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경기도 양평군 땅밀림지의 토양의 물리적 특성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0880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10년 경기도 양평군 자연리에서 발생한 땅밀림 지역의 활동연약대 부근 토양 물리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토양분석을 실시하였다. 우리나라 산지는 기반암 상부의 표토층이 두텁지 않으...

      2010년 경기도 양평군 자연리에서 발생한 땅밀림 지역의 활동연약대 부근 토양 물리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토양분석을 실시하였다. 우리나라 산지는 기반암 상부의 표토층이 두텁지 않으므로 강우가 계속되면 물이 사면에 집중포화되어 점차 하부로 미끌어지기 쉽다. 급격하게 변화하는 기후로 인해 집중호우가 빈번히 발생하여 산지토사재해에 대한 관심과 경각심이 고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산지토사재해 중 하나인 땅밀림의 물리적 특성을 파악하여 땅밀림의 선제적 대응에 대한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땅밀림의 평균 경사는 10.2°로 경사가 완만한 지형에서 발생하였다. 땅밀림의 활동연약대 단차지역의 상부와 하부지역을 분석한 후 과학적으로 비교하였다. 토양 삼각도를 이용하여 토양 형태를 판별한 결과, 미사토양, 점토성 모래토양, 모래토양 등으로 다양하였으며, 토양경도에 있어서 땅밀림지의 상부면의 경우 평균 18.74kgf/cm2, 하부면의 경우 평균 21.51 kgf/cm2 로 분석되었다. 땅밀림지의 상부면의 붕적토가 교란되어 경도가 낮게 형성되어 있었고, 단차로 붕괴되어 사면이 와해된 결과로 판단된다. 특히 인장균열 및 단차로 영향받은 하부 지역은 경도가 높으면서 토심이 깊게 측정되어 땅밀림에 취약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단차가 발생된 활동연약대에 대해서 대책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2010, soil analysis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physical characterisics of the soil near the active weak zones in landcreep area that occurred in jayeon-ri, Yangpyeong-gun, Gyeonggi-do. In the mountainous areas of Korea, the topsoil layer above...

      In 2010, soil analysis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physical characterisics of the soil near the active weak zones in landcreep area that occurred in jayeon-ri, Yangpyeong-gun, Gyeonggi-do. In the mountainous areas of Korea, the topsoil layer above the bedrock is not thick, so if rainfall continues, the water is intensively saturated on the slope and is likely to slide gradually downward. Due to the rapidly changing climate, torrential rain frequently occurs, and interest and alarm about mountainous soil disasters are increasing.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the necessity of a preemptive response to the land forest by graspi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landcreep, which is one of the mountainous soil disasters. The average slope of the landcreep was 10.2°, which occurred in a terrain with a gentle slope. After analyzing the upper and lower areas of the active weak zones in landcreep with cracks and steps were analyzed and compared scientifically. As a result of determining the soil shape by using the soil trigonometric map, it was analyzed as mass soil, clay sand soil, and sand soil, and in terms of soil hardness, it was analyzed as an average of 18.74 kgf/cm2 for the upper surface of the landcreep and an average of 21.51 kgf/cm2 for the lower surface. It is judged that the result was that the hardness was formed low due to disturbance of the boronic soil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andcreep, and it was collapsed by the steps and the slop was collapesd. In particular, since the lower areas affected by tensile cracks and steps have high hardness and deep soil depth, it is vulnerable to ground pushing, it is necessary to prepare measures for the activity weak zone where steps and tensile cracks have occurr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론
      • 재료 및 방법
      • 1. 연구대상지
      • 2. GIS 분석
      • 3. 토양특성 분석
      • 서론
      • 재료 및 방법
      • 1. 연구대상지
      • 2. GIS 분석
      • 3. 토양특성 분석
      • 결과 및 고찰
      • 1. 연구대상지의 임상 및 지형 특성
      • 2. GIS분석
      • 3. 토양의 물리적특성 분석
      • 감사의 글
      • Reference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