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공간 관계적 관점에서의 바라본 유아교육기관 실외공간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 = A review of studies on the outdoor spa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institutions in terms of children-space relationship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323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outdoor spac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from the relational point of view, where space is defined as ‘a fluid state’ emerging throughout a continual interaction between the human and non human actor. For thi...

      This study examines the outdoor spac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from the relational point of view, where space is defined as ‘a fluid state’ emerging throughout a continual interaction between the human and non human actor. For this purpose, relevant studies recently published in Korea, Japan, and Europe were searched and review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two different aspects of the young children interacting with outdoor space: giving meaning to the outdoor space and experiencing it with their body(corps parlant). Second, the outdoor space affects young children’s behavior and play in two ways: outdoor space plays a role in promoting the child-child-teacher relationship and leading children’s creative play. Third, the teacher has two conflicting perceptions of outdoor space: some recognized the outdoor space as an ‘open space’ where the young children are subjectively involved, whereas others saw it as a ‘contained place’ where the children's behavior is forced by the given space. Last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irections for the composition of the outdoor space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opo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공간을 사회적 상호관계물로 바라보는 관계적 공간 담론을 토대로 유아-공간의관계적 관점에서 유아교육기관의 실외공간에 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와실외...

      본 연구는 공간을 사회적 상호관계물로 바라보는 관계적 공간 담론을 토대로 유아-공간의관계적 관점에서 유아교육기관의 실외공간에 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와실외공간과의 상호관계성에 기초하여 최근 국내·외 선행 연구물을 검색‧검토하여 다음과 같은내용을 도출하였다. 먼저 유아가 공간에 관계하는 측면에서의 양상은 유아에 의해 의미가 부여되는 실외공간, 유아의 ‘몸’으로 체험되는 실외공간이다. 다음으로 실외공간이 유아 행위에 작용하는 양상은 다양한 상호적 관계 생성을 촉진하는 실외공간, 유아의 창발적 놀이를 이끌어내는 실외공간이다. 마지막으로 유아-공간의 상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의 인식은 유아가주체적으로 실외공간과 관계 맺도록 지원하는 열린 공간 인식과 주어진 공간에 의해 유아 행위가 강요되는 절대적 공간 인식으로 드러났다. 이같이 정리된 내용을 토대로 유아-공간의 관계적 관점에서 유아교육기관 실외공간의 구성 방향과 추후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