세 한일관계 관련 물품교류 연구 현황과 과제" 동양고전연구소 (45) : 9-42, 2021
145 허지은, "근세 일본지식인의 정보활동과 조선관련 정보의 유통" 일본학연구소 (28) : 77-114, 2020
146 이기원, "근세 일본의 사회적 교양과 일본의식의 형성: -‘사회과오라이모노’를 중심으로" 동양고전연구소 (44) : 1-34, 2021
147 정하영, "근세 일본 지방행정조직의 구조: 오카야마번 (岡山藩) 의 군카이쇼 (郡會所) 사례 연구" 아시아연구소 11 (11): 181-218, 2021
148 조승미, "근세 일본 사원 대부업의 존립 구조" 일본사학회 (53) : 85-111, 2020
149 조승미, "근세 일본 도쿠가와 막부의 사원 대부업 보호의 이면 - 18세기 후반 교토 쇼렌인 명목금 대부의 성립과 그 조건 -" 역사학회 (250) : 205-241, 2021
150 박병도, "근세 말 일본의 재해와 회화: <재해 니시키에(災害錦繪)> 범주의 가능성-호소에, 나마즈에, 코레라에, 하시카에의 상호비교를 통하여-" 한국역사민속학회 (58) : 165-197, 2020
151 이호윤, "근세 류큐사절・조선사절의 일본・중국 파견과 교류" 한국일본근대학회 (72) : 129-148, 2021
152 이충호, "구스노키 마사시게(楠正成)의 병법(兵法)에 대한 고찰" 글로벌일본연구원 (35) : 121-148, 2021
153 박재용, "곤지의 도왜와 그 후손들" 동아시아문물연구소 38 (38): 1-19, 2020
154 한채민, "고전문학과 공간 : 『헤이케모노가타리(平家物語)』에 나타난 이쓰쿠시마(厳島) 신사에 관한 일고찰" 글로벌일본연구원 (35) : 87-119, 2021
155 김동정, "고려말 강원지역 왜구 침입과 이옥(李沃)의 강릉전투" 강원대학교 강원문화연구소 44 : 2021
156 이영, "고려 우왕 원(1375) 나흥유의 일본 사행과 미즈시마의 변(水島の変) : 규슈탄다이(九州探題) 이마가와 료슌(今川了俊)의 왜구 대응" 일본사학회 (52) : 31-55, 2020
157 최성욱, "고려 말 왜구 침구와 정지(鄭地)의 대왜구(對倭寇) 평정전략" 한국중세사학회 (63) : 253-283, 2020
158 김보한, "고려 말 왜구 근거지의 일고찰 -마쓰우라(松浦)와 마쓰우라토(松浦黨)를 중심으로-" 한일관계사학회 (70) : 247-286, 2020
159 연민수, "고대일본의 조형문화와 한국계 화공씨족" 한국고대사학회 (97) : 213-244, 2020
160 연민수, "고대일본의 고려군(高麗郡) 설치와 고구려계 씨족의 동향" 동북아역사재단 (70) : 149-184, 2020
161 노중국, "고대 한류 열풍의 중심지 아스카" 주류성출판사 2021
162 김은정, "고대 일본의 즉위 宣命과 皇位 계승의 논리" 호서사학회 (94) : 155-200, 2020
163 김영심, "고대 일본의 명문 도검과 백제" 백제학회 (35) : 31-56, 2021
164 김은정, "고대 일본에 있어 踐祚의 성립과 양위 宣命- 光仁·桓武천황기의 皇位 계승에 관한 검토 -" 한국세계문화사학회 (61) : 65-97, 2021
165 홍성화, "고대 서남해 항로에 대한 고찰-한일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고대사탐구학회 (39) : 9-54, 2021
166 이재석, "고대 동아시아의 다원적 국제관계와 <盟約> -<조공-맹약>체제의 가능성-" 고려사학회 (78) : 69-107, 2020
167 이재석, "고대 韓・日 사료에 보이는 <盟約>" 한일관계사학회 (67) : 53-96, 2020
168 이재석, "고구려의 修史와 『留記』・『新集』-왜국 修史와의 비교를 위한 전제(Ⅰ)-" 고려사학회 (84) : 177-216, 2021
169 정효운, "가야사의 듀얼리즘과 연구사의 스팩트럼" 한일관계사학회 (71) : 3-42, 2021
170 이세연, "가마쿠라 시대의 전투와 신비현상" 인문학연구원 77 (77): 239-271, 2020
