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2020~2021년 팬데믹 시기 ‘정중동(靜中動)’의 한국현대사 연구 = Korean Contemporary History Study of ‘Move in Silence’ during the 2020-2021 Pandemic Peri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000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d the main trends and their results in Korean contemporary history research from 2020 to 2021. The Korean scholarship in Korean contemporary history under the COVID-19 pandemic, rather than creating new issues, quietly but steadily continued to publish the papers focusing mainly on the "anniversary" of historical events such as the Korean War, the 5·16 Military Coup, the Self-burning of Chun Tae-il, and the 5·18 Gwangju Uprising. Through this, new "facts" were discovered, and their interpretation was made more sophisticated.Two trends were remarkable. Firstly, some articles sought to reconsider the question of the historical “subject”, decomposing those who were regarded as a single homogeneous entity into multiple agents, thus contributing to more concrete and multi-layer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Secondly, local history research has advanced, reconstructing and trying to understand the local society as a concrete space of life, and the historical experiences of local residents. These trends corresponded to the rise of social issues such as human rights and diversity.
      번역하기

      This paper examined the main trends and their results in Korean contemporary history research from 2020 to 2021. The Korean scholarship in Korean contemporary history under the COVID-19 pandemic, rather than creating new issues, quietly but steadily c...

      This paper examined the main trends and their results in Korean contemporary history research from 2020 to 2021. The Korean scholarship in Korean contemporary history under the COVID-19 pandemic, rather than creating new issues, quietly but steadily continued to publish the papers focusing mainly on the "anniversary" of historical events such as the Korean War, the 5·16 Military Coup, the Self-burning of Chun Tae-il, and the 5·18 Gwangju Uprising. Through this, new "facts" were discovered, and their interpretation was made more sophisticated.Two trends were remarkable. Firstly, some articles sought to reconsider the question of the historical “subject”, decomposing those who were regarded as a single homogeneous entity into multiple agents, thus contributing to more concrete and multi-layer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Secondly, local history research has advanced, reconstructing and trying to understand the local society as a concrete space of life, and the historical experiences of local residents. These trends corresponded to the rise of social issues such as human rights and divers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2020~2021년도 한국 현대사 연구의 주요 동향을 파악하고 성과를 살펴보았다. 코로나19 팬데믹 하의 현대사 학계는 새로운 이슈를 만들어내기보다, 한국전쟁, 5·16군사쿠데타, 전태일 분신, 5·18광주항쟁 등 주로 역사적 사건의 ‘주년’ 기념을 중심으로 조용히, 그러나 꾸준히 관련 논저 발표를 이어갔다. 이를 통해 새로운 ‘사실들’의 발굴이 진척되었고, ‘사실’ 해석에 있어서도 단선적 요인에 머물렀던 기존의 이해가 복합적 이해로 나아갈 수 있었다.
      또한 두 가지 조류가 특징적이었다. 우선 주체에 대한 다각적 고찰로서, 지금껏 하나의 주체로 ‘간주’되어 왔던 이들을 여러 ‘주어들’로 구체화하고 다양한 면모를 드러내 보이고자 했다. 두 번째는 지역사 연구의 진전으로, 구체적 삶의 공간으로서의 지역과 지역민의 역사적 경험을 풍성하게 복원하고 이해하려는 연구가 증가했다. 그리고 이는 사회적으로 인권과 다양성이 화두가 된 것과 부합한다.
      번역하기

      본고는 2020~2021년도 한국 현대사 연구의 주요 동향을 파악하고 성과를 살펴보았다. 코로나19 팬데믹 하의 현대사 학계는 새로운 이슈를 만들어내기보다, 한국전쟁, 5·16군사쿠데타, 전태일 분...

