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태권도 도장 수련생의 교육 및 시설만족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Taekwondo martial art institutes, education satisfaction and facilities satisfac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89872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태권도 도장 수련생의 교육 및 시설만족도에 관하여 수련생들을 대상으로 교육프로그램 및 시설환경 측면에서 새로운 환경을 제공하고자 설문조사를 통한 태권도 수련생의 인구...

      본 연구는 태권도 도장 수련생의 교육 및 시설만족도에 관하여 수련생들을 대상으로 교육프로그램 및 시설환경 측면에서 새로운 환경을 제공하고자 설문조사를 통한 태권도 수련생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성별, 학력)에 따른 태권도 수련 목적의 차이, 교육 및 시설만족도에 따른 차이들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 태권도 도장 수련생의 교육 및 시설만족도에 대해서 수련생들에 대해서 통계적 검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 변인에 따른 태권도 수련생의 성별 및 학력에 따른 교육 및 시설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성별, 학력별에 따라 하위변인간 부분적으로 통계적 유의한 차이(*p<.05)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 변인에 따른 태권도 수련생의 수련목적에 따른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태권도 수련생의 수련목적에 따른 교육 및 시설만족도 요인에 대한 요인별 평균차이는 *p<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태권도 수련목적에 따라 수련생들이 태권도를 수련하는 교육 및 시설만족도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be use for more rational, systematic instruction for students who are a taekwondo trainee as of 2003 in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high school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of gender, educational level of be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be use for more rational, systematic instruction for students who are a taekwondo trainee as of 2003 in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high school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of gender, educational level of being a Taekwondo trainee and to satisfac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50 trainee, and the reponses from 340 trainee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e stastistical method used for the analysis of this study T-test, one-way ANOVA and LSD multiple comparison range test with SPSS/PC+10.1 Version for Window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to the relationship of general characteristics to gender, educational level and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to objective of training. The stronger objective of training was possessed by the male trainee than the female.
      Second, as to the relationship of general characteristics to satisfaction, the male trainee expressed better psychological, rest, social, educational and physiological satisfaction than the female trainee. By educational level, the middle school trainee were more contented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facilities than the high school trainee.
      The existing training centers are prohibited from signing in insurance because of insurance companies' too much loss, at present, by insurance companies. Therefore, appropriate countermeasures and systematic supplementation should be urgently taken, so as that both trainees and directors can be satisfi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i
      • 표목차 = iv
      • 그림목차 = v
      • I.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목차 = i
      • 표목차 = iv
      • 그림목차 = v
      • I.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의 목적 = 4
      • 3. 연구의 제한점 = 4
      • 4. 용어의 정의 = 5
      • II. 이론적 배경 = 6
      • 1. 복싱(Boxing)의 기술체계 = 6
      • 2. 복싱(Boxing)기술 중 타격의 종류 = 10
      • 3. 스트레이트(Straight)의 특성 = 13
      • 3.1 스트레이트 기술 = 13
      • 3.2 스트레이트(straight)의 분류 및 방법 = 13
      • 3.3 스트레이트에 사용되는 근육 및 관절 (하종호, 1993) = 18
      • 4. 복싱경기 기술사용에 관한 선행연구 = 18
      • III. 연구방법 = 22
      • 1. 연구대상 = 22
      • 2. 실험장비 = 22
      • 2.1 촬영장비 = 23
      • 2.2 영상분석 및 자료처리장비 = 25
      • 3. 실험절차 = 26
      • 4. 연구내용 = 30
      • 4.1 이벤트 = 30
      • 4.2 국면 = 31
      • 4.3 분석내용 = 32
      • 5. 자료처리 = 34
      • 5.1 인체관절의 좌표화 = 34
      • 5.2 통제점 좌표화 = 36
      • 5.3 3차원 실공간 좌표의 계산 = 36
      • 5.4 오차제거 = 36
      • 5.5 자료처리 = 37
      • IV. 결과 및 논의 = 38
      • 1. 시간변인 = 38
      • 2. 자세변인 = 40
      • 2.1 LDJ의 자세변인 = 40
      • 2.2 KDM의 자세변인 = 43
      • 3. 중심변인 = 45
      • 3.1 LDJ의 중심변인 = 45
      • 3.2 KDM의 중심변인 = 48
      • V. 결론 및 제언 = 52
      • 1. 결론 = 52
      • 1.1 시간변인 = 52
      • 1.2 자세변인 = 52
      • 1.3 중심변인 = 53
      • 2. 제언 = 53
      • 참고문헌 = 54
      • ABSTRACT = 5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