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과학탐구기능향상을 위한 명시적 수업 실연 사례 분석 : 예상과 추리 탐구기능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739493

      • 저자
      • 발행사항

        용인: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2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570.7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경기도

      • 기타서명

        (A) Case Study on Explicit Teaching Demonstrations For Enhancement Of Science Process Skills : Based on the Prediction and Reasoning

      • 형태사항

        vi, 91p.: 삽화; 30 cm.

      • 일반주기명

        단국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손연아
        참고문헌 : p.56-58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천안) 소장기관정보
        • 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iddle grades students' scientific inquiry capability to improve the prediction and reasoning. For this study, based on previous study, the education curriculum with teacher's guide check list ,which is diagnosable explicit instruction ,was made out.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biology pre-service teachers who is from college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Biology in-service teachers. First of all, to analyze the difficulties of the preparation of demonstration lessons which is applied prediction and reasoning. On two separate occasions, teaching-learning process has to be modified and supplemented. Based on these demonstrations, we've analyzed in depth through two times teaching demonstrations if there is any difficulties in teaching demonstration process. In addition, preparation for teaching demonstration lessons for before and two times after the demonstrations to fill out a reflective journal and whether there is any change of awareness has been conducted in-depth analysis. The findings, in terms of teaching-learning process for creating which prediction are applied, there were difficulties in presenting the importance of the expected, the expected operational opportunities, in the process of demonstration lessons, and the group operational prediction opportunities to students to have access directly. There were huge difficulties to give the opportunities to students to have access directly. while the group who got the application of a inference research function, is presented the importance of reasoning. But there were difficulties to be presented separately between the expected and the reasoning. At the conclusion, through explicit teaching demonstration which is application of the scientific exploration of the function elements there were aware of changes in prediction and reason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hen the explicit instruction which is for improving the scientific inquiry progress for high school students is going on, through the difficulties which were appeared in the demonstration reasons. I expect to be more profitably and be designed in the science instruc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iddle grades students' scientific inquiry capability to improve the prediction and reasoning. For this study, based on previous study, the education curriculum with teacher's guide check list ,which is dia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iddle grades students' scientific inquiry capability to improve the prediction and reasoning. For this study, based on previous study, the education curriculum with teacher's guide check list ,which is diagnosable explicit instruction ,was made out.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biology pre-service teachers who is from college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Biology in-service teachers. First of all, to analyze the difficulties of the preparation of demonstration lessons which is applied prediction and reasoning. On two separate occasions, teaching-learning process has to be modified and supplemented. Based on these demonstrations, we've analyzed in depth through two times teaching demonstrations if there is any difficulties in teaching demonstration process. In addition, preparation for teaching demonstration lessons for before and two times after the demonstrations to fill out a reflective journal and whether there is any change of awareness has been conducted in-depth analysis. The findings, in terms of teaching-learning process for creating which prediction are applied, there were difficulties in presenting the importance of the expected, the expected operational opportunities, in the process of demonstration lessons, and the group operational prediction opportunities to students to have access directly. There were huge difficulties to give the opportunities to students to have access directly. while the group who got the application of a inference research function, is presented the importance of reasoning. But there were difficulties to be presented separately between the expected and the reasoning. At the conclusion, through explicit teaching demonstration which is application of the scientific exploration of the function elements there were aware of changes in prediction and reason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hen the explicit instruction which is for improving the scientific inquiry progress for high school students is going on, through the difficulties which were appeared in the demonstration reasons. I expect to be more profitably and be designed in the science instruc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중등과정 학생들의 과학탐구기능 향상을 위한 예상과 추리 탐구기능요소를 적용한 명시적 수업 실연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명시적 수업을 진단 할 수 있는 교수학습과정안 진단표를 작성하였으며, 경기도 소재 사범대학 생물 예비교사, 교육대학원 생물 예비교사와 생물 현직교사를 대상으로 과학(생물)수업에서 과학탐구기능요소를 적용한 명시적 수업을 실연하도록 하였다. 먼저, 예상과 추리 탐구기능요소를 적용한 수업 실연 준비과정의 어려움을 분석하기 위해 2차례에 걸쳐서 교수학습과정안을 수정·보완하도록 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2차례의 수업 실연을 통해서 수업 실연 과정에서는 어떠한 어려움이 있는지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수업 실연 준비 과정 전과 2차례의 수업 실연이 끝난 후에 반성적 저널을 작성하도록 하여 어떠한 인식의 변화가 있는지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상 탐구기능 요소를 적용한 교수학습과정안의 작성에 있어서는 예상의 중요성 제시, 조작적 예상하기를 학생들이 접할 수 있는 기회 제공, 그리고 추리와 예상을 구분하여 제시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나타냈다. 또한 추리 탐구기능 요소를 적용한 교수학습과정안의 작성에 있어서는 추리를 잘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관찰이 이루어져야 함을 안내하기, 추리의 정의 및 의미를 이해시키는 기회 제공, 그리고 추리를 통해 결론을 이끌어 내는 과정을 명확하게 제시하는 방법에 대해서 어려움을 나타냈다. 수업 실연 과정에서는 예상 탐구기능을 적용하여 수업을 실연한 그룹은 조작적 예상하기를 학생들이 직접 접합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에서 어려움을 나타냈으며, 추리 탐구기능을 적용하여 수업을 실연한 그룹은 추리의 중요성을 제시하면서 예상과 추리를 명확하게 구분하여 제시하는 것에서 어려움을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과학탐구기능요소를 적용한 명시적 수업 실연을 통해서 예상과 추리 탐구기능 요소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있었음이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과학탐구기능 향상을 위한 명시적 수업을 진행 할 때, 수업 실연에서 나타났던 어려움을 통해서 더 내실 있고 전문적인 과학수업을 설계 및 준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중등과정 학생들의 과학탐구기능 향상을 위한 예상과 추리 탐구기능요소를 적용한 명시적 수업 실연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명시적 수업을 진...