      본고는 2020~2021년도 한국 현대사 연구의 주요 동향을 파악하고 성과를 살펴보았다. 코로나19 팬데믹 하의 현대사 학계는 새로운 이슈를 만들어내기보다, 한국전쟁, 5·16군사쿠데타, 전태일 분신, 5·18광주항쟁 등 주로 역사적 사건의 ‘주년’ 기념을 중심으로 조용히, 그러나 꾸준히 관련 논저 발표를 이어갔다. 이를 통해 새로운 ‘사실들’의 발굴이 진척되었고, ‘사실’ 해석에 있어서도 단선적 요인에 머물렀던 기존의 이해가 복합적 이해로 나아갈 수 있었다.
      또한 두 가지 조류가 특징적이었다. 우선 주체에 대한 다각적 고찰로서, 지금껏 하나의 주체로 ‘간주’되어 왔던 이들을 여러 ‘주어들’로 구체화하고 다양한 면모를 드러내 보이고자 했다. 두 번째는 지역사 연구의 진전으로, 구체적 삶의 공간으로서의 지역과 지역민의 역사적 경험을 풍성하게 복원하고 이해하려는 연구가 증가했다. 그리고 이는 사회적으로 인권과 다양성이 화두가 된 것과 부합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진혁, "해방직후 보건의료체계논쟁과 통일국가 보건의료정책 구상" 대한의사학회 30 (30): 499-546, 2021

      2 윤종문, "해방이후 ‘국비 미국유학생’의 탄생" 한국사학회 (141) : 247-290, 2021

      3 예대열, "해방 직후 북한의 재정ㆍ금융 상황과 임시 재정 대책" 한국사학회 (138) : 305-350, 2020

      4 곽경상, "해방 이후 울산 공업항 건설을 둘러싼 논의와 추진과정" 부산경남사학회 (120) : 123-155, 2021

      5 박창희, "해방 이후 북한의 선전선동조직과 활동(1945-1950년)" 한국민족운동사학회 (107) : 189-234, 2021

      6 박창희, "해방 이후 북한의 군중문화사업 연구(1945~1950)" 국학연구원 (194) : 281-310, 2021

      7 예대열, "해방 이후 북한 조세개혁의 배경과 세목(稅目)의 변화 — 국세를 중심으로 —" 수선사학회 (74) : 275-312, 2020

      8 금보운, "한미 ‘주둔군지위협정(SOFA)’과 주한미군 ‘공간적 권한’의 확장" 역사문화연구소 (80) : 63-92, 2021

      9 김영수, "한국전쟁기의 의료구호기관: 거제 세브란스병원의 개원과 운영" 의학사연구소 24 (24): 39-62, 2021

      10 이송순, "한국전쟁기(1950∼1953년) 해상 여객선 침몰 조난사고" 한국사학회 (144) : 303-352, 2021

      1 김진혁, "해방직후 보건의료체계논쟁과 통일국가 보건의료정책 구상" 대한의사학회 30 (30): 499-546, 2021

      2 윤종문, "해방이후 ‘국비 미국유학생’의 탄생" 한국사학회 (141) : 247-290, 2021

      3 예대열, "해방 직후 북한의 재정ㆍ금융 상황과 임시 재정 대책" 한국사학회 (138) : 305-350, 2020

      4 곽경상, "해방 이후 울산 공업항 건설을 둘러싼 논의와 추진과정" 부산경남사학회 (120) : 123-155, 2021

      5 박창희, "해방 이후 북한의 선전선동조직과 활동(1945-1950년)" 한국민족운동사학회 (107) : 189-234, 2021

      6 박창희, "해방 이후 북한의 군중문화사업 연구(1945~1950)" 국학연구원 (194) : 281-310, 2021

      7 예대열, "해방 이후 북한 조세개혁의 배경과 세목(稅目)의 변화 — 국세를 중심으로 —" 수선사학회 (74) : 275-312, 2020

      8 금보운, "한미 ‘주둔군지위협정(SOFA)’과 주한미군 ‘공간적 권한’의 확장" 역사문화연구소 (80) : 63-92, 2021

      9 김영수, "한국전쟁기의 의료구호기관: 거제 세브란스병원의 개원과 운영" 의학사연구소 24 (24): 39-62, 2021

      10 이송순, "한국전쟁기(1950∼1953년) 해상 여객선 침몰 조난사고" 한국사학회 (144) : 303-352, 2021

      11 고선정, "한국전쟁기 휴전회담에서 통역사의 역할에 대한 일고찰" 한국근현대사학회 (94) : 173-197, 2020

      12 김상규, "한국전쟁기 중국인민지원군 노획문서 고찰 -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美 NARA RG242 문서군을 중심으로" 역사문화연구소 (77) : 83-122, 2021

