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상법상 담보제공제도와 민사소송법상 담보제공제도의 비교연구 - 주주대표소송상 담보제공제도를 중심으로 - = Comparative Study on the Security Posting Systems in between Commercial Act and Civil Procedure Act - Focusing on its System in the Shareholder Derivative Suit -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uch discussions and studies on the posting of security when filing the corporate litigation, especially the derivative suit, have yet to be expected in Korea in terms of both the procedural issues in practice and the systemʼs functions.
      In the shareholder derivative suit the posting of security against the possible award of attorneyʼs fees and costs will be expected to hopefully dissuade minority shareholders from filing the potential abusive derivative suits with questionable merit like the strike suits or the nuisance suit brought for settlement value. The posting of security as a condition to maintaining a derivative action prescribed in the Commercial Act Article 403(7) by mutatis mutandis of the Article 176(3),(4) is equivalent to that of the lawsuit pursuant to the other Acts stipulated in the Civil Procedure Act Article 127.
      Heretofore the posing of security in the derivative suit has not been systematically and structurally understood in connection with the that of the civil procedural law due to the rarity of the interdisciplinary study on the general civil procedural security posting system.
      Some radical change has been gone through since the amendment of the security posting system in the Civil Procedure Act as of July 23, 2010. In addition to the traditional requirement of no domicile, office or business place in Korea on the part of the plaintiff, the court shall order the plaintiff to post security on the defendantʼs motion or ex officio(by its own motion) where it is recognized that furnishing security for the costs of the lawsuits is necessary because it is obvious that the claim is groundless based on the complaints, briefs, or the other records on lawsuit [Civil Procedure Act Article 117(1),(2)].
      Therefore by virtue of the expanding application of the civil procedural posting system, there needs more accurate theoretical and practical recognitions on the difference of the security posting systems between the Commercial Act and the Civil Procedure Act in furtherance of managing the efficient and effective security posting system in the derivative suit. Especially the concept of ʻmalicious intentʼ in the derivative suit has been fully established in relation to or in the context of the obviousness of groundlessness of the claim in the general civil litigation in the management of furnishing security system, while taking into account the deterrent or chilling effect on the abusiveness of the striking derivative suit as well as encouraging effect on the furtherance of the legitimate derivative suit.
      The courts have wide discretion over whether to order or to what extent the plaintiff shareholders to post security. The Supreme Court shall be advised to establish the rule aimed at clearly providing the standardized amount of relevant security for the plaintiff shareholder to post in the course of initiating the derivative suit when a defendant can reasonably prove that a plaintiff brought a derivative suit with malicious intent, in order to ensure the foreseeability of the parties.
      번역하기

      Much discussions and studies on the posting of security when filing the corporate litigation, especially the derivative suit, have yet to be expected in Korea in terms of both the procedural issues in practice and the systemʼs functions. In the shar...