171 김문기, "近世 日本의 『東醫寶鑑』 魚類知識 硏究(Ⅱ) ― 1718~1747년 朝鮮藥材調査를 중심으로 ―" 명청사학회 (53) : 283-344, 2020
172 한정미, "軍記物語における熊野権現の様相 ― 覚一本『平家物語』ㆍ『源平盛衰記』を中心に ―" 한국일어일문학회 114 : 295-317, 2020
173 박수철, "豊臣정권의 神格化와 명예(功名) 추구: ‘개인’ 히데요시의 관점에서" 일본사학회 (53) : 61-84, 2020
174 양흥숙 ; 정성일 ; 김동철, "草梁話集의 異本과 재생산- 朝鮮草梁話集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부경역사연구소 (48) : 241-280, 2021
175 서영교, "統一初 新羅-日本 교류와 ‘東萊斷層’路"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42 : 1-36, 2021
176 성해준, "琉球佛敎와 高麗佛敎와의 관계" 사단법인한국교수불자연합회 26 (26): 151-170, 2020
177 와타나베 미키, "琉球·日本関係における冠服と詔勅" 동국역사문화연구소 (69) : 55-97, 2020
178 한정미, "梁塵秘抄に見られる熊野信仰の様相" 한국일본언어문화학회 (57) : 267-283, 2021
179 장순순, "朝日 문화교류의 측면에서 본 조선후기 倭館-일본산 담배 및 담뱃대를 중심으로-"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39) : 47-78, 2020
180 사이토 아유미, "日本古典文学にみる感染症の流行-古代·中世を中心に-" 인문학술원 (14) : 77-102, 2020
181 연민수, "新撰姓氏錄·中" 동북아역사재단 2020
182 연민수, "新撰姓氏錄·下" 동북아역사재단 2020
183 연민수, "新撰姓氏錄·上" 동북아역사재단 2020
184 TASAKA MASANORI, "戊辰通信使 使行錄과 信使記錄 -사행록과 신사기록으로 본 捉鯨・市中徘徊・메시하나치(召放)-" 한일관계사학회 (73) : 145-180, 2021
185 성해준, "對馬島와 韓半島와의 관계- 특히 釜山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36) : 139-167, 2020
186 홍성화, "奈良·滋賀 지역의 百濟系 渡倭人에 대한 고찰" 동아시아고대학회 (57) : 237-257, 2020
187 이재석, "天武朝의 修史와 古事記・日本書紀" 일본사학회 (52) : 5-30, 2020
188 박병섭, "天保竹島一件における松島(独島)に対する日本の領有権論爭" 한일관계사학회 (67) : 237-266, 2020
189 한정미, "変貌する熊野信仰- 古代・中世文芸を中心に -" 한국일본학회 (123) : 155-173, 2020
190 임현채, "壬辰倭亂期 조선과 일본의 豊臣氏 활용과 그 인식" 한일관계사학회 (71) : 181-214, 2021
191 임현채, "壬辰倭亂期 豊臣政權의 權威 - 히데요시의 天皇·天子 활용을 중심으로 -" 한국사학사학회 (44) : 67-94, 2021
192 三上喜孝, "古代日本における人面墨書土器と祭祀" 인문학술원 (16) : 301-315, 2021
193 홍성화, "古代 科野 지역과 百濟" 동아시아고대학회 (61) : 249-276, 2021
194 三上喜孝 ; 오택현, "古代 日本 論語 木簡의 特質 -한반도 출토 論語 木簡과의 비교를 통해서-" 한국목간학회 (25) : 173-189, 2020
195 서보경, "入唐 秦氏에 관한 연구" 동양사학회 (153) : 1-42, 2020
196 카타야마 마비, "倭館窯에서 제작된 ‘立鶴文(타치즈루) 양식’ 茶碗의 성립 과정" 한국미술사학회 311 (311): 151-182, 2021
197 홍성화, "任那日本府에 대한 고찰: 日本書紀 任那日本府 관련 인물을 중심으로" 글로벌일본연구원 (33) : 291-322, 2020