      13 임송자, "한국전쟁기 전남지역 빨치산 활동과 지역민" 동북아역사재단 (67) : 273-322, 2020

      14 한봉석, "한국전쟁기 의료지원 연구: 미 제8군 육군이동외과병원의 활동을 중심으로" 의학사연구소 24 (24): 7-38, 2021

      15 문미라, "한국전쟁기 북한의 전시 보건의료체계 구축과 연변 조선인 사회의 지원" 대한의사학회 29 (29): 503-535, 2020

      16 나상철, "한국전쟁기 보국대의 의미와 성격" 연세사학연구회 45 : 203-242, 2020

      17 정병준, "한국전쟁기 미군이 노획한 ‘북한노획문서’의 구성과 특징" 이화사학연구소 (62) : 265-306, 2021

      18 류기현, "한국전쟁기 미 국무부 정보조사국의 북한 현지 조사와 북한 연구의 태동 : 『북한-소련 위성국가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역사문제연구소 24 (24): 335-372, 2020

      19 홍정완, "한국전쟁과 한국 경제학계의 지적 프레임 변동" 한국학연구소 (59) : 113-170, 2020

      20 윤정란, "한국전쟁과 전남지역 기독교 연구 - 현황과 과제 -" 남도문화연구소 (40) : 201-231, 2020

      21 정준영, "한국전쟁과 냉전의 사회과학자들-한국전쟁의 경험은 어떻게미국 냉전 사회과학의 일부가 되었는가?-" 한국학연구소 (59) : 97-132, 2020

      22 이임하, "한국전쟁, 서울역 세브란스의 재건" 의학사연구소 24 (24): 63-89, 2021

      23 임송자, "한국전쟁 초기 조선인민군의 호남지역 점령과정과 여수순천학도병" 한국민족운동사학회 (107) : 235-269, 2021

      24 유상수, "한국전쟁 전후 이승만의 사적통치기반 형성과 변화" 호남사학회 (82) : 273-300, 2021

      25 박광명, "한국전쟁 이후 제조업 복구 논의와 중소기업개발계획의 도입" 한국민족운동사학회 (104) : 271-312, 2020

      26 임재근, "한국전쟁 영상과 또 다른 대전지역사 쓰기: 교량과 철도 파괴 영상을 중심으로" 역사학연구소 (41) : 31-67, 2021

      27 이상록, "한국의 자유민주주의와 『사상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0

      28 이동원, "한국군의 베트남전 ‘작전권’ 협상과 한미동맹의 현실" 수선사학회 (71) : 229-256, 2020

      29 신상구, "한국군의 베트남 파병과 미군 유격교리의 수용 과정" 육군군사연구소 (149) : 285-318, 2020

      30 박명림, "한국과 조선: 한조관계의 역사·이론·방향 - 남북관계의 종식을 위하여" 국학연구원 (190) : 25-65, 2020

      31 홍정완, "한국 사회과학의 기원: 이데올로기와 근대화의 이론 체계" 역사비평사 2021

      32 염복규, "하이모더니즘의 바벨탑 -청량리 개발과 대왕코너 화재사고-" 한국사학회 (144) : 353-388, 2021

      33 김일환, "지역에서의 ‘부랑인’ 수용과 민간 사회복지 — 1960-70년대 부산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사학회 (129) : 61-105, 2021

      34 금보운, "주한미군기지 인접 지역 내 미군경찰의 활동과 의미 (1954~1970년)" 수선사학회 (74) : 313-347, 2020

      35 류기현, "주월한국군의 대민관계: 참전 군인들의 구술 증언을 중심으로" 한국구술사학회 11 (11): 47-87, 2020

      36 김선호, "조선인민군: 북한 무력의 형성과 유일체제의 기원" 한양대학교출판부 2020

      37 윤시원, "제1공화국기(1948~1960) 육군 예비전력 동원체제의 형성"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114) : 1-36, 2020