      본 연구는 중등과정 학생들의 과학탐구기능 향상을 위한 예상과 추리 탐구기능요소를 적용한 명시적 수업 실연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명시적 수업을 진단 할 수 있는 교수학습과정안 진단표를 작성하였으며, 경기도 소재 사범대학 생물 예비교사, 교육대학원 생물 예비교사와 생물 현직교사를 대상으로 과학(생물)수업에서 과학탐구기능요소를 적용한 명시적 수업을 실연하도록 하였다. 먼저, 예상과 추리 탐구기능요소를 적용한 수업 실연 준비과정의 어려움을 분석하기 위해 2차례에 걸쳐서 교수학습과정안을 수정·보완하도록 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2차례의 수업 실연을 통해서 수업 실연 과정에서는 어떠한 어려움이 있는지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수업 실연 준비 과정 전과 2차례의 수업 실연이 끝난 후에 반성적 저널을 작성하도록 하여 어떠한 인식의 변화가 있는지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상 탐구기능 요소를 적용한 교수학습과정안의 작성에 있어서는 예상의 중요성 제시, 조작적 예상하기를 학생들이 접할 수 있는 기회 제공, 그리고 추리와 예상을 구분하여 제시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나타냈다. 또한 추리 탐구기능 요소를 적용한 교수학습과정안의 작성에 있어서는 추리를 잘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관찰이 이루어져야 함을 안내하기, 추리의 정의 및 의미를 이해시키는 기회 제공, 그리고 추리를 통해 결론을 이끌어 내는 과정을 명확하게 제시하는 방법에 대해서 어려움을 나타냈다. 수업 실연 과정에서는 예상 탐구기능을 적용하여 수업을 실연한 그룹은 조작적 예상하기를 학생들이 직접 접합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에서 어려움을 나타냈으며, 추리 탐구기능을 적용하여 수업을 실연한 그룹은 추리의 중요성을 제시하면서 예상과 추리를 명확하게 구분하여 제시하는 것에서 어려움을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과학탐구기능요소를 적용한 명시적 수업 실연을 통해서 예상과 추리 탐구기능 요소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있었음이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과학탐구기능 향상을 위한 명시적 수업을 진행 할 때, 수업 실연에서 나타났던 어려움을 통해서 더 내실 있고 전문적인 과학수업을 설계 및 준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3
      • 3. 용어의 정의 4
      • 3.1. 명시적 교수법 4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3
      • 3. 용어의 정의 4
      • 3.1. 명시적 교수법 4
      • 3.2. 명시적 접근 방법의 정의 4
      • Ⅱ. 이론적 배경 5
      • 1. 과학탐구능력 5
      • 1.1.과학탐구능력의 개념 5
      • 2. 기초탐구과정의 요소 6
      • 2.1. 관찰 6
      • 2.2. 분류 7
      • 2.3. 측정 7
      • 2.4. 예상 8
      • 2.5. 추리 10
      • 3. 마이크로티칭 11
      • 4. 선행 연구 분석 12
      •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13
      • 1. 연구대상 및 연구 절차 13
      • 1.1. 연구대상 13
      • 1.2. 연구방법 15
      • 1.2. 연구절차 16
      • 2.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18
      • 2.1. 자료수집 18
      • 2.2. 분석방법 18
      •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19
      • 1. 과학탐구기능 향상을 위한 명시적 수업의 준비과정 분석 19
      • 1.1. 탐구과정기능요소의 명시적 수업 진단 준거 설정 19
      • 1.2. 교수학습과정안 분석 20
      • 1.3. 교수학습과정안 분석에서 나타난 결과 종합분석 29
      • 2. 1차와 2차 수업 실연 비교 30
      • 2.1. 예상하기 30
      • 2.2. 추리하기 34
      • 2.3. 수업 실연에서 나타난 결과 종합분석 38
      • 3. 예상과 추리탐구기능에 대한 인식 평가 기준 39
      • 4. 명시적 수업 전, 후의 인식변화 분석 39
      • Ⅴ. 결론 및 제언 54
      • 참고문헌 56
      • 부 록 59
      • 영문요약 8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