      Much discussions and studies on the posting of security when filing the corporate litigation, especially the derivative suit, have yet to be expected in Korea in terms of both the procedural issues in practice and the systemʼs functions.
      In the shareholder derivative suit the posting of security against the possible award of attorneyʼs fees and costs will be expected to hopefully dissuade minority shareholders from filing the potential abusive derivative suits with questionable merit like the strike suits or the nuisance suit brought for settlement value. The posting of security as a condition to maintaining a derivative action prescribed in the Commercial Act Article 403(7) by mutatis mutandis of the Article 176(3),(4) is equivalent to that of the lawsuit pursuant to the other Acts stipulated in the Civil Procedure Act Article 127.
      Heretofore the posing of security in the derivative suit has not been systematically and structurally understood in connection with the that of the civil procedural law due to the rarity of the interdisciplinary study on the general civil procedural security posting system.
      Some radical change has been gone through since the amendment of the security posting system in the Civil Procedure Act as of July 23, 2010. In addition to the traditional requirement of no domicile, office or business place in Korea on the part of the plaintiff, the court shall order the plaintiff to post security on the defendantʼs motion or ex officio(by its own motion) where it is recognized that furnishing security for the costs of the lawsuits is necessary because it is obvious that the claim is groundless based on the complaints, briefs, or the other records on lawsuit [Civil Procedure Act Article 117(1),(2)].
      Therefore by virtue of the expanding application of the civil procedural posting system, there needs more accurate theoretical and practical recognitions on the difference of the security posting systems between the Commercial Act and the Civil Procedure Act in furtherance of managing the efficient and effective security posting system in the derivative suit. Especially the concept of ʻmalicious intentʼ in the derivative suit has been fully established in relation to or in the context of the obviousness of groundlessness of the claim in the general civil litigation in the management of furnishing security system, while taking into account the deterrent or chilling effect on the abusiveness of the striking derivative suit as well as encouraging effect on the furtherance of the legitimate derivative suit.
      The courts have wide discretion over whether to order or to what extent the plaintiff shareholders to post security. The Supreme Court shall be advised to establish the rule aimed at clearly providing the standardized amount of relevant security for the plaintiff shareholder to post in the course of initiating the derivative suit when a defendant can reasonably prove that a plaintiff brought a derivative suit with malicious intent, in order to ensure the foreseeability of the part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회사소송, 특히 주주대표소송에서의 담보제공제도에 관하여는 민사소송법상 소송비용의 담보제도와의 관계에서 이론적으로나 실증적으로 거의 논의되지 않았다. 상법 제403조 제7항, 제176조 제3항·제4항의 담보는 민사소송법상 소송비용의 담보와의 관계에서, 민사소송법 제127조가 규정하고 있는 ʻ다른 법률에 따른 소제기에 관하여 제공되는 담보ʼ에 해당한다. 종래 민사소송법상 소송비용의 담보에 관한 이해의 부족으로 민사소송법상 담보제도와의 유기적 관련 하에 주주대표소송에서의 담보제공제도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채 논의가 되었다.
      민사소송법상 소송비용의 담보제공은 2010. 7. 23. 민사소송법 개정시 상당한 변화를 겪게 되었다. 이러한 개정을 통하여 원고가 소장·준비서면, 그 밖의 소송기록에 의하여 청구가 이유 없음이 명백한 때에도 담보제공제도가 적용되게 되었으며(민사소송법 제117조 제1항), 당사자의 신청이 없이도 법원이 직권으로 원고에게 소송비용에 대한 담보를 제공하도록 명할 수 있게 되었다(민사소송법 제117조 제2항). 따라서 이러한 민사소송법상 담보제도의 확대적용에 따라 주주대표소송에서의 담보제공제도와의 차이 및 체계적 운용의 필요성에 관한 인식이 이론상으로나 소송실무상으로 중요하게 되었다.
      특히 주주대표소송의 경우 상법상 담보제공제도에서의 ʻ악의ʼ에 관한 개념의 정립에서 민사소송법상 담보제공제도에서의 ʻ청구이유 없음의 명백성ʼ에 관한 개념을 충분히 반영함으로써 주주권의 남용의 문제 등과 관련하여 효율적으로 담보제공제도가 운용되도록 하여야 한다. 나아가 대법원은 회사소송 등에서의 담보제공에서 담보액에 관한 기준을 명확히 정하는 예규를 제정하여 소송당사자의 예측가능성을 제고할 수 있어야 한다.
      번역하기

      회사소송, 특히 주주대표소송에서의 담보제공제도에 관하여는 민사소송법상 소송비용의 담보제도와의 관계에서 이론적으로나 실증적으로 거의 논의되지 않았다. 상법 제403조 제7항, 제176...

      회사소송, 특히 주주대표소송에서의 담보제공제도에 관하여는 민사소송법상 소송비용의 담보제도와의 관계에서 이론적으로나 실증적으로 거의 논의되지 않았다. 상법 제403조 제7항, 제176조 제3항·제4항의 담보는 민사소송법상 소송비용의 담보와의 관계에서, 민사소송법 제127조가 규정하고 있는 ʻ다른 법률에 따른 소제기에 관하여 제공되는 담보ʼ에 해당한다. 종래 민사소송법상 소송비용의 담보에 관한 이해의 부족으로 민사소송법상 담보제도와의 유기적 관련 하에 주주대표소송에서의 담보제공제도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채 논의가 되었다.
      민사소송법상 소송비용의 담보제공은 2010. 7. 23. 민사소송법 개정시 상당한 변화를 겪게 되었다. 이러한 개정을 통하여 원고가 소장·준비서면, 그 밖의 소송기록에 의하여 청구가 이유 없음이 명백한 때에도 담보제공제도가 적용되게 되었으며(민사소송법 제117조 제1항), 당사자의 신청이 없이도 법원이 직권으로 원고에게 소송비용에 대한 담보를 제공하도록 명할 수 있게 되었다(민사소송법 제117조 제2항). 따라서 이러한 민사소송법상 담보제도의 확대적용에 따라 주주대표소송에서의 담보제공제도와의 차이 및 체계적 운용의 필요성에 관한 인식이 이론상으로나 소송실무상으로 중요하게 되었다.
      특히 주주대표소송의 경우 상법상 담보제공제도에서의 ʻ악의ʼ에 관한 개념의 정립에서 민사소송법상 담보제공제도에서의 ʻ청구이유 없음의 명백성ʼ에 관한 개념을 충분히 반영함으로써 주주권의 남용의 문제 등과 관련하여 효율적으로 담보제공제도가 운용되도록 하여야 한다. 나아가 대법원은 회사소송 등에서의 담보제공에서 담보액에 관한 기준을 명확히 정하는 예규를 제정하여 소송당사자의 예측가능성을 제고할 수 있어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東京地方裁判所商事硏究會, "類型別會社訴訟Ⅰ" 判例タイムス社 2006