      38 이혜영, "제1공화국기 장면 세력의 형성과 노선・활동" 한국사학회 (142) : 163-204, 2021

      39 신창훈, "제1, 2공화국기 민주당 신파의 형성과 이완" 역사문제연구소 25 (25): 275-312, 2021

      40 박수현, "점령기 미군정의 공보 활동과 선전 담론" 서울대학교 2021

      41 박광명, "전후복구기(1954∼1956) 중소기업개발계획의 전개와 성격" 한국근현대사학회 (95) : 355-388, 2020

      42 박광명, "전후복구 이후(1957∼1958) 중소기업개발계획의 운영과 성격" 한국근현대사학회 (98) : 215-251, 2021

      43 이병준, "전후 비료 공장 건설 계획과 전개 — 충주 비료 공장 건설 계획을 중심으로 —" 수선사학회 (74) : 117-148, 2020

      44 이정은, "전태일의 ‘태일피복’ 구상과 1960~70년대 평화시장 봉제업계" 역사문제연구소 25 (25): 485-522, 2021

      45 정찬대, "전쟁포로의 또 다른 경계 — 한국전쟁기 빨치산 포로수용소 연구" 한국사회사학회 (132) : 129-176, 2021

      46 이임하, "전염병 전쟁 - 한국전쟁과 전염병 그리고 동아시아 냉전 위생지도" 철수와영희 2020

      47 임송자, "전국광산노동조합 동원탄좌지부의 조직 활동과 사북사건" 수선사학회 (75) : 311-342, 2021

      48 김진흠, "자유당 중앙정치훈련원의 개원과 성격 변화" 서울역사편찬원 (105) : 223-252, 2020

      49 임다은, "유엔한국재건단(UNKRA)의 조직과 활동"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66 : 2020

      50 곽경상, "울산의 도심과 분리된 생활공간 형성과 사회적 대응 –사택과 공단주변마을을 중심으로" 도시사학회 (25) : 7-38, 2020

      51 소현숙, "우생학의 재림과 ‘정상/비정상’의 폭력―가족계획사업과 장애인 강제불임수술" 역사문제연구소 (132) : 259-294, 2020

      52 정경운, "오월항쟁과 여성의 증언― ‘밥’과 ‘총’의 서사를 중심으로 ―" 호남학연구원 (70) : 1-46, 2021

      53 서해숙, "여순사건 경험담의 구술양상과 기억의 역사로서의 의미 -전남 곡성군을 중심으로-" 남도민속학회 (41) : 67-103, 2020

      54 소현숙, "신체에 각인된 전쟁의 상처와 치유: 한국전쟁기 노근리 피해자 구술에서 나타난 장애와 젠더" 국학연구원 (197) : 199-224, 2021

      55 홍정완, "신진 연구자들에 의한 남·북 현대사 연구의 진전과 확장: 2018~2019년 한국현대사 연구 동향" 역사학회 (247) : 87-134, 2020

      56 김영미, "서울 정릉리 주민들의 6·25전쟁 경험-김성칠의 일기자료 『역사 앞에서』를 중심으로" 서울역사편찬원 (107) : 189-235, 2021

      57 위가야, "삼한 · 삼국 분국설의 구상과 파급" 한국사학회 (137) : 89-124, 2020

      58 김성보, "비판적 한반도학의 시각으로 본 북조선 연구 - 탈분단시대 지역학의 탐색" 국학연구원 (190) : 1-24, 2020

      59 조수룡, "북한의 제1차 5개년계획(1957~61) 초안과 탈소련화의 개시" 역사학회 (249) : 183-215, 2021

      60 정다혜, "병원에서 마을로 — 거제 지역사회건강사업으로 본 1970년대 의료 소외지역의 지역보건 실험" 한국사회사학회 (129) : 107-146, 2021

      61 이신재, "베트남전쟁기 한국형 전투식량개발과정 고찰"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114) : 37-69, 2020

      62 이신재, "베트남전쟁기 한국 종군기자의 파견과 활동 고찰" 화랑대연구소 76 (76): 127-150, 2020

      63 이동원, "베트남전쟁기 PX와 군표의 정치경제학" 한국역사연구회 (116) : 67-102, 2020

      64 이상호, "베트남전쟁 파병 국군 전사자 현황과 국내 언론 보도" 한국역사연구회 (116) : 103-126, 2020

      65 이은희, "박정희 시대 육아용 분유의 국산화" 국학연구원 (196) : 447-487, 2021

      66 최정기, "민주화프레임과 학생운동네트웍, 그리고 5·18민중항쟁 — 1980년 전남대 학생운동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사학회 (127) : 185-218, 2020

      67 이상록, "민주주의는 개발주의에 어떻게 잠식되어왔는가―1960년대 한국 지성계의 ‘발전’에 대한 강박" 역사문제연구소 (134) : 174-217, 2021