198 이근우, "『조선표류일기』의 회화자료와 비인현감 윤영규" 한일관계사학회 (73) : 181-224, 2021
199 정동준, "『임나흥망사』를 통해 본 스에마츠 야스카즈의 역사관" 역사문제연구소 (132) : 329-362, 2020
200 전진국, "『임나흥망사』 Ⅱ" 충북대학교 중원문화연구소 28 : 2020
201 배관문, "『일본서기』를 둘러싼 국학의 방법론과 역사관 ― 『고사기전』의 『일본서기』 활용을 중심으로" 일본사학회 (54) : 69-91, 2021
202 박재용, "『일본서기』 계체·흠명기 백제관계 기사 검토- 『백제본기』 분석을 중심으로 -" 동아시아문물연구소 39 (39): 163-195, 2021
203 민병훈, "『이세 모노가타리(伊勢物語)』 아즈마쿠다리(東下り) 관계 단에 수용된 야치호코(八千矛) 신화"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52 : 215-234, 2021
204 이근우, "『신찬성씨록』의 편찬방침과 체재" 부산경남사학회 (115) : 195-241, 2020
205 문경호, "『신미통신일록(辛未通信日錄)』의 특징과 역사적 가치" (재)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31) : 65-98, 2021
206 허지은, "『류큐오라이(琉球往來)』와 류큐 관련 지식・정보의 유통" 전북사학회 (61) : 281-318, 2021
207 이유진, "『舊唐書』와 『續日本紀』를 통해 본 唐日交流-安史의 亂 이후의 변화를 중심으로-" 신라사학회 (49) : 75-103, 2020
208 임경준, "『笑雲入明記』를 통해서 본15세기 중반의 明・日 관계와 進貢・貿易" 일본학연구소 53 : 227-247, 2021
209 심민정, "『朝鮮漂流日記』(1819)에 나타난표류왜인 호송과 접대 실태" 한일관계사학회 (70) : 127-156, 2020
210 이재석, "『日本書紀』와 <日本紀> 명칭에 관한 小考" 대구사학회 138 : 149-178, 2020
211 김나영, "『日本書紀』에 보이는 생물을 헤아리는 조수사 고찰" 대한일어일문학회 (88) : 245-264, 2020
212 김나영, "『日本書紀』神代卷에 보이는 助數詞 고찰 -神을 헤아리는 助數詞를 중심으로-" 대한일어일문학회 (92) : 227-244, 2021
213 채민석, "『日本書紀』 百濟 支 渡倭 관계 기사의 ‘奪’과 ‘賜’의 검토" 한국고대사탐구학회 (37) : 203-251, 2021
214 박지영, "『帝鑑圖說』 판본과 각국 수용 양상의 비교 연구" 한국미술사학회 311 (311): 5-43, 2021
215 김상규, "『古事記』의 構想-倭建命의 인물 조형-" 대한일어일문학회 (92) : 115-130, 2021
216 한정미, "『伊勢物語』に現れた神々の様相" 한국일어일문학회 118 : 153-170, 2021
217 전진국 ; 이상희 ; 김소정, "『任那興亡史』 번역Ⅰ" 한국고대사탐구학회 (34) : 639-716, 2020
218 백승옥, "‘임나가라(任那加羅) 종발성(從拔城)’과 고대 부산"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40) : 107-142, 2020
219 김문기, "‘송어(松魚)’는 왜 ‘연어(鮭)’가 되었나?: 근세 朝・日 어류지식 교류의 일면" 부산경남사학회 (117) : 243-305, 2020
220 백승충, "‘日羅 사건’의 성격과 의미" 부산경남사학회 (121) : 179-229, 2021
221 박지영, "‘天保竹島一件’의 재검토를 통해 본 독도 영유권 - “竹嶋渡海一件記”를 중심으로 -"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49 : 27-44, 2020
222 姜博, "[硏究動向] 중국 학계의 일본 戰國時代史 연구 동향" 일본사학회 (55) : 165-184, 2021
