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직업흥미검사와 나무그림검사의 관계를 파악하여 나무그림검사가 직업흥미검사의 한계점을 보완할 수 있는 도구로 활용할 수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직업흥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2187554
경산 :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10
학위논문(석사) --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 미술치료학 미술치료전공 , 2010. 8
2010
한국어
경상북도
; 26 cm
지도교수: 김갑숙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직업흥미검사와 나무그림검사의 관계를 파악하여 나무그림검사가 직업흥미검사의 한계점을 보완할 수 있는 도구로 활용할 수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직업흥미...
본 연구는 직업흥미검사와 나무그림검사의 관계를 파악하여 나무그림검사가 직업흥미검사의 한계점을 보완할 수 있는 도구로 활용할 수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직업흥미검사의 일관도 지수, 변별도 지수, 긍정반응율과 나무그림 반응의 관계를 파악하여 청소년들이 가장 고민하는 진로문제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D시 소재 중학교 남학생 358명과 K시 소재 여학생 322명이며, 연구도구는 노동부 청소년용 직업흥미검사와 투사검사인 나무그림검사이다. 직업흥미검사와 나무그림검사는 학교 교육과정 일정상 하루에 모두 실시 할 수 없어 일주일 간격을 두고 동일한 시간에 두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두 검사 중 하나가 빠진 경우는 제외시키고 최종 668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8.0 Program을 사용하고, 나무그림검사에서 나타난 나무의 각 형태와 직업흥미검사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직업흥미검사에서 RIASEC 유형을 살펴본 결과 남학생은 탐구형과 예술형에서 높은 흥미를 나타내었으며, 여학생은 현실형과 탐구형에서 높은 반응을 보였다.
둘째, 직업흥미 일관도(CI : Consistency)에 따라서는 줄기와 수관의 폭 비와 옹이 수, 주변 환경 묘사에서 차이가 있었다. 즉 일관도가 중간집단인 경우가 타 집단보다 수관의 높이를 줄기보다 크게 그리는 비율이 높았고, 일관도가 높은 집단이 타 집단보다 옹이를 그리지 않으나, 주변 환경묘사는 많았다.
셋째, 직업 흥미 변별도(DI : Differentiation)에 따라서는 나무크기, 나무위치(수평), 줄기와 수관의 폭 비에서 차이가 있었다. 즉 변별도가 낮은 집단이 타 집단보다 나무를 크게 그리고 용지의 중간에 그리는 경향이 많은 반면, 변별도가 높은 집단이 타 집단보다 수관을 2배 이상 크게 그리는 비율이 높았다.
넷째, 긍정반응율(PRR : Project Rate of Return)에 따라서는 나무위치, 줄기와 수관의 폭비, 옹이수에서 차이가 있었다. 즉 전체적으로 용지의 중간에 그리는 비율이 높으나, 긍정반응율이 낮은 집단은 타 집단보다 용지의 왼쪽에 그리고, 옹이를 그리는 비율이 높은 반면, 긍정반응율이 높은 집단은 타 집단보다 용지의 오른쪽에 그리고, 옹이를 그리지 않는 비율이 높았다.
이상에서와 같이 직업흥미검사와 나무그림검사는 부분적으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직업흥미검사와 나무그림검사의 관계 연구는 첫 시도이기 때문에 연구의 의의가 있으나, 선행연구가 없어 비교 고찰 및 논의를 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앞으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하여 일관된 결과가 밝혀진다면 청소년의 진로지도에 좋은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