      68 허영란, "민주시민교육과 새로운 지역사 교육" 역사교육학회 (75) : 3-33, 2020

      69 이송순, "미군정기 한국 농업 기술기구의 변천과 농업 기술관료" 한국사학회 (137) : 421-468, 2020

      70 김도민, "미군정기 아동노동법규와 미성년자노동보호법" 역사문제연구소 (132) : 295-328, 2020

      71 권오수, "미군정기 미군의 석유 운영과 석유배급회사의 활동" 역사와교육학회 (33) : 313-348, 2021

      72 박훈창, "미군정기 귀속재산 처리와 관재처의 역할" 서울대학교 2020

      73 김봉국, "로컬에서 6월항쟁을 다시보기: 전남대학교 학생운동을 중심으로" 한국민주주의연구소 (42) : 132-171, 2020

      74 김봉국, "로컬에서 1991년 5월투쟁을 다시 보기 광주지역을 중심으로" 호남사학회 (83) : 189-230, 2021

      75 장미현, "데려온 계집아이, 여성 이소선이 되다." 한국사연구회 (191) : 55-88, 2020

      76 김태우, "냉전의 마녀들: 한국전쟁과 여성주의 평화운동" 창비 2021

      77 이상록, "냉전시기 한국 사회의 화교 차별과 경계인으로서의 화교의 삶" 한국구술사학회 11 (11): 83-136, 2020

      78 이은희, "냉전기 한국 가발공의 탄생(1963~1970)" 역사문제연구소 (135) : 394-425, 2021

      79 곽경상, "근현대 시기 순천의 성장과 도시계획의 전환" 연세사학연구회 48 : 597-632, 2021

      80 노영기, "그들의 5·18 - 정치군인들은 어떻게 움직였나" 푸른역사 2020

      81 이재석, "군정기(1961~63) 언론 정책과 통치―정화, 검열, 기업화" 역사문제연구소 (135) : 138-171, 2021

      82 이정은, "군사정부, 부정축재 대자본가들을 만나다" 역사문제연구소 (135) : 44-74, 2021

      83 김재웅, "고백하는 사람들: 자서전과 이력서로 본 북한의 해방과 혁명, 1945~1950" 푸른역사 2020

      84 조수룡, "경합하는 ‘혁명전통’ -북한 초기 역사학계의 민족해방운동사 이해와 재구축-" 한국사학회 (137) : 125-162, 2020

      85 김정란, "경계, 침입, 그리고 배제 : 1946년 콜레라 유행과 조선인 밀항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5) : 1-38, 2021

      86 정윤영, "개발 주체들의 불화와 농가의 기회 : 박정희 정부 시기 기업형 축산정책의 굴절, 1964-1969" 역사문제연구소 24 (24): 373-409, 2020

      87 이정빈, "『조선사 개요』(1957)의 早期 봉건사회설과 김일성종합대학 조선사강좌" 한국사학회 (137) : 49-88, 2020

      88 장미현, "“일할 권리를 청구합니다”- 1980년대 전반기 고용차별 비판과 여성들의 실천 -" 한국사학회 (138) : 351-392, 2020

      89 정용욱, "‘정사’ 대 ‘비사’―1950년대 미국의 6·25전쟁사 연구와 냉전문화" 역사문제연구소 (131) : 345-381, 2020

      90 오제연, "‘기독 청년’ 전태일과 전태일의 역사화" 역사문제연구소 (133) : 159-196, 2020

      91 이재근, "‘교회로 간 한국전쟁’-한국전쟁과 전북 김제지역 개신교-" 한국기독교역사학회 (54) : 195-232, 2021

      92 김선호, "6․25전쟁기 북한 심리전의 체계와 인적 자원" 국학연구원 (192) : 175-206, 2020

      93 장경호, "6·25전쟁기 카투사 제도 운영과 대한민국 육군 배치" 한국근현대사학회 (96) : 231-259, 2021

      94 나상철, "6·25전쟁기 노무단의 구성과 활동"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115) : 1-44, 2020

      95 이동원, "6·25전쟁과 한국 보건의학계 및 보건학의 형성" 동국역사문화연구소 (69) : 339-374, 2020

      96 오가타 요시히로, "6.25전쟁과 재일동포 참전 의용병 이승만 정부의 인식과 대응을 중심으로" 아세아문제연구원 63 (63): 117-157, 2020

