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술에서 창의적 사고력과 사고과정의 특징 고찰 = A Study of Creative Thought and Thinking Process in Ar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739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at deep review of the creative thought within the text of the ar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reative process. To accomplish this subject, creative thought, creative thinking process,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the basic theory of cognitive psychology and creative problem solve mechanism is reviewed. Regarding the Cognitive psychology,from the associationism, Gestalt psychology, cognitive to the recent studies emphasizing the metaphors, analogies, developmental approaches to creative thought, creative process are studied. In the chapter of creative problem solving, the theoretical base why creative process is the one method of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the definition of the scholars for “the problem”itself, recent creative problem solving model.
      Through this proces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reative thought and creative process are defined as , first, in art, the problem is the one which is created due to the needs of the creativity but not originally existed, second,it is the circling mechanism to lead to the new creativity from expressing the need and satisfy the conflict of creativeness. And lastly, it is suggested that the special character of art is that the reviewing and criticizing process of art is combination between the simple acceptance mechanism and emotional factor and also with the creative thought and creative thinking process.
      번역하기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at deep review of the creative thought within the text of the ar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reative process. To accomplish this subject, creative thought, creative thinking process,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th...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at deep review of the creative thought within the text of the ar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reative process. To accomplish this subject, creative thought, creative thinking process,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the basic theory of cognitive psychology and creative problem solve mechanism is reviewed. Regarding the Cognitive psychology,from the associationism, Gestalt psychology, cognitive to the recent studies emphasizing the metaphors, analogies, developmental approaches to creative thought, creative process are studied. In the chapter of creative problem solving, the theoretical base why creative process is the one method of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the definition of the scholars for “the problem”itself, recent creative problem solving model.
      Through this proces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reative thought and creative process are defined as , first, in art, the problem is the one which is created due to the needs of the creativity but not originally existed, second,it is the circling mechanism to lead to the new creativity from expressing the need and satisfy the conflict of creativeness. And lastly, it is suggested that the special character of art is that the reviewing and criticizing process of art is combination between the simple acceptance mechanism and emotional factor and also with the creative thought and creative thinking proces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미술이라는 영역에서의 창의적 사고력과 사고과정의 특징을 고찰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사고과정, 그리고 창의적 문제해결과관련된 이론적 토대로서 인지심리학과 창의적 문제 해결 모형 이론들을 살펴보았다.
      인지심리학에서는 연합이론, 게슈탈트 심리학을 중심으로 은유, 유추 등을 강조하는최근의 인지에 관한 연구에 이르기까지 창의적 사고, 사고과정에 대한 관점의 변화를고찰하였다. 창의적 문제 해결 이론에서는 창의적 사고 과정을 창의적 문제 해결 관점으로 보는 이론적 토대와 ‘문제’ 자체에 대한 학자들의 개념 정립, 그리고 최근의 창의적 문제 해결 모델들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미술이라는 영역의 특수성을 반영한 창의적 사고력과 사고과정의 특성을 첫째, 문제 자체의 차이로서 미술에서는 이미기존에 존재하던 문제가 아닌 창조의 욕구라는 필요에 의해 창조된 문제를 다룬다는것과 둘째, 문제 해결의 과정 역시 창조의 갈등을 충족시킴으로써 새로운 창조적 욕구를 이끌어가기 위한 탐색의 과정으로 순환하는 체제로 보았다. 마지막으로 미술에서의창조물을 감상하고 비평하는 과정은 정서적 측면과 함께 창의적 사고력과 사고과정이라는 인지적 측면이 함께 작용한다는 점에서 미술 영역의 특수성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미술이라는 영역에서의 창의적 사고력과 사고과정의 특징을 고찰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사고과정, 그리고 창의적 문제해결과관련된 이론적 토대...

      본 연구는 미술이라는 영역에서의 창의적 사고력과 사고과정의 특징을 고찰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사고과정, 그리고 창의적 문제해결과관련된 이론적 토대로서 인지심리학과 창의적 문제 해결 모형 이론들을 살펴보았다.
      인지심리학에서는 연합이론, 게슈탈트 심리학을 중심으로 은유, 유추 등을 강조하는최근의 인지에 관한 연구에 이르기까지 창의적 사고, 사고과정에 대한 관점의 변화를고찰하였다. 창의적 문제 해결 이론에서는 창의적 사고 과정을 창의적 문제 해결 관점으로 보는 이론적 토대와 ‘문제’ 자체에 대한 학자들의 개념 정립, 그리고 최근의 창의적 문제 해결 모델들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미술이라는 영역의 특수성을 반영한 창의적 사고력과 사고과정의 특성을 첫째, 문제 자체의 차이로서 미술에서는 이미기존에 존재하던 문제가 아닌 창조의 욕구라는 필요에 의해 창조된 문제를 다룬다는것과 둘째, 문제 해결의 과정 역시 창조의 갈등을 충족시킴으로써 새로운 창조적 욕구를 이끌어가기 위한 탐색의 과정으로 순환하는 체제로 보았다. 마지막으로 미술에서의창조물을 감상하고 비평하는 과정은 정서적 측면과 함께 창의적 사고력과 사고과정이라는 인지적 측면이 함께 작용한다는 점에서 미술 영역의 특수성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원유숙, "창의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두뇌기반 읽기 교수·학습 방법 연구"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 이동원, "창의적 교육의 실천적 접근" 교육과학사 2009

