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정신지체인의 직업재활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충남 지역을 대상으로 = A study on mentally retarded persons' actual condition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and reform direc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89337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정신지체인의 직업재활 실태와 개선방안을 위해 직업재활의 실태를 살펴봄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정신지체인의 효과적인 직업재활교육 방향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는 직업재활의 실태를 파악하여 직업재활의 개선방안과 새로운 프로그램 모델의 주안점을 두고 설계하였으며, 이를 위해 충남지역 내에 소재 하는 장애인 복지관 6개 기관과 직업재활 사업 기금으로 운영되고 있는 직업재활센타 2개 기관에 의해 취업이 예정되어 있거나 또는 취업( 이직·실직 포함)의 경험이 있는 정신지체인과 직업재활시설 4개 기관의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정신지체인 109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첫째,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빈도분석은 조사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 직업재활의 현황과 실태 부문에서 명명척도(nominal scale)로 구성된 자료를 이용하여 자료의 전체적인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둘째, 교차분석(crosstabs analysis)은 명명척도로 구성된 자료를 이용하여 두 변수간의 상호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이용하였다.
      셋째, 일원배치 분산분석 (One-way ANOVA)을 실시하여 정서적인 측면과 직무 만족도에 얼마나 도움이 되는 가의 프로그램의 효율화 방안, 고용촉진과 안정에 대한 방안 강구와의 상호관련성 특성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밝혀보고자 사용하였다.
      이에 따른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지체인의 직업생활 안정, 직업훈련 및 직업재활을 위해 필요로 하는 지원사항, 직무관련 기능 부족으로 기능훈련에 다양한 프로그램을 요구하고 있으므로 프로그램 개발이 요망된다.
      둘째, 전반적으로 직업재활시설 및 프로그램 부족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으나, 정신지체인의 직업훈련에 대한 요구사항으로 현장중심의 직업훈련과 다양한 훈련직종개발을 요구하도록 현장중심의 직업훈련을 할 수 있는 시설의 확충과 새로운 훈련직종개발을 요망하고 있다.
      셋째, 정신지체인의 직업생활의 개선점은 다양한 업무경험과 의사소통 등을 요구함으로서 현장 훈련을 통한 다양한 업무경험을 통한 훈련이 요망되고 있다.
      넷째, 정신지체인의 효과적인 사후지도를 위해서는 그들을 훈련하고 취업을 알선한 곳에서 직접 지도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다섯째, 정신지체인의 직업재활을 위하여 정부에 대한 요구사항으로는 장애인에 대한 인식 개선과 직업 능력개발을 위하여 정부차원의 투자 확대와 정책적 제도적 지원 확대, 전문교사의 양성, 직업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과 폭 넓은 연구가 활성화되어야 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정신지체인의 직업재활 실태와 개선방안을 위해 직업재활의 실태를 살펴봄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정신지체인의 효과적인 직업재활교육 방향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

      본 연구는 정신지체인의 직업재활 실태와 개선방안을 위해 직업재활의 실태를 살펴봄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정신지체인의 효과적인 직업재활교육 방향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는 직업재활의 실태를 파악하여 직업재활의 개선방안과 새로운 프로그램 모델의 주안점을 두고 설계하였으며, 이를 위해 충남지역 내에 소재 하는 장애인 복지관 6개 기관과 직업재활 사업 기금으로 운영되고 있는 직업재활센타 2개 기관에 의해 취업이 예정되어 있거나 또는 취업( 이직·실직 포함)의 경험이 있는 정신지체인과 직업재활시설 4개 기관의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정신지체인 109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첫째,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빈도분석은 조사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 직업재활의 현황과 실태 부문에서 명명척도(nominal scale)로 구성된 자료를 이용하여 자료의 전체적인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둘째, 교차분석(crosstabs analysis)은 명명척도로 구성된 자료를 이용하여 두 변수간의 상호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이용하였다.
      셋째, 일원배치 분산분석 (One-way ANOVA)을 실시하여 정서적인 측면과 직무 만족도에 얼마나 도움이 되는 가의 프로그램의 효율화 방안, 고용촉진과 안정에 대한 방안 강구와의 상호관련성 특성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밝혀보고자 사용하였다.