      97 전현수, "6.25전쟁 전후 영덕군에서의 민간인 학살" 대구사학회 140 : 171-206, 2020

      98 전현수, "6.25전쟁 전후 시기 민간인 학살 연구 - 경상북도 예천군을 중심으로" 한국학연구소 55 : 351-388, 2021

      99 노영기, "5・18항쟁기 ‘폭도(暴徒)’의 등장과 적용" 수선사학회 (73) : 253-288, 2020

      100 권혁은, "5․18 항쟁기 시위 진압의 기원 - 충정훈련, 특전사, 그리고 대반란(counterinsurgency) 전략" 역사문제연구소 25 (25): 11-48, 2021

      101 강남진, "5·18민주화운동에서 청소년의 참여 - 1970년대 후반 광주의 민주화운동과 연계하여 -" 호남사학회 (78) : 109-135, 2020

      102 김봉국, "5·18, ‘진실’의 레짐과 계보학" 비판사회학회 (126) : 47-77, 2020

      103 임선화, "5·18 광주민중항쟁에서 구속된 여성 활동가 이야기 – 홍보 활동가를 중심으로" 호남사학회 (77) : 271-296, 2020

      104 조민지, "5·16 쿠데타와 ‘서비스’의 젠더정치" 역사문제연구소 (135) : 109-137, 2021

      105 오제연, "5·16 군사정부와 그 정책들" 역사문제연구소 135 : 2021

      106 김수향, "5·16 군사정권기 ‘중농 정책’ 다시 보기―농어촌 고리채 정리법과 농산물 가격유지법을 중심으로" 역사문제연구소 (135) : 75-108, 2021

      107 김세림, "1980년대 광산사고 후 강원도 민영탄좌의 ‘화해’ 과정과 탄광 노동자의 선택" 한국사학회 (144) : 479-514, 2021

      108 역사문제연구소민중사반사북팀, "1980년 사북 항쟁과 일상의 사회사" 도서출판 선인 2021

      109 이정선, "1980년 광주항쟁과 도시 빈민 - 어디서 와서 어디로 사라졌는가" 역사문제연구소 25 (25): 49-89, 2021

      110 고태우, "1970년대 한국의 공해(公害) 상황과 재난 인식" 한림과학원 (28) : 7-52, 2021

      111 배석만, "1970년대 초 조선산업의 수출전문산업 전환기 국가와 기업 — 대한조선공사 옥포(玉浦)조선소 건설계획 추진과정 분석" 인문학연구원 78 (78): 357-385, 2021

      112 한봉석, "1970년대 주한 케아(C .A .R .E .)의 ‘종합급식계몽교육사업’ 연구 저개발국 여성의 몸에 기입된 냉전과 젠더, 그리고 과학" 한국근현대사학회 (99) : 213-251, 2021

      113 김동주, "1970년대 박정희 정권의 원료농산물 증산정책과 가공기업의 활동 - 주정기업의 고구마 수급을 중심으로 -" 한국사연구회 (188) : 363-409, 2020

      114 배석만, "1970년대 대한조선공사의 옥포조선소 건설과정 ‒ 중화학공업화 정책 하의 국가와 기업 ‒" 한국경영사학회 36 (36): 93-116, 2021

      115 황병주, "1970년대 ‘복부인’의 경제적 표상과 문화적 재현" 한국사학회 (140) : 505-540, 2020

      116 신재준, "1970년 전후 공해(公害)의 일상화와 환경권 인식의 씨앗" 역사문제연구소 25 (25): 523-555, 2021

      117 김도민, "1961~1963년 군사정부의 중립국 외교의 전개와 성격" 역사문제연구소 (135) : 18-43, 2021

      118 허은, "1960년대 후반기 냉전·분단체제의 변동과 한국의 안보관 재정립" 아세아문제연구원 63 (63): 9-46, 2020

      119 곽경상, "1960년대 후반 울산 도시계획의 변경과 ‘차등화’된 공간 개발" 한국사회사학회 (131) : 135-173, 2021

      120 도면회, "1960년대 한국의 근대화론 수용과 인문학계의 변화" 한국역사연구회 (120) : 303-348, 2021

      121 이휘현, "1960년대 초반 미국의 대외원조정책 조정과 대한원조의 ‘정상화’" 규장각한국학연구원 (92) : 295-331, 2020

      122 한봉석, "1960년대 미공법 480호 2관과 3관 원조의 의미 — 주한 케아의 ‘근로를 위한 식량’(Food for Work)을 중심으로 —" 수선사학회 (74) : 73-115, 2020

