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0년간의 빅데이터를 활용한 국립과학관에 대한 대중 인식 분석 = Analysis of the Public Perception of the National Science Museum using 10 Years of Big Dat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6012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perspective and frame of how visitors feel and respond to the National Science Museum based on Naver and Daum science museum-related blogs and cafes over the past 10 years (2013-2022) to find out what the National Science Museu...

      This study analyzed the perspective and frame of how visitors feel and respond to the National Science Museum based on Naver and Daum science museum-related blogs and cafes over the past 10 years (2013-2022) to find out what the National Science Museum means to the public at this point. First, the results of the study confirm that the public visits science museums and museums according to their functions and roles, but they are recognized as a large range of macro behaviors of travel, not microscopic behaviors. Second, the public was very interested in overseas science museums, but it was confirmed that through the COVID-19 era, interest in domestic science museums naturally increased more than overseas science museums. This is expected to be an opportunity to change the public's perception of the National Science Museum and increase the influx of visitors. Third, in addition to the role of disseminating science and technology knowledge in the region, the National Science Museum serves as a local resource and cultural landmark,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local tourism. These research results can be provided as basic data when establishing policies such as enhancing the image of the National Science Museum and deriving directions in the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국립과학관이 대중들에게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알아보고자 10년간(2013∼2022)의 네이버와 다음의 과학관 관련 블로그·카페 글을 기반으로 관람객이 국립과학관에 대하여 어떻게 ...

      이 연구는 국립과학관이 대중들에게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알아보고자 10년간(2013∼2022)의 네이버와 다음의 과학관 관련 블로그·카페 글을 기반으로 관람객이 국립과학관에 대하여 어떻게 느끼고 대응하는지에 대한 관점과 프레임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대중들이 과학관과 박물관을 그 기능과 역할에 따라 방문하기도 하지만, 미시적인 행태가 아닌 여행이라는 큰 범위의 거시적 행태로 인식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대중들은 해외 과학관에 많은 관심이 있었지만 코로나19 시대를 거치며 국외 과학관보다 자연스레 국내 과학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대중들의 국립과학관에 대한 인식을 전환하고, 관람객 유입을 늘릴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셋째, 국립과학관이 그 지역 내에서의 과학기술 지식을 보급하는 역할 외에도, 지역 자원이자 문화적 랜드마크 성격의 역할을 하고 있어 지역 관광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국립과학관 이미지 제고, 방향 도출 등의 정책 수립 시 기초자료로 제공할 수 있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