223 장혜진, "The 1587 Edicts of Japan from the Records of Jesuit Missionaries and Accommodative Mission" 일본사학회 (51) : 131-151, 2020
224 박연주, "Taming Dragons: The Buddhist Mythmaking of Sacred Violence in Medieval Buddhist Tales Samgukyusa and Konjaku Monogatarishū"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58) : 335-364, 2021
225 이정일, "Tactical Changes of the Chosŏn Military in the First Year of the East Asian War" 한국학연구원 23 (23): 23-48, 2020
226 서보경, "<經國集>의 紀眞象 對策文 注解 및 서술상의 특징 연구" 한일관계사학회 (74) : 137-178, 2021
227 정순일, "9세기 후반 일본의 弩師 배치 배경" 한국고대사탐구학회 (34) : 213-246, 2020
228 조이옥, "9세기 전반 新羅와 日本의 大宰府交易" 영남문화연구원 (79) : 175-200, 2021
229 고태규, "9세기 일본인의 중국 여행에 대한 재당 신라인의 역할 : 엔닌의 『입당구법순례행기』를 중심으로" 한국관광연구학회 34 (34): 19-35, 2020
230 이재석, "9세기 일본 사료 속의 울릉도・細羅國" 한일관계사학회 (69) : 3-33, 2020
231 조이옥, "8세기 중엽 신라의 대일교섭과 大宰府" 한국고대사탐구학회 (36) : 179-210, 2020
232 신카이 사키코, "8세기 중반 신라의 대일 관계 동향과 「買新羅物解」" 한일관계사학회 (67) : 97-138, 2020
233 강은영, "8세기 전반 일본 불교계의 동향과 天平期 견당사의 파견 -鑑眞 請來의 배경과 관련하여-" 호남사학회 (82) : 301-336, 2021
234 신숙, "8세기 「買新羅物解」와 韓日 보석장식 공예품 교류" 한국고대사탐구학회 (39) : 275-312, 2021
235 정계경, "8世紀 日本으로 移住한 新羅人의 動向" 한국고대사탐구학회 (35) : 271-334, 2020
236 나행주, "7세기 일본 견수 학문승의 활동과 역할-승의 다양한 기능과 양태-" 한일관계사학회 (71) : 43-124, 2021
237 나행주, "7세기 고대일본의 견수사·견당사에 관한 기초적 연구-입당승·입송승 이해를 위한 서장-" 역사연구소 (99) : 1-56, 2020
238 홍성화, "6세기 후반 한일 해역에서의 재난과 교류 -고구려와 야마토 정권을 중심으로-" 동아시아고대학회 (59) : 83-106, 2020
239 강은영, "6세기 전반 계체왕조의 성립과 대외정책-近江毛野臣의 出自를 중심으로-" 한국세계문화사학회 (57) : 209-240, 2020
240 정동준, "4∼5세기 동아시아 국제정세와 『일본서기(日本書紀)』" 한국역사연구회 (120) : 21-28, 2021
241 김형진, "19세기 초 일본정치사 속의 조정-막부 관계 ― 1827년의 막부 사자 파견을 중심으로 ―" 동양사학회 (157) : 361-413, 2021
242 송완범, "1940년대 ‘제국 일본’의 ‘남양’ 인식 : 이른바 ‘南進論’과 사와다 겐(澤田謙)의 南洋民族誌 를 중심으로" 글로벌일본연구원 (36) : 5-29, 2021
243 하우봉, "18세기 초엽 일본 소라이문파(徂徠門派)와 조선 통신사의 교류 -다자이 다이(太宰春台)의 『한관창화고(韓館倡和稿)』를 중심으로" 한국고전학연구소 (3) : 99-139, 2020
244 김영록, "18세기 초 倭館 開市貿易의 거래 양상 -1721년 사례를 중심으로-" 한일관계사학회 (72) : 79-110, 2021
245 황은영, "18세기 중반 이후 통신사행 회화 자료의 특성" 한일관계사학회 (70) : 77-126, 2020
246 장혜진, "1867년 「薩摩琉球國」에 대한 일고찰: 사쓰마번과 류큐왕국의 양자 관계를 중심으로" 동아시아비교문화연구회 8 : 2020