      123 권혁은, "1960년대 미 대한경찰원조의 전개 — 경찰 ‘현대화’와 대반란전(counterinsurgency) 수행 —" 수선사학회 (74) : 149-171, 2020

      124 김봉국, "1960년대 ‘호남푸대접’ 담론과 로컬리티" 역사학연구소 (39) : 255-298, 2020

      125 김아람, "1960~80년대 사회정화와 여성 수용" 한국사회사학회 (129) : 147-180, 2021

      126 김아람, "1960~70년대 한센인 정착촌의 형성과 ‘자활’의 한계" 국학연구원 (194) : 53-87, 2021

      127 조민지, "1960~70년대 버스안내원과 ‘서비스’ 노동의 성별화" 역사문제연구소 (133) : 197-223, 2020

      128 박광명, "1957년 미국 회계감사원의 대한경제원조 감사와 한국 국회의 대응" 한국사학회 (141) : 291-330, 2021

      129 이동원, "1953~1955년 아이젠하워 행정부의 상호안전보장계획(MSP)과 대한(對韓) ‘평시(平時) 군사원조’의 재개" 수선사학회 (74) : 37-71, 2020

      130 김수향, "1950년대 후반 이승만 정권의 농업정책과 그 한계" 역사문제연구소 24 (24): 201-246, 2020

      131 이주호, "1950년대 후반 소련 대외경제연락위원회(ГКЭС) 주북한대표부의 조직과 활동" 한국사연구회 (193) : 303-335, 2021

      132 이정은, "1950년대 후반 경영능력 제고 시스템의 가동과 ‘현대’ 경영자 양성" 한국사연구회 (188) : 31-71, 2020

      133 이동원, "1950년대 한국의 ‘평화를 위한 원자력’ 기술 도입과 냉전적 변용" 역사문제연구소 24 (24): 163-199, 2020

      134 김재웅, "1950년대 중반 북한의 경제난과북소 관계의 균열" 역사연구소 (104) : 137-172, 2021

      135 이세영, "1950년대 소련 영향력의 증감과 북한 노동자의 대응" 국학연구원 (193) : 269-298, 2020

      136 문미라, "1950년대 북한의 한국전쟁 참전군인 보훈정책과 그 특징" 역사와교육학회 (32) : 65-93, 2021

      137 윤시원, "1950년대 병역형평성 논쟁과 병역법 개정" 수선사학회 (71) : 197-227, 2020

      138 이정은, "1950년대 나일론 유행의 정치경제적 조건과 자본의 대응" 호서사학회 (100) : 317-356, 2021

      139 임광순, "1950~60년대 전태일 가족의 서울 이주와 정착" 역사문제연구소 (133) : 124-158, 2020

      140 이준성, "1950~60년대 『조선통사(상)』 간행과 북ㆍ소 역사학계 갈등" 한국사학회 (137) : 7-48, 2020

      141 김대현, "1950~60년대 ‘요보호’의 재구성과 ‘윤락여성선도사업’의 전개" 한국사회사학회 (129) : 7-59, 2021

      142 강성호, "1950-60년대 순천의 지역정치와 6·8부정선거 규탄운동" 남도문화연구소 (40) : 233-260, 2020

      143 정대훈, "1948~1953년의 남한 전력수급대책 — 전원개발계획의 수립과정을 중심으로 —" 수선사학회 (74) : 1-35, 2020

      144 윤종문, "1947년 미군정 문교부 내 ‘중핵적 교원집단’ 양성안의 등장 배경과 그 특징" 한국근현대사학회 (92) : 97-140, 2020

      145 임종명, "1946년 전라북도 지역 콜레라 만연과 정치・경제학" 전북사학회 (61) : 241-280, 2021

      146 임종명, "1946년 전남 제주 지역의 콜레라 발병세와 지역적 질병 문화권" 호남사학회 (81) : 121-180, 2021

      147 임종명, "1946년 서울 지역 콜레라 발병세와 일국적·지역적 중심부/주변부/변경성(性)" 한국사학회 (140) : 453-504, 2020

      148 임종명, "1946년 경기 지역의 콜레라 사태와 종전/해방 직후 국제·일국·지역 정치" 국학연구원 (193) : 229-267, 202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