      2 오윤덕, "회사법상의 소와 담보제공" 한국사법행정학회 21 (21): 1980

      3 박세화, "회사법강의 제7판" 법문사 2019

      4 이철송, "회사법강의" 박영사 2019

      5 임재연, "회사법Ⅱ" 박영사 2018

      6 김건식, "회사법" 박영사 2018

      7 최준선, "회사법" 삼영사 2019

      8 장덕조, "회사법" 법문사 2019

      9 권재열, "한국회사법의 경제학" 마인드맵 2017

      10 김동석, "주주의 대표소송과 중복대표소송" 한국경영법률학회 11 : 2000

      1 東京地方裁判所商事硏究會, "類型別會社訴訟Ⅰ" 判例タイムス社 2006

      2 오윤덕, "회사법상의 소와 담보제공" 한국사법행정학회 21 (21): 1980

      3 박세화, "회사법강의 제7판" 법문사 2019

      4 이철송, "회사법강의" 박영사 2019

      5 임재연, "회사법Ⅱ" 박영사 2018

      6 김건식, "회사법" 박영사 2018

      7 최준선, "회사법" 삼영사 2019

      8 장덕조, "회사법" 법문사 2019

      9 권재열, "한국회사법의 경제학" 마인드맵 2017

      10 김동석, "주주의 대표소송과 중복대표소송" 한국경영법률학회 11 : 2000

      11 정동윤, "주주의 대표소송: 실무상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하여" 법원행정처 2 : 1972

      12 김효정, "주주대표소송에 관한 연구: 국내 및 국제소송상의 쟁점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7

      13 김기원, "주주대표소송에 관한 연구" 인천지방변호사회 5 : 2000

      14 오성근, "주주대표소송에 관한 소고-상법과 영국의 회사법제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상사법학회 29 (29): 247-283, 2010

      15 김재범, "주주권리의 남용" 대구대학교 법과대학 법학연구소 (1) : 2000

      16 천경훈, "주식회사법대계(III) (제3판)" 법문사 2019

      17 정동윤, "주석 상법[회사(Ⅲ)]" 한국사법행정학회 2014

      18 민일영, "주석 민사소송법(Ⅱ)" 한국사법행정학회 2018

      19 권재열, "상사법논총(상)" 형설출판사 1996

      20 김영균, "상법학의 전망(평성임홍근교수 정년퇴임기념논문집)" 법문사 2003

      21 최기원, "상법학신론(상)" 박영사 2011

      22 정찬형, "상법강의(상)" 박영사 2019

      23 송옥렬, "상법강의" 홍문사 2019

      24 법원행정처, "법원실무제요 민사소송[Ⅰ]" 2017

      25 김홍엽, "민사집행법" 박영사 2019

      26 김홍규, "민사소송법" 삼영사 2017

      27 한충수, "민사소송법" 박영사 2018

      28 김홍엽, "민사소송법" 박영사 2020

      29 강대섭, "대표소송의 제소자격과 담보제공: 대표소송의 활성화를 위한 제언" 안암법학회 4 : 1996

      30 정쾌영, "대표소송의 단독주주권화와 남소 제한에 관한 연구" 한국상사법학회 20 (20): 2001

      31 강희갑, "기업과 법" 한국사법행정학회 1997

      32 江頭憲治郞, "株式會社法" 有斐閣 2017

      33 김대연, "株主代表訴訟에서의 擔保提供命令制度 -日本 法制의 現況을 중심으로-" 한국상사법학회 21 (21): 9-396, 2002

      34 小林秀之, "株主代表訴訟大系" 弘文堂 1996

      35 小林秀之, "株主代表訴訟大系" 弘文堂 1996

      36 山田泰弘, "株主代表訴訟の法理 : 生成と展開" 信山社 2000

      37 中島弘雅, "株主代表訴訟の制度趣旨と現象" 115 (115): 1996

      38 黑沼悅郞, "株主代表訴訟における擔保提供制度の趣旨と惡意の意義" 49 (49): 2000

      39 新谷勝, "株主代表訴訟と擔保提供制度(下)" (508) : 1995

      40 小林秀之, "株主代表訴訟とコ-ポレ-ト·ガバテンス" 平文社 2008

      41 中村直人, "株主代表訴訟での擔保提供における惡意の意義" 115 (115): 1996

      42 高橋宏志, "會社訴訟における擔保提供制度の意義" (1078) : 1986

      43 酒卷俊雄, "會社法重要判例" 成文堂 2016

      44 森淳二朗, "會社法判例百選" 有斐閣 2006

      45 前田庸, "會社法入門" 有斐閣 2018

      46 竹內昭夫, "會社法の理論Ⅱ" 有斐閣 1990

      47 北澤正啓, "會社法" 靑林書院, 2001

      48 近藤光男, "最新株式會社法" 中央經濟社 2006

      49 渡邊顯, "實務會社法講義 , 全訂版" 株式會社民事法硏究會 2006

      50 三枝一雄, "代表訴訟と擔保提供の惡意" 70 (70): 197

      51 Robert W. Hamilton, "The Law of Corporations" West Publishing Co 199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5-0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COMMERCIAL LAW ASSOCIATION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18 학술지등록 한글명 : 상사법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 1 1.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6 0.93 0.979 0.5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