      3 전경원, "창의성 교육의 이론과 실제" 창지사 2008

      4 박숙희, "창의성" 학지사 2005

      5 도종훈, "중학교 기하 영역에서의 수학적 창의성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6 진영학, "정보과학 창의적 성향 검사도구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2

      7 김현지, "연합주의 관점의 창의적 사고력 모형"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8

      8 Roger, V. O, "생각의 혁명" 에코리브르 2008

      9 유봉현, "브레인스토밍 기법이 창의적 사고력 증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10 강병직, "미술에서의 창의적 사고과정에 대한 이론적 탐색" 한국조형교육학회 (39) : 1-22, 2011

      11 이모영, "미술과 창의성: 시각적 사고를 중심으로" 대한사고개발학회 2 (2): 1-20, 2006

      12 이재연, "고등학교 학생의 과학 창의성 향상을 위한 생태학사 활용 CPS 수업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13 박미진, "‘Artistic creativity’의 개념 정립을 위한 선행연구 고찰"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30 : 1-25, 2011

      14 Beghetto, R. A., "Why creativity is domain general, why it looks domain specific and why the distinction does not matter, In Creativity: From Potential to Realization"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53-161, 2004

      15 Dacey, J. S., "Understanding creativity: the interplay of bi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factors" Jossey-Bass 1998

      16 Mayer, R. E, "The search of insight: grappling with Gestalt Psychology’s unanswered questions, In The nature of insight" MIT Press 1995

      17 Getzels, J. W., "The problem of the problem, In New Directions for methodology of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 Question framing and response consistency N0. 11" Jossey-Bass 1982

      18 Kaufman J. C., "The international handbook of creativ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19 Gordon, W., "The development of creative capacity" Harper& Row 1961

      20 Finke, R. A., "The creative cognition approach" MIT Press 1995

      21 Briggs, R. O, "The cognitive network model of creativity: a new causal model of creativity and a new brainstorming technique" 1-10, 2000

      22 Mednick, M. T., "The associative basis of the creative process" 69 (69): 220-232, 1962

      23 Wallas, G., "The art of thought New York" 1923

      24 Zelanski, P., "The art of seeing" Prentice Hall 2011

      25 Guilford, J. P., "The Nature of human intelligence" McGraw-Hill 1967

      26 Csikszentmihalyi, M., "The Creative vision: a longitudinal study of problem finding in art" Wiley 1976

      27 Naples, A. J, "Recognizing, Defining, and Representing Problems, In The Psychology of Problems Solv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28 Wertheimer, M, "Productive thinking" Harper 1959

      29 Langer, S. K., "Problems of art: ten philosophical lectures" Scribner 1957

      30 Feldman, E. B., "Practical art criticism" Prentice Hall 1994

      31 Winner, E., "Invented worlds : the psychology of the arts" Harvard Univ. Press 1982

      32 Dewey, J., "How we think" Boston 1910

      33 Köhler, W., "Gestalt psychology: an introduction to new concepts in modern psychology" Liveright Pub. Corp 1926

      34 Kim, S. H., "Essence of creativity; A guide to tackling difficult problems" Oxford university press 1990

      35 Csikszentmihalyi, M., "Creativity : flow and the psychology of discovery and invention" Harper Collins Publishers 1996

      36 Webster, P. R, "Creative as creative thinking" 76 (76): 22-28, 1990

      37 Lowenfeld, V., "Creative and mental growth" Collier Macmillan 1987

      38 Mayesky, M., "Creative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Delmar Publishers 2002

      39 Dorval, K. B, "Creative Approaches to Problem Solving. 3rd Edition" SAGE Publications. Inc 2011

      40 Mednick, M. T., "Comparison of two administration times for the remote associtates test" 24 : 507-510, 1969

      41 Baer, J., "Bridging Generality and Specificity: The Amusement Park Theoretical (APT) Model of Creativity" 27 : 158-163, 2005

      42 Anderson, T., "Attaing Critical Appreciation Through Art" 31 (31): 132-140, 1990

      43 Mumford, L., "Art and technics" Columbia University Press 1952

      44 Osborn, A. F., "Applied imagination-principles and procedures of creative problem-solving. New, In Applied imagination-principles and procedures of creative problem-solving" Scribner 195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5-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교육대학교 미술교육학회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영문명 : Art Education Society Of National Universities In Korea -> Korea Elementary Art Education Association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10-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미술교육논총 -> 미술교육연구논총 KCI등재후보
      2005-10-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미술교육논총 -> 미술교육연구논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1 0.61 0.7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6 0.84 0.933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