      이에 따른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지체인의 직업생활 안정, 직업훈련 및 직업재활을 위해 필요로 하는 지원사항, 직무관련 기능 부족으로 기능훈련에 다양한 프로그램을 요구하고 있으므로 프로그램 개발이 요망된다.
      둘째, 전반적으로 직업재활시설 및 프로그램 부족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으나, 정신지체인의 직업훈련에 대한 요구사항으로 현장중심의 직업훈련과 다양한 훈련직종개발을 요구하도록 현장중심의 직업훈련을 할 수 있는 시설의 확충과 새로운 훈련직종개발을 요망하고 있다.
      셋째, 정신지체인의 직업생활의 개선점은 다양한 업무경험과 의사소통 등을 요구함으로서 현장 훈련을 통한 다양한 업무경험을 통한 훈련이 요망되고 있다.
      넷째, 정신지체인의 효과적인 사후지도를 위해서는 그들을 훈련하고 취업을 알선한 곳에서 직접 지도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다섯째, 정신지체인의 직업재활을 위하여 정부에 대한 요구사항으로는 장애인에 대한 인식 개선과 직업 능력개발을 위하여 정부차원의 투자 확대와 정책적 제도적 지원 확대, 전문교사의 양성, 직업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과 폭 넓은 연구가 활성화되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the directions of effective vocational rehabilitation through grasps the mentally retarded persons' actual condition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We made up a question for mentally retarded persons who are expected to get the job or have gotten the job by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s of welfare facilities in Daejeon and Chungn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should be developed various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for mentally retarded persons.
      Second, it should be developed various kinds of vocational training and expanded facilities which are able to do vocational training of field center.
      Third, it is needed training by various business experiences, because it is necessary to communication and various occupational careers in mentally retarded persons' vocational life.
      Forth, the institutes which trained mentally retarded persons and introduced job to them should instruct them directly for their effective ex post facto guidance
      Fifth, the government should revitalize research, program development and special teachers' voluntary vocational education for the reform of understanding for the handicapped persons and improvement their job abilit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the directions of effective vocational rehabilitation through grasps the mentally retarded persons' actual condition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We made up a question for mentally retarded persons who are 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the directions of effective vocational rehabilitation through grasps the mentally retarded persons' actual condition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We made up a question for mentally retarded persons who are expected to get the job or have gotten the job by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s of welfare facilities in Daejeon and Chungn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should be developed various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for mentally retarded persons.
      Second, it should be developed various kinds of vocational training and expanded facilities which are able to do vocational training of field center.
      Third, it is needed training by various business experiences, because it is necessary to communication and various occupational careers in mentally retarded persons' vocational life.
      Forth, the institutes which trained mentally retarded persons and introduced job to them should instruct them directly for their effective ex post facto guidance
      Fifth, the government should revitalize research, program development and special teachers' voluntary vocational education for the reform of understanding for the handicapped persons and improvement their job abil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제I장 서론 = 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 1
      • 제2절 연구의 목적 = 2
      • 제3절 연구의 한계 = 3
      • 목차
      • 제I장 서론 = 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 1
      • 제2절 연구의 목적 = 2
      • 제3절 연구의 한계 = 3
      • 제II장 이론적 배경 = 4
      • 제1절 정신지체의 개념 및 원인 = 4
      • 제2절 정신지체인과 직업재활 = 8
      • 제III장 연구방법 = 22
      • 제1절 연구 설계 = 22
      • 제2절 조사대상자 및 자료수집 = 22
      • 제3절 조사 도구 = 22
      • 제4절 자료분석 방법 = 23
      • 제IV장 결과 = 24
      • 제1절 사회인구학적 특성 = 24
      • 제2절 직업훈련시설에 관한 사항 = 37
      • 제3절 직업재활서비스에 대한 욕구, 문제점 및 개선방안 = 44
      • 제V장 결론 및 제언 = 48
      • 참고문헌 = 50
      • ABSTRACT = 52
      • 부록(설문지) = 5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