247 박화진, "1810년 일본인의 청국표류 체험과 강남지역의 사회상 : 『청국표류도淸國漂流圖』를 중심으로"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5) : 249-290, 2021
248 유채연, "17세기 후반 조일관계와 右京圖書 교섭" 한일관계사학회 (73) : 75-112, 2021
249 김영록, "17세기 후반 왜관 개시무역과 ‘公貨’" 효원사학회 60 : 203-242, 2021
250 유채연, "17세기 중반 조일관계의 전개와 彦滿圖書 교섭" 전북사학회 (59) : 199-226, 2020
251 김영록, "17세기 전반 왜관 개시무역의 거래 양상과 부채 문제" 부산경남사학회 (121) : 269-299, 2021
252 이해진, "17세기 말~18세기 초 쓰시마번의 대막부교섭 논리 변화 ― ‘通交’의 개념적 확장과 ‘藩屛의 武備’론의 등장" 일본사학회 (55) : 5-42, 2021
253 허지은, "17~19세기 조선관련 오라이모노(往來物)와 정보의 유통" 한일관계사학회 (71) : 249-284, 2021
254 신경미, "17~18세기 일본산 담배의 조선 유입과 그 영향" 한일관계사학회 (73) : 113-144, 2021
255 정우봉, "1763年 계미통신사행록 『東槎紀行』의 작자와 일본 체험" 한국한문학회 (83) : 293-334, 2021
256 임영현, "1719년 통신사행과 국서"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40) : 169-208, 2020
257 최영화, "1719年己亥使行與≪桑韓塤篪≫-以學術交流與較量的角度看通信使筆談集-" 연민학회 34 : 107-128, 2020
258 정영실, "1711년 신묘사행 응대를 위한 일본의 준비 양상" 동양한문학회 59 : 93-122, 2021
259 안대수, "1703년 조선인 왜관 난입 사건에 관한 고찰" 일본연구소 64 : 49-67, 2021
260 장순순, "16세기 후반 조일관계와 대일사행의 파견" 한일관계사학회 (68) : 187-216, 2020
261 이수열, "16세기 동아시아해역의 군수물자 유통-일본열도와 왜구-" 한일관계사학회 (71) : 215-248, 2021
262 심민정, "1682년 임술통신사행의 임술약조 강정과조일 교린관계의 재편" 한일관계사학회 (73) : 3-42, 2021
263 구지현, "1607년 일본 사행록 『해동기(海東記)』 저자에 관한 시론(試論)" 열상고전연구회 (75) : 127-157, 2021
264 김강식, "15∼16세기 朝鮮과 琉球의 해역 이동"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4) : 1-34, 2021
265 박수철, "1582년 本能寺의 變과 『兼見卿記』: 일본 中近世移行期 記錄文化의 特質" 일본사학회 (56) : 5-35, 2021
266 양흥숙, "1541년 두 ‘倭變’과 ‘辛丑禁條’" 한일관계사학회 (71) : 285-324, 2021
267 이태훈, "14세기 후반 대일 외교사절로 본 한일관계" 조선통신사학회 32 : 2021
268 장준혁, "1443년(세종 25) 계해약조 체결의 의미" 한일관계사학회 (70) : 217-245, 2020
269 정세진, "14-16세기 일본 五山禪僧의對中國 집단학습활동을 통한관련 지식 축적 및 인식 전파에 관한 연구(1) - 오산선승의 詩會를 중심으로" 한국중국어문학회 105 : 135-160, 2020
270 마쓰오카 신페이, "(문화와 역사를 담다 22) 일본의 중세 예능을 읽다" 민속원 2020
‘조선과 세계’라는 복합 공간과 ‘전통과 근대’라는 복합 시간
2020~2021년 팬데믹 시기 ‘정중동(靜中動)’의 한국현대사 연구
송요금원사 회고와 전망: 2020~2021